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4월경부터 북방한계선 등 전선지역 수 개소에서 다수병력을 투입해 경계력 보강 일환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대규모 북한군이 전선지역에 투입된 모습 . 뉴스1
북한이 지난 25일 유엔사령부 측에 최전방의 작업을 재개하겠다는 통지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0월 북한이 남북 연결 도로를 폭파하기 전 유엔사 측에 통지문을 보낸 지 8개월 만이다. 동시에 북한은 자국 주민들의 송환 방식 여부엔 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북한이 한·미 새 정부를 떠보기 위해 ‘선택적 소통’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 긍정 신호에 무게…"메시지 보낸 자체 의미"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군 당국은 이달 25일 통지문 형식으로 유엔사에 비무장지대(DMZ) 안의 기존 작업을 재개하겠다고 통보했다. 북한은 지난해 초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 단절 지시에 따라 군사분계선(MDL) 일대를 따라 지뢰를 매설하고 철조망과 전술 도로 등을 조성하고 있는데, 이 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알린 것이다. 북한은 서부·중부·동부 전선 주요 도로의 축선엔 대전차 방벽을 쌓고 있다.

군에 따르면 이런 단절 작업은 지난 겨울 동계 훈련 동원 등을 이유로 뜸해졌다가 최근 일부 재개 됐다. 유엔사 통지 이후 접적 지역에서 하루 1000여명이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수천~1만명이 작업을 하던 이전보다는 적은 인원이지만, 재개 직전 유엔사에 통지문을 보낸 건 이례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다.

당장 정부는 긍정적인 신호라는 데 무게를 뒀다. 국방부는 30일 북한의 통지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번 북한의 통지는 남북 간 긴장 완화와 관련된 의미 있는 메시지로 볼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예단하기는 어렵다”면서 “우리 군은 긴장 완화와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어 국방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내용과 메시지 보낸 것 자체를 의미 있다고 본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방부가 유엔사와 북한 간 소통을 직접 확인하면서 ‘남북 간 긴장 완화와 관련된 의미 있는 메시지’란 해석까지 단 건 이례적이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9일 동·서해 남북 연결도로를 물리적으로 폭파하기에 앞서 유엔사에 관련 통지를 한 적이 있다. 당시 국방부는 “세부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만 했다.

이는 정부 내 달라진 기류를 반영한다는 해석이다. 이재명 정부는 9·19 남북군사합의 복원 방침 등을 비롯한 대북 유화 기조를 밝혔는데, 이에 따라 대북 확성기 방송도 먼저 중단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 중단도 이끌어냈다고 자평하고 있다. 유엔사도 이번 통지에 대해 “구체적인 상황은 언급하지 않겠다”면서도 “사전 통지는 오해와 착오의 위험성을 완화하는데 유용하다”며 북한의 소통 시도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취지의 입장을 냈다.



"북한 주민 송환 관련 내용 없어"
2011년 2월 서해상에 표류해 남하한 북한의 소형 목선을 해경 함정이 북한에 인계하기 위해 끌고 가고 있다. 당시 북한 주민 31명이 어선을 타고 연평도 해상으로 남하했다가 이 중 4명이 귀순하고 27명은 북한으로 돌아갔다. 연합뉴스
다만 근본적으로 이번 통지문이 MDL 내 지뢰 매설 등 대남 적대 조치를 재개한다는 내용이란 점에서 이를 곧바로 대화 신호로 받아 들이기엔 무리수라는 지적도 있다. 북한의 이번 통지가 남북 관계 단절의 방향성은 유지하되 저강도의 소통부터 한·미의 반응을 봐가며 향후 대응 수위를 결정해가려는 것일 수 있다는 해석이다.

특히 북한은 남측에 표류해 온 북한 주민 6명(서해 2명, 동해 4명)이 송환을 원하는 데 대한 입장은 이번 통지문에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사가 지난 4월부터 꾸준히 주민들의 귀환 의지를 북측에 알린 점을 고려하면 해석에 따라 주민들을 받을 생각이 없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의 관심사는 남북 대화 재개 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2기 미 행정부의 반응을 떠보려는 데 맞춰져 있을 수 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수령은 거절하면서도 트럼프에 대한 직접 비판은 피해 왔는데, 통지문을 통해 미측과의 대화 재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간보기’를 시도하는 것일 수는 있다는 해석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15 유치원생 흰머리에 이가 까맣게…떡·옥수수에 납 성분 첨가제 랭크뉴스 2025.07.08
53214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자녀 조기유학 법 위반 “국민께 송구” 랭크뉴스 2025.07.08
53213 노벨경제학자들 “초부유층, 공공부담 기여 미미해” 랭크뉴스 2025.07.08
53212 [단독] "V가 영장 걱정" "다 막겠다"‥김건희-김성훈 텔레그램도 추궁 랭크뉴스 2025.07.08
53211 "한 말씀 올리겠다" "하지 마라"…이진숙 돌발발언, 李대통령 '격노' 랭크뉴스 2025.07.08
53210 "'美국무장관 사칭자', 외국장관 등에 AI음성·메시지로 연락" 랭크뉴스 2025.07.08
53209 “평생 용접했는데 AI?”…기로에 선 제조 대한민국 랭크뉴스 2025.07.08
53208 창원 미용실 흉기 난동 진압 경찰 철수하다 총기 오발 ‘아찔’ 랭크뉴스 2025.07.08
53207 폭염 후 기습폭우에 퇴근길 곳곳 혼란…도로·하천 통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8
53206 폭염엔 손풍기 말고 '이것'…체감온도 -10도 낮추는 생존템 떴다 랭크뉴스 2025.07.08
53205 [단독]채 상병 특검, 국방부에 김동혁 검찰단장 직무배제 요청 랭크뉴스 2025.07.08
53204 김태효 11일 직권남용 피의자 소환…‘VIP 격노설’ 실체 밝혀질까 랭크뉴스 2025.07.08
53203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중에도…가자지구서 105명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202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 박수영에…국힘 조경태가 한 말 랭크뉴스 2025.07.08
53201 특검, 尹 부부 공천개입 '퍼즐 맞추기' 나서... 명태균 의혹 전방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200 "이 날씨에 에어컨 껐다"…예산 아끼려던 초등학교, 하루 만에 결국 랭크뉴스 2025.07.08
53199 13층 상가건물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98 서울 117년 만에 가장 더웠던 7월...전력 수요는 이틀 연속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8
53197 7월 초에 첫 ‘40도’···태백산맥 서쪽 덥히는 '마의 동풍' 11일까지 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96 "돌이켜보면 크게 후회"‥방첩사령관의 뒤늦은 '참회'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