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기 산업, 캄보디아 GDP 절반 창출"
캄보디아, "앰네스티 보고서 과장돼"
캄보디아의 한 사기 작업장 건물.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캄보디아 정부가 인신매매와 대규모 사기가 벌어지는 작업장 수십 곳을 방치하고 있다는 국제 인권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당국의 묵인과 부패 속에 범죄가 사실상 용인되면서 캄보디아가 온라인 사기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
이다.

인신매매 후 범행 강요



2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인권단체 국제 앰네스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전역에서 53개의 대규모 사기 작업장과 수십 곳의 의심 시설을 확인
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피해 생존자, 목격자, 정부 관계자 등 총 58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앰네스티는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산업이 ‘극단적으로 폭력적이고 착취적인’ 노동 관행 위에 번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 작업장은 가짜 구인 광고로 피해자들을 유인한 뒤 여권을 압수하고 감금한 채 투자 사기·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가상화폐 사기 등 범행을 강요했다.

높은 벽과 보안 카메라로 둘러싸인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작업장을 항공 촬영한 사진.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목표 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구타와 고문, 전기 충격이 가해졌다. 시설은 철조망과 무장 경비원으로 둘러싸여 도망칠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9명 포함
됐다.

18세 태국 소년 루이스는 “고소득 일자리를 제안받아 방콕에 갔다가 캄보디아 사기 작업장으로 끌려갔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곳에서 딥페이크 소프트웨어로 가짜 남성 이미지를 만든 뒤 여성들을 속이고 돈을 뜯어내도록 강요받았다. 할당 금액인 월 최소 100만 밧(약 4,200만 원)을 채우지 못하면 전기충격기로 고문을 당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부가 묵인" 주장



보고서는 캄보디아 정부가 범죄를 인지하고도 방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단속으로 일부 시설이 폐쇄되긴 했지만,
전체 사기 작업장의 3분의 2 이상은 경찰 조사를 받지 않거나 수사 이후에도 계속 운영
되고 있다는 것이다.

몬세 페레르 앰네스티 동남아·태평양 지역 연구 책임자는 “당국은 내부 상황을 알고 있었고, 학대를 막을 수 있었지만 이를 묵인했다”며 “경찰의 개입은 대부분 보여주기식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캄보디아 프놈펜 외곽의 한 사기 작업장 건물. 범행과 고문 시설 등이 있다.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정부의 소극적 대응은 막대한 경제 이익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미국평화연구소(USIP)는
캄보디아 내 사기 산업이 현지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달하는 연간 125억 달러(약 17조 원)를 창출하고 있다고 추산
했다.

이번 보고서는 유엔의 기존 경고와도 맥을 같이한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달 “
캄보디아 내 온라인 사기, 인신매매 범죄가 사법 시스템의 부패 속에 번성
하고 있다”며 “공권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피해자들이 쉽게 구제받지 못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앰네스티 발표에 캄보디아 정부는 강하게 반발했다. 뺀보나 정부 대변인은 “올해 1월 훈마넷 총리가 이끄는 사기 단속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되는 등 정부는 손을 놓고 있지 않다”면서 “보고서가 과장됐다”고 항의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77 李 “이번 대출규제는 맛보기…부동산 관련 정책 많아” 랭크뉴스 2025.07.03
50776 [속보]이 대통령, ‘압도적 권력, 제왕적 대통령제’ 우려에 “그게 국민의 선택”[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75 인천 계양구청장 “국민 러브버그 참을 줄 알아야”… ‘주민 무시’ 비판 랭크뉴스 2025.07.03
50774 尹측 "특검 사건 이첩 무효" vs 내란특검 "납득 어려운 주장" 랭크뉴스 2025.07.03
50773 홍철호 전 정무수석, 굽네치킨 유통사 회장 복귀 ‘가능’ 랭크뉴스 2025.07.03
50772 [속보]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본회의 불참키로 랭크뉴스 2025.07.03
50771 “헤어지는 게 해결책 아닙니다”…남북 ‘부부’에 비유한 이 대통령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3
50770 李 "대출 규제 맛보기 불과…부동산 대책 엄청나게 남아있어" [취임 한달 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69 [속보] 이 대통령 "차별금지법, 중요한 과제지만 민생 경제가 더 시급" 랭크뉴스 2025.07.03
50768 李 “부동산 대출 규제는 맛보기…공급도 속도 충분히” 랭크뉴스 2025.07.03
50767 24시간이 모자라… ‘취임 한 달’ 李 “민생 회복이 최우선, 대출규제는 맛보기 불과”(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766 이재명 대통령 “30.5조 추경으로 민생·성장 동시 해결” [전문] 랭크뉴스 2025.07.03
50765 李 대통령 "주 4.5일제, 반드시 해내야 하는 과제" 랭크뉴스 2025.07.03
50764 전북어린이창의체험관 주차장서 3세 여아 차량에 치여 숨져 랭크뉴스 2025.07.03
50763 특검, 삼부토건 압수수색…김건희 ‘주가조작’ 가담 여부 조준 랭크뉴스 2025.07.03
50762 국힘 내 인적 쇄신 요구 분출 “중진 총선 불출마, 2선 후퇴 선언해야” 랭크뉴스 2025.07.03
50761 李 "새 신도시 건설? 목 마르다고 소금물 계속 마시는 격" [취임 한달 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60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에 불과…부동산 정책 엄청 많아" 랭크뉴스 2025.07.03
50759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 구속…"도주 우려"(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758 이 대통령 “눈치가 좀 보이지만, 하루가 30시간이었다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