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필리핀은 지난 2019년부터 최근까지 국산 소방펌프차와 물탱크차 등 801대의 한국산 소방차량을 사들였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당 가격은 3억원 선을 넘나든다. 베트남은 한국산 소방차량 285대를, 우즈베키스탄은 258대를 각각 사들였다. 이들 나라는 모두 우리나라에서 소방차를 무상으로 받아 K-소방장비의 우수성을 직접 경험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해외로 보낸 낡은 소방차들이 국산 소방장비의 수출을 이끌어 내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재난대응 능력을 높여주기 위해 한 일이 의외의 성과를 낳고 있는 셈이다. 소방청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얘기다.
지난 2020년 캄보디아 현지에서 열린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불용소방차량 전달식의 모습. 사진 소방청



현재까지 1129대의 소방차량 개도국에 지원
소방청은 지난 2004년부터 개도국에 사용한 지 10년 이상이 지난 불용(不用) 소방차와 각종 소방장비를 지원해 왔다. 내용연수는 다 했지만,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장비들이다. 보내기 전에 꼼꼼히 정비하는 것은 기본. 소방청 정광복 장비정책계장은 30일 “현재까지 필리핀과 페루, 캄보디아 등 31개국에 1129대의 각종 소방차량을 지원해 왔다"며 “중고라고는 하지만, 소방펌프차나 물탱크차 같은 소방차량은 대당 가격이 최소 3억5000만원 이상이어서 쉽게 구할 수 없는 것들”이라고 소개했다. 지원 품목 중에는 화학차(10대)와 굴절차(4대) 같은 고가의 장비도 포함돼 있다.

김영옥 기자
이를 통해 한국산 소방차량·장비에 익숙해진 현지 소방 당국은 앞다퉈 K-소방장비를 사고 있다. ‘박씨 물고 온 제비’처럼 일종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 셈이다. 이런 식으로 파생된 수출 효과는 5839억원에 이른다. 한국산 소방차량의 최대 수입국인 필리핀 역시 우리 소방청이 보내준 불용 소방차 163대를 통해 K-소방 장비의 우수성을 확인했다.

소방청은 개도국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사업도 진행 중이다. 세계 최고 수준인 대한민국의 재난대응체계 관련 기술을 전수하기 위한 것이다. 훈련은 모두 국산 소방장비를 토대로 한다. 최근에는 ‘건설형 프로젝트’ ODA가 활기를 띠고 있다. 우리 소방 관계자들이 현지 상황에 맞춰 아예 소방서와 종합상황실, 정비센터 등 한국식 소방행정타운을 지어주는 사업이다. 지난해 키르기스스탄 현지에 4곳의 소방서를 신축한 일이 대표적이다. 키르기스스탄 정부 역시 신축 소방서에서 쓸 소방차와 구조차, 그리고 각종 소방장비 등을 한국에서 사 갔다.



한국산 소방용 보안경은 몽골 광산에서 쓰여
소방장비 ODA를 통한 소방산업 활성화 개념도. 사진 소방청
K-소방제품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다 보니 의외의 현장에서 쓰이기도 한다. 한 예로 몽골에 수출된 소방용 보안경(32만9600개) 중 상당량은 현지 광산 채굴 현장 등에서 쓰인다. 필리핀도 국산 화학 보호복(15만80벌)을 의료현장에서 감염 예방용으로 쓰고 있다. 몽골의 아리윤부얀 검자바브 재난관리청장은 “한국 소방당국의 교육과 지원 덕에 화재 진압 실적이 나아지고 있다”며 “우리 힘 만으론 고가의 소방 장비의 도입이 어려운 만큼, 장기 대출 방식 등을 통해서라도 한국산 장비를 들여올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리 소방청도 ODA를 활용한 K-소방산업 활성화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글로벌 소방 수출시장 점유율은 1.8%(지난해 4월 기준)로 13위권에 머문다. 소방청 윤상기 장비기술국장은 “소방차를 개도국에 무상양여하면 자연스레 국산 장비의 기술력을 확인하게 된다"며 "ODA를 통해 국산 장비의 우수성을 충분히 알려 K-소방산업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989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988 내년 최저임금 시급 1만100원 넘는다 랭크뉴스 2025.07.01
49987 특검, 尹 오전 5일 출석시간 9시→10시 조정 요청 거부 랭크뉴스 2025.07.01
49986 [단독] 1년 새 가치 9배 오른 태양광발전소, 정동영 두 아들도 가등기 랭크뉴스 2025.07.01
49985 "검찰 무너져내리는 듯‥올 것이 왔다" 체념도 랭크뉴스 2025.07.01
49984 상암동서 전기차 인도로 돌진…차에 깔린 남성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1
49983 [여적] 딱 걸린 ‘내란 대행’, 한덕수 랭크뉴스 2025.07.01
49982 부천 상가건물 옥상서 50대 남성 시신 발견…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49981 한성숙 재산 스톡옵션 포함 440억원…역대 최고 부자 장관되나 랭크뉴스 2025.07.01
49980 "국내 증시 조정 겪을 것…배당·커버드콜 ETF로 대비" 랭크뉴스 2025.07.01
49979 한나절 만에 다시 ‘이진숙 1인 체제’···김태규 방통위 부위원장 면직 재가 랭크뉴스 2025.07.01
49978 “등본 확인했는데…” 집주인도 넘어간 당근마켓 부동산 사기 랭크뉴스 2025.07.01
49977 경찰 앞 당당한 무단횡단…제주 중국인 관광객 무질서 여전 [이슈픽] 랭크뉴스 2025.07.01
49976 라면에 김치가 주범…나트륨 섭취량 WHO 기준 1.6배 랭크뉴스 2025.07.01
49975 '특검 수사 대상'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검찰 개혁 움직임에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49974 동부지검장 임은정...대검 차장 노만석, 중앙지검장 정진우 랭크뉴스 2025.07.01
49973 [속보] 특검 “尹출석시간 조정 불가…5일 오전 9시 출석 재차 통지” 랭크뉴스 2025.07.01
49972 법무장관 내정후 검찰 지휘부 '물갈이'…개혁동력 확보 포석 랭크뉴스 2025.07.01
49971 尹, 5일 출석시간 오전 9시→10시 조정 요청…특검 "수용 불가"(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970 장례식날 헬기로 '현금 살포'... 美 세차장 주인 아들 "추모 이벤트"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