메뉴 건너뛰기

박 의원, 군 내부 제보 확보했다고 밝혀
"尹 외환 유치, 의혹 아니라 계획적 시도"
"계엄 5일 뒤 드론사 창고 화재 증거 인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10월 평양 상공에서 전단(삐라)을 뿌리던 무인기가 추락한 사건과 관련해 김용대 당시 드론작전사령관이 담당 영관급 중대장에게 해당 작전을 지시했다는 주장이 30일 제기됐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무인기가 백령도에서 우리 군이 보낸 것이라는 군 내부 제보를 확보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10월 북한은 돌연 "한국이 평양에 무인기(드론)를 침투시키는 정치 군사적 도발 행위를 감행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확인해 줄 수 없고 대꾸할 가치도 없다"며 NCND(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음) 입장을 고수했었다. 해당 사건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불법계엄 이후 재조명됐다. 민주당은 "윤석열 정권이 계엄령 선포를 위해 일찍부터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려 한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박 의원은 "이번 제보는 의혹이 단순한 우려가 아니라 실제 작전 지시와 실행 그리고 은폐까지 동반된 계획적 시도였음을 뒷받침하는 중대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또 '평양 무인기 작전' 이후 군 내부의 조직적 은폐 시도가 있었다고도 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방첩사령부는 무인기 관련 보고서를 왜곡한 형태로 언론, 국회, 군 수뇌부에 전달했다. 박 의원은 "이 과정에서 이모 대령, 송모 중령, 우모 중령 등 군 주요 인사들이 깊숙이 개입했다"고 했다. 불법 계엄 닷새 뒤인 지난해 12월 8일 드론작전사령부에서 발생한 창고 화재에 대해서도 "조직적 은폐 시도의 연장선상에서 의심된다"고 했다.

박 의원은 "2022년 12월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했을 당시 윤 대통령이 '몇 배의 드론을 북쪽으로 올려 보내라'고 지시했다"며 "당시엔 유치한 대응이라 여겼지만 지금 와서 보면 계엄을 통해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영구 집권을 시도하려 했던 계획의 출발점이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격 미달이며 안보를 파탄 위기로 몰아간 윤 정권의 외환 유치 책동"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박 의원은 방첩사가 윤석열 정부 들어 국회의원을 사찰하고 군 인사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박 의원은 "방첩사는 계엄 선포를 위해 국회의원 체포와 조사를 사전에 기획하며 사찰을 벌였다"며 "군 내부 블랙리스트도 별도로 마련해 인사 동향을 수시로 정리하고 대통령실에 보고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57 '시진핑 실각설' 떠도는데... 미 싱크탱크 "관영매체서 지위 약화"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6 [속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5 車부품, 항공·국방까지 털린다…中 기술 유출 통로 된 3D 프린팅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4 방에 다시 숨어든 '쉬었음' 청년… "민관 참여하는 패키지 대책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3 "尹정부서 후퇴"…국민참여예산 3년간 감소세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2 [단독] 주한 러시아 대사, 대선 때 친명 중진에 '특사 파견' 타진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1 이준석·권영국 득표율, 청년 거주 비율 높은 지역일수록 올라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50 이재명 힌트 주자 2조 몰렸다…"생활비로 쓰라" 배당주 꿀팁5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9 [2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8 대한민국 결정적 순간 60장면, 그 첫 번째는 87년 넥타이부대 [창간 60년 연중기획①]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7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6 "폭염에 철골 구조물 파리 에펠탑 20㎝ 변형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5 [단독] 정부, 5강 주재대사에 "2주 내 귀국하라"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4 WHO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으로 매시간 약 100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3 한은 "관세협상 실패로 관세전쟁 격화땐 美경제 타격 더클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2 [뉴욕유가] OPEC+ 공급 우려 속 나흘만에 하락…WTI, 0.6%↓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1 美제약업계, 美정부에 "무역협상 지렛대로 韓약값정책 개선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40 챗GPT에 밀린 신입사원…"일자리 3분의1 사라졌다" 충격 결과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39 AI발 구직난 현실화···“챗GPT 출시 이후 신입사원 일자리 3분의 1 사라져” new 랭크뉴스 2025.07.01
49638 강경한 특검 “체포영장 그다음 될 수도”…尹 ‘5일 이후 연기 요청’ 거부 new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