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의 야당 환원 등을 요구하며 지난 27일부터 국회 본관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나 의원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 등을 촉구하며 국회 본관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같은 당에서도 ‘보여주기식 정치’라는 비판이 나왔다.

친한(친한동훈)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넓고 쾌적한 국회 본청에서 최고급 같은 텐트 치고 김밥과 커피 드시면서, 화장 여부는 모르겠지만 평소와 다름없는 얼굴로 화보 찍듯 활짝 웃고 손 선풍기 앞에 놓고 책 읽고 있는데 국민들이 이걸 농성이라고 생각할까”라고 꼬집었다.

그는 “로텐더홀은 일반 국민들은 출입하기 힘든 곳이니 거기서 텐트 치고 먹을 거 먹으며 1박 경험하라면 입장료 비싸도 지원자 미어터지겠다는 생각에 쓴웃음이 났다”고 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나 의원은 ‘피서 왔냐’는 비판이 이어지자 ‘이재명은?’ 하면서 반박했다고 한다”며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의 ‘출퇴근 농성’에 대해선 나도 열심히 비판했지만 이른바 ‘피서 농성’은 솔직히 더 한심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는 결격사유 투성이지만 국민의힘은 거기에 맞서 제대로 효율적으로 싸웠나”라며 “상대방이 꼼짝 못 하게, 국민들 속 시원하게,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공격했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런 건 제대로 못 해놓고 버스 떠난 뒤 손 흔들 듯 농성자의 고통과 결의가 전혀 느껴지지도 않게 싸움하는 시늉을 하고 있으니 한심하지 않을 수 있냐”며 “나 의원은 텐트를 걷길 바란다. 아니면 로텐더홀이 아니라 뙤약볕 내리쬐는 국회 건물 밖에서 농성하든가. 보여주기식 정치 이제 정말 그만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 앞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지명 철회 촉구 농성 4일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당 ‘웰빙 농성’ 비판에…羅 “악의적 폄훼”

앞서 나 의원은 지난 27일 김 후보자 지명 철회 및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 야당 환원 등을 요구하며 국회 본청에서 숙식 농성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이들 두고 ‘웰빙 농성’이라고 칭하는 등 강하게 비판했다.

박홍근 의원은 지난 29일 페이스북에서 나 의원을 향해 “웰빙 김밥 먹고 커피 마시고 덥다고 탁상용 선풍기 틀고”라며 “캠핑 같기도 하고 바캉스 같기도 하다”라고 일침을 날렸다.

그러면서 “단식도 철야도 아닌 숙식 농성은 희귀하다”며 “늘 다음을 노리며 돋보이는 데만 급급한 자기정치병에 걸리면 백약이 소용없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나 의원은 “박 의원은 이재명 민주당정권의 내로남불 위선의 DNA를 그대로 보여준다”며 “범죄자들이 비범죄자를 조롱하고 있다”며 강하게 받아쳤다.

나 의원은 “(2023년 8월31일) 당시 이재명 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 선동을 하며 대놓고 음식을 먹으면서 출퇴근, 웰빙 단식을 했다”며 “국민을 조롱하던 이재명 민주당의 위선이나 제대로 돌아보라”고 했다.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나 의원을 향한 비판은 이어졌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나 의원의 농성을 두고 ‘무더위를 피하는 캠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저도 농성을 해봤지만 이런 좋은 환경에서 편안하게 투쟁할 수 있는데 왜 그때 그렇게 고생을 했느냐는 생각이 든다. 역시 선수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이언주 최고위원도 “국정 과제가 산적한데 국민의힘 때문에 김 후보자 인준이 늦어지고 있다”며 “나 의원은 단식 농성이 아니라 처음 듣는 숙식 농성 중”이라고 직격했다.

비판이 잇따르자 나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민주당 의원들은 우리의 농성을 악의적으로 폄훼하고 조롱하고 있다”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농성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법치를 짓밟는 독재에 맞서고 민생을 파괴하는 이 정권의 폭주를 막기 위해, 무엇보다 대한민국의 헌법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 국회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며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48 오늘 날씨 왜 이러지? 폭염인데 우박 쏟아지고 물난리 속출 [제보] 랭크뉴스 2025.07.08
53147 추가 구속 뒤 달라진 여인형 “깊이 후회하고 있다”…증인신문도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46 “1년 기다려야 받는다”…샤오미 YU7 조기 수령권까지 웃돈 주고 산다[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8
53145 서울 서남권에 호우 경보…하천 산책로·지하차도 침수 유의 랭크뉴스 2025.07.08
53144 독버섯 요리로 시댁 식구 몰살한 호주 여성… 배심원단 만장일치 유죄 랭크뉴스 2025.07.08
53143 "3주 연장된 데드라인‥'차·반도체·철강' 주력 수출품 지켜야" 랭크뉴스 2025.07.08
53142 '추락사고 오명'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 사망 랭크뉴스 2025.07.08
53141 기습폭우에 지하철 노량진∼대방·신도림∼구로 한때 운행중단 랭크뉴스 2025.07.08
53140 상가 추락 여성에 깔린 딸 이어 엄마도 숨져... 옥상문 개방 괜찮을까 랭크뉴스 2025.07.08
53139 117년 만의 폭염 오더니…60㎜ 기습폭우에 오목교 동측 지하차도 침수 랭크뉴스 2025.07.08
53138 "8월1일부터 25% 관세"‥"기상천외한 외교서한" 랭크뉴스 2025.07.08
53137 폭염 뒤 퇴근길 폭우…서울 도로 곳곳 침수·교통통제 랭크뉴스 2025.07.08
53136 상가건물 추락 여성에 깔린 10대 딸 이어 40대 엄마도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35 이란휴전·감세법안 성과 속 관세전쟁 다시 불붙인 트럼프 랭크뉴스 2025.07.08
53134 [속보] 기습폭우에 1호선 노량진∼대방역 구간 한때 운행중단 랭크뉴스 2025.07.08
53133 3주 벌었지만... '관세 협상·한미 정상회담' 이중 과제 안은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7.08
53132 내란특검 "尹, 구속심사 뒤 서울구치소서 대기‥재판 중계는 법원 결정 사안" 랭크뉴스 2025.07.08
53131 “집 가야 하는데…” 서울 마포구 등 곳곳에 호우주의보 랭크뉴스 2025.07.08
53130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주의’… “정치중립위반 가능성 크다” 랭크뉴스 2025.07.08
53129 폭염후 퇴근길 돌연 폭우…서울 곳곳 침수·교통통제·주의보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