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8일 대구에 폭염경보(군위 제외)가 내려진 가운데 중구 동성로에서 시민들이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휴대용 선풍기로 더위를 식히며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월요일인 30일은 전국 곳곳에 ‘찜통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부터 인천과 경기, 강원 내륙 및 산지, 오후부터 경북권 남서 내륙과 경남 서부 내륙, 제주 등에 소나기가 내린다고 예보했다.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 5~20㎜, 대구·경북 남서 내륙·경남 서부 내륙 5~20㎜, 강원 내륙·산지 5~10㎜, 제주 5㎜ 안팎 등이다.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선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칠 수 있으니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낮 예상 최고 기온은 서울 30도, 인천 27도, 춘천 30도, 강릉 34도, 대전 33도, 대구 35도, 전주 34도, 광주 34도, 부산 30도, 제주 31도다. 폭염특보가 발효된 남부 지역과 제주도에는 최고 체감온도가 35도까지 오를 수 있으니 온열 질환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대구에 올해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지난 27일 동대구역 버스정류장에 쿨링포그가 가동되고 있다. 연합뉴스

일부 지역에는 열대야(밤사이 최저기온 25도 이상)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밤사이 서울에선 올해 첫 열대야가 관측되기도 했다. 전날 오후 6시부터 서울 최저기온이 25.6도가 유지된 것으로 역대 4번째 6월 열대야로 기록됐다.

이날 미세먼지의 경우 전 권역이 강수 영향으로 ‘좋음’∼‘보통’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오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짙은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이날 전국적으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가운데 부산 일부 지역도 34도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99 김민석 총리 인준 대치… 與 “방해하면 민형사상 책임” 野 “지명 철회하라” 랭크뉴스 2025.07.01
49798 특검, 계엄 선포문건 사후에 작성됐다 폐기된 의혹 수사... 한덕수도 서명 랭크뉴스 2025.07.01
49797 [속보]심우정 검찰총장 사의···취임 9개월 만에, 오늘 입장문 낼 듯 랭크뉴스 2025.07.01
49796 '41도' 불덩이 폭염에 파리 에펠탑도 휜다…佛 휴교·재택근무 잇따라 랭크뉴스 2025.07.01
49795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취임 9개월 만에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7.01
49794 이 대통령, ‘국회 무시’ 이진숙 겨냥? “선출된 권력 존중해야” 랭크뉴스 2025.07.01
49793 “지구상 가장 위험한 새”…현관 앞까지 쫓아와 ‘공포’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7.01
49792 새정부 인사 앞둔 검찰…심우정 총장 퇴진…고위간부 줄사직(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791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 표명…오후 3시 입장문 낼 듯 랭크뉴스 2025.07.01
49790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검찰개혁 투톱 낙점에 결정한 듯 랭크뉴스 2025.07.01
49789 내란특검 “尹에 7월 5일 오전 9시 출석 통지" 랭크뉴스 2025.07.01
49788 [속보] 윤석열, 2차 소환 불응…내란특검 “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7.01
49787 이재명 대통령 “부동산 문제, 결국 ‘이것’ 때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1
49786 [속보]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에게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랭크뉴스 2025.07.01
49785 주주 속타는 경영권 분쟁…양보 없는 남매 전쟁터, 한국콜마 랭크뉴스 2025.07.01
49784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 표명…오후 3시 입장 발표 랭크뉴스 2025.07.01
49783 [속보]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에게 7월 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7.01
49782 [1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7.01
49781 [속보] 내란특검 “尹에 7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랭크뉴스 2025.07.01
49780 [속보] 이 대통령 "주택이 투기수단 돼 주거 불안정 초래했다"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