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를 배경으로 한 이전 드라마들과 달리 제주의 고유문화와 생활 정서에 대한 관심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제주관광공사는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 속았수다 편’을 발간했다. 드라마 방영 이후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통해 제주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 변화를 분석했다.

연관어 분석 결과 ‘폭싹 속았수다’는 ‘웰컴투 삼달리’ ‘우리들의 블루스’ 등 기존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 다른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두 작품은 오조포구·안돌오름·광치기 해변·가파도·비양도·오일장 등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주로 장소적 관점에서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성산일출봉·유채꽃밭 등 실제 장소와 함께 해녀·방언·문화·시대극 등 제주의 고유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연관어가 다수 등장했다. 제주를 극 속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달하면서 제주인의 삶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해녀는 드라마 공개 시점을 기점으로 키워드 검색수가 급증했다. 해녀 언급량을 보면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 평균 5000건 수준에서, 드라마가 방영된 3월 7460건으로 41% 증가했다.

4월에는 6791건, 5월에도 7072건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유지했다. 연관 키워드 역시 기존의 음식·식당 중심에서 엄마·삶·이야기 등 정서적 단어들로 변화하며 해녀가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재조명되는 흐름을 확인했다.

드라마에 등장한 제주 고유의 말투와 표현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을 다룬 콘텐츠가 각각 26편, 32편 업로드됐다. 4월 한 달 동안 누적 조회수가 220만회에 달해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콘텐츠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드라마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 김녕해수욕장의 차량 도착 수는 방영 직전인 올해 1~2월 2442대에서 방영 직후인 3~4월 4775대로 96% 증가했다. 이 기간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43% 늘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75%,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의 자연뿐 아니라 역사나 사람들의 삶을 진정성 있게 담아낸 콘텐츠로 제주를 이야기와 정서가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하게 한 계기였다”고 말했다.

제주관광공사는 ‘폭싹 속아수다’ 등 제주의 고유한 매력을 담은 콘텐츠를 활용해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자료는 제주관광빅데이터 서비스플랫폼 내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폭싹 속았수다’는 1950년대부터 2025년까지 오애순(아이유)과 양관식(박보검)의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16부작 드라마다. 넷플릭스에서 올해 3월 7일 첫 방영됐다. 제목은 제주도 방언으로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뜻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84 아빠의 성폭력, 18년 지나서야 털어놨다…'공소시효' 말나오는 이유 랭크뉴스 2025.07.01
49683 "트럼프, 10월 APEC 때 방한시 北김정은과 판문점 회동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82 [단독] 정부, ‘한국판 인플레감축법’ 추진…AI·에너지 분야 보조금 랭크뉴스 2025.07.01
49681 백악관 “감세법안 통과 후 대통령과 국가별 관세율 정할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80 [속보] “엔비디아 또 사상 최고”…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79 [단독]‘공짜 여론조사·공천 개입’ 뇌물로 봤나···김건희 특검, ‘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 랭크뉴스 2025.07.01
49678 트럼프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뭐길래... "온갖 내용 뒤엉킨 슈퍼 공약" 랭크뉴스 2025.07.01
49677 [단독] 용산파견 공무원에 '잔류' 물었다…李대통령식 용인술 랭크뉴스 2025.07.01
49676 [샷!] "부모님이 말려도 어쩔 수 없어요" 랭크뉴스 2025.07.01
49675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674 정성호 “검찰개혁, 국민에 피해 없어야”…윤호중 “경찰국 폐지” 랭크뉴스 2025.07.01
49673 트럼프의 ‘본능’이자 ‘무기’···반이민 지휘하는 39세 극우책사[시스루피플] 랭크뉴스 2025.07.01
49672 “1시간만 늦었으면 나도”···1년이 지나도, 기억은 여전했다[시청역 차량 돌진 사고 1주기] 랭크뉴스 2025.07.01
49671 "일본여행 갈 때는 오른쪽 좌석이 유리"…항공권 예약 '꿀팁' 모았다 랭크뉴스 2025.07.01
49670 “이재명 유죄” “국부 이승만”···교육과 설교 사이, 기독대안학교의 위험한 밸런스 게임 랭크뉴스 2025.07.01
49669 대통령실은 ‘협치’, 민주당은 ‘전면전’···이재명 정부의 투 트랙 전략 랭크뉴스 2025.07.01
49668 ‘검찰’ 봉욱에, ‘유임’ 송미령에···‘대선 연대’ 혁신당·진보당, 여당과 미묘한 균열 랭크뉴스 2025.07.01
49667 "귀신보다 집값이 무서워"…'고독사 주택'마저 인기라는 이 나라[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1
49666 "트럼프, 10월 APEC 때 방한하면 김정은과 판문점 회동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65 美 관세협상 실패땐 GDP 9조원 증발…"관세 부과 전으로 못 돌아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