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금리 신용대출 평균금리 일제히 상승
보험계약대출 문의 증가에 보험사 ‘한도 축소’
7월 DSR 3단계 규제 전 대출 막차 영향

서울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앞 모습. /뉴스1

내일부터 대출 한도를 줄이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시행되면서 고신용자들이 저축은행·보험사를 포함한 2금융권까지 넘어오고 있다. 특히 최근 주택구매에 나선 금융 소비자들은 주택담보대출을 최대치로 받고도 추후 자금 마련이 여의찮을 경우 DSR을 피해 갈 수 있는 ‘틈새대출’까지 찾고 있다.

3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용대출 금리를 공시하는 저축은행 34곳 중 20곳에서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 포털에 따르면 SBI저축은행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5월 14.27%에서 6월 14.38%로 0.11%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OK저축은행은 16.38%에서 16.95%로 0.57%포인트, 상상인플러스는 19.5%에서 19.87%로 0.37%포인트, 웰컴저축은행은 18.02%에서 18.35%로 0.32%포인트 증가했다.

저축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상승한 것은 고신용자들까지 2금융권으로 몰렸기 때문이다. 대출 비교 중개 핀테크 기업 핀다의 집계에 따르면 신용점수 1000점인 사용자의 2금융권 대출 약정 건수와 약정 금액이 각각 150%, 600% 늘었다.

이와 함께 DSR 규제에 잡히지 않는 ‘틈새 대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대표적인 예가 보험 해지 환급금을 담보로 하는 보험 계약 대출(약관 대출)이다. 관련 대출 문의가 폭증한 보험사들은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삼성화재는 지난 24일부터 일부 약관대출 상품의 한도를 해약환급금의 50%에서 30%로 축소했다. NH농협생명 역시 지난 3월 종신형 연금 상품의 대출 한도를 해지 환급금의 95%에서 50%로 낮췄다.

금융권에서는 DSR 규제 강화 전 대출 ‘막차’를 타려는 소비자가 늘 것으로 보고 일부 은행이 가계대출 잔액 관리를 위해 금리를 올리며 대출 문턱을 높였고, 이 때문에 1금융권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고신용자도 2금융권을 찾은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금융 소비자들은 당분간 대출 조이기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미리 DSR 규제에 포함되지 않는 대출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분위기다.

서울 중구 명동 거리에 신용카드 대출 광고물이 곳곳에 붙어 있다. /뉴스1

고신용자들이 카드·보험·저축은행 등 2금융권을 찾는 데는 시중은행의 ‘신용점수 인플레이션’도 한 몫을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중은행들은 올해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분위기에 맞춰 대출 문턱을 높였다. 이날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KB국민 등 4대 시중은행에서 지난달 일반신용대출을 받은 사람의 평균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신용점수는 933.75다. 대출가능 평균 신용점수 하단은 922점, 상단은 942점이다.

KCB 신용점수로 900점을 넘으면 1등급, 고신용자로 분류된다. 하지만 900점 초반대의 고신용자들은 사실상 대출이 어렵다 보니, 금리가 다소 높아도 심사가 덜 까다로운 2금융권까지 찾고 있다. 2금융권 관계자는 “규제 시행 전에 은행보다 한도가 더 나오는 2금융권으로 대출을 받으려는 문의가 확실히 늘었다”며 “아직 업계 전체적으로 체감할 정도는 아니지만, 최근 체결된 대출 약정 중에 고신용자들도 속속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08 “세입자 못 구할까”…숨죽인 시장, 영향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7.01
50007 윤석열, 오늘 재소환 불응…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7.01
50006 [르포] 서울 강남역에 20억짜리 금연구역 설치… 옆 골목으로 옮겨간 흡연자들 랭크뉴스 2025.07.01
50005 "계엄 왜 안 막았나"‥국무위원 '내란 방조' 혐의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50004 심우정에게 필요한 것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1
50003 검사장 승진한 임은정 ‘검찰 쓴소리’ 뉴스 모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1
50002 “친윤 검사들, 이삿짐 다시 풀 듯”…정진우·성상헌 인사에 혁신당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50001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검찰 고위직 줄줄이 퇴진 랭크뉴스 2025.07.01
50000 [단독] “은마아파트 재건축 조합장은 사이코패스” 단톡방 험담…항소심도 벌금 100만원 랭크뉴스 2025.07.01
49999 한성숙 중기장관 후보자, ‘음란물유포’로 벌금형 전과 랭크뉴스 2025.07.01
49998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 출석” 사실상 최후통첩···윤석열, 출석 방침 랭크뉴스 2025.07.01
49997 [단독] 통일교 파일 “윤핵관, 원정도박 압색 흘려줘”…김건희 특검이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49996 “나경원, 농성을 출판기념회 하듯”…드루킹 단식 김성태의 진단 랭크뉴스 2025.07.01
49995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데…'이 병' 감염 환자 살리려다 의료진 7명까지 랭크뉴스 2025.07.01
49994 시청역 참사 1주기 날, 또 인도로 돌진…40대 남성 참변 랭크뉴스 2025.07.01
49993 '시청역 참사' 1주기 날에…상암동서 차량 인도 돌진, 1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992 "검찰 해체 표현 부적절" "충분 소통"… 정성호, 여권 강경파와 결 다르다 랭크뉴스 2025.07.01
49991 시진핑, ‘권력 이상설’ 차단…중앙회의·학습 주재하며 건재 과시 랭크뉴스 2025.07.01
49990 윤 정부와 날 세운 임은정 깜짝 발탁, 좌천된 김태훈도 기사회생···검찰개혁 위한 ‘사전작업’ 랭크뉴스 2025.07.01
49989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종합)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