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취임 27일째, 지명 안 한 장관은 두 명뿐…역대 정부 비교해도 빠른 편
국회 검증 문턱 넘어야…'김민석 국회 인준' 첫 고비될 듯


추경 시정연설 하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5.6.26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속전속결'로 1기 내각 인선 작업을 마무리해가고 있다. 지난 23일과 29일 두 차례의 내각 인선 발표로 총 19개 행정부 가운데 17명의 장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이다.

이 대통령이 취임한 지 27일째인 30일 현재 내각 후보자 가운데 빈 곳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 두 곳뿐이다.

이런 인선 속도는 앞선 정부들과 비교해도 빠른 편에 속한다.

이재명 정부와 똑같이 인수위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1기 내각 지명을 완료하기까지 54일이 걸렸다.

인수위를 거쳐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당선일부터 내각 지명 완료까지 36일이 걸렸고, 박근혜 정부는 60일이 소요됐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의 리더십 공백 상태가 장기화한 데다 대내외적 경제·안보 상황도 엄중하다는 판단에 따라 국정 안정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보고 최대한 조각을 서두른 것으로 분석된다.

라인업을 짜는 데에는 속도가 났지만, 아직 청문 정국이라는 고비가 남아 있다.

국회 검증 과정에서 일부 인사들의 능력이나 도덕성 등에 결함이 발견된다면 이 대통령의 '속전속결 국정안정' 구상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오광수 전 민정수석이 재산 관련 의혹 등으로 사퇴한 가운데 추가 낙마자가 나올 경우 임기 초 이 대통령의 리더십과 국정 동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서 비교적 이른 36일 만에 내각 인선을 마무리했던 윤석열 정부의 경우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거듭된 낙마 탓에 2022년 10월에야 1기 내각의 임명절차를 완료할 수 있었다.

강훈식 비서실장, 장관급 추가 인선 발표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장관급 추가 인선을 발표하고 있다. 2025.6.29 [email protected]


이에 이 대통령은 청문 정국에서의 중대한 자격 논란이 최대한 불거지지 않기를 바라며 국회의 검증 과정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포함해 8명의 현역 국회의원을 입각시킨 배경에는 더불어민주당과의 유기적 협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 야당의 검증 수위에도 다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고려 역시 일부 깔렸을 수 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미 김 후보자의 청문 과정에서 재산 형성 등을 집요하게 문제 삼으며 사퇴를 요구하는 등 청문 정국을 통해 야당의 존재감을 보여주겠다고 벼르는 형국이다.

이번 주 중 본회의에서 김 후보자의 인준안이 처리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이 과정에서 여야 간의 긴장이 완화될지 혹은 더 고조될지에 따라 이 대통령 앞에 놓일 청문 정국의 '난이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민의힘이 내부 정비가 완료되지 않았다는 점이 변수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의힘도 이제 빠르게 전당대회 준비로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총리 후보자 인준 문제에만 매달리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92 [2025 하반기 부동산 전망]① “한강벨트 집값 조정될 것, 초양극화·풍선효과 우려도” 랭크뉴스 2025.07.01
49691 무역협상 낙관론 확산…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90 [단독] 러-우 전쟁 이후 첫 러시아 발레단 내한공연에 우크라 대사관 중단 요청 랭크뉴스 2025.07.01
49689 [단독] 경상대 의대, ‘저소득층 지역인재’ 전형 3년 누락…교육부는 방관 랭크뉴스 2025.07.01
49688 [단독] 전영현, 엔비디아와 HBM3E 12단 공급 논의… 삼성 '반격'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1
49687 나경원은 왜 국회에 텐트를 쳤을까···‘야당’ 한 달, 국힘의 쇄신은 몇 점?[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1
49686 “쌀 부족하다며 미국쌀 수입 안 해” 트럼프, 일본에 불만 표출…관세 일방통보 압박 랭크뉴스 2025.07.01
49685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하루 만에 친정서 “지명 철회하라” 공개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49684 아빠의 성폭력, 18년 지나서야 털어놨다…'공소시효' 말나오는 이유 랭크뉴스 2025.07.01
49683 "트럼프, 10월 APEC 때 방한시 北김정은과 판문점 회동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82 [단독] 정부, ‘한국판 인플레감축법’ 추진…AI·에너지 분야 보조금 랭크뉴스 2025.07.01
49681 백악관 “감세법안 통과 후 대통령과 국가별 관세율 정할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80 [속보] “엔비디아 또 사상 최고”…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79 [단독]‘공짜 여론조사·공천 개입’ 뇌물로 봤나···김건희 특검, ‘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 랭크뉴스 2025.07.01
49678 트럼프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뭐길래... "온갖 내용 뒤엉킨 슈퍼 공약" 랭크뉴스 2025.07.01
49677 [단독] 용산파견 공무원에 '잔류' 물었다…李대통령식 용인술 랭크뉴스 2025.07.01
49676 [샷!] "부모님이 말려도 어쩔 수 없어요" 랭크뉴스 2025.07.01
49675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674 정성호 “검찰개혁, 국민에 피해 없어야”…윤호중 “경찰국 폐지” 랭크뉴스 2025.07.01
49673 트럼프의 ‘본능’이자 ‘무기’···반이민 지휘하는 39세 극우책사[시스루피플]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