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뉴스1


정부가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기준 추가 완화를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수도권 집값을 잡기 위해 내린 조치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신생아 대출의 소득 요건을 부부합산 2억원에서 더는 완화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저출산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통해 신생아대출을 받을 수 있는 부부합산 소득 요건을 올해부터 2억5000만원으로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가 이를 취소한 것이다.

배경은 이렇다. 정책대출이 집값을 끌어올리는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큰 데다, 정책대출 규모가 급증하며 재원인 주택도시기금이 빠르게 고갈되고 있기 때문.

신생아 특례대출은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내에 출산·입양한 무주택 가구나 1주택 가구(대환 대출)에 저리로 최대 5억 원까지 주택 구입 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다. 지난해 1월 29일 도입됐다.

전용면적 85㎡, 9억 원 이하 주택이 대상이다.

출산율을 끌어올린다는 취지 아래 처음엔 부부합산 연소득 1억3000만원까지 연 1%대의 저금리로 대출을 제공했다.

이후 출시된 지 5개월도 안 되는 기간에 정부는 두 차례 소득 기준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연소득 기준 2억원'에서 지난해 6월에는 2억 5000만원까지 확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연소득 요건을 2억 원으로 올리자 신생아대출 신청 액수(구입자금·전세자금포함)는 월 1조원으로 훌쩍 뛰었다.

정부는 2025년∼2027년 사이 출산한 가구에 대해선 3년간 한시적으로 소득 기준을 2억5000만 원까지 추가로 높여 고소득 맞벌이 부부도 저금리 정책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었으나, '정책대출 조이기' 기조 속에 없던 일이 됐다.

한편 지난 28일부터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 한도는 5억원에서 4억원으로 1억원 축소됐고, 버팀목 대출도 3억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한도가 줄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36 [속보] 정성호 "수사-기소 분리 국민 공감대 있다 생각" 랭크뉴스 2025.07.01
49735 尹, 내란특검 2차조사 불출석‥특검, 첫 불응에 재통보 방침 랭크뉴스 2025.07.01
49734 [속보] 정성호 “검찰해체 표현 부적절…국민 눈높이 맞는 개혁해야” 랭크뉴스 2025.07.01
49733 [단독]‘나는 솔로’ 출연 30대 남성,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7.01
49732 [속보] 6월 수출 플러스 전환 '안도'... 상반기 수출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유지 랭크뉴스 2025.07.01
49731 [속보] 尹,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30 [속보] 윤석열,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29 업비트, 상반기 상장한 35개 코인 50~80% 급락… “설거지 코인 상장했나” 랭크뉴스 2025.07.01
49728 [속보] 윤 전 대통령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27 [Why]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 거래액 증가에도 적자 전환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1
49726 [속보] 尹,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25 尹, 내란특검 2차조사 불출석…특검 첫 소환불응에 재통보 방침 랭크뉴스 2025.07.01
49724 송도 펫페어, 강아지 ‘50% 할인’ 판매…“속 울렁거린다” 랭크뉴스 2025.07.01
49723 S&P500 신고가 경신했지만… 비트코인은 10만7000달러 소폭 하락 랭크뉴스 2025.07.01
49722 [속보] 6월 수출 598억불…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 랭크뉴스 2025.07.01
49721 [르포] “가계약금 1억~2억 날릴 판”… 6.27 대책에 잠실 ‘직격탄’ vs 노원 ‘강세’ 랭크뉴스 2025.07.01
49720 엄마 카드 찍던 아들…부정 승차로 천8백만 원 낸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7.01
49719 헬리콥터에서 떨어지는 돈다발? 랭크뉴스 2025.07.01
49718 [사이테크+]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랭크뉴스 2025.07.01
49717 김용민 "중수청 가면 '검사' 명칭 못 써"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