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기 산업, 캄보디아 GDP 절반 창출"
캄보디아, "앰네스티 보고서 과장돼"
캄보디아의 한 사기 작업장 건물.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캄보디아 정부가 인신매매와 대규모 사기가 벌어지는 작업장 수십 곳을 방치하고 있다는 국제 인권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당국의 묵인과 부패 속에 범죄가 사실상 용인되면서 캄보디아가 온라인 사기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
이다.

인신매매 후 범행 강요



2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인권단체 국제 앰네스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전역에서 53개의 대규모 사기 작업장과 수십 곳의 의심 시설을 확인
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피해 생존자, 목격자, 정부 관계자 등 총 58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앰네스티는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산업이 ‘극단적으로 폭력적이고 착취적인’ 노동 관행 위에 번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 작업장은 가짜 구인 광고로 피해자들을 유인한 뒤 여권을 압수하고 감금한 채 투자 사기·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가상화폐 사기 등 범행을 강요했다.

높은 벽과 보안 카메라로 둘러싸인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작업장을 항공 촬영한 사진.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목표 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구타와 고문, 전기 충격이 가해졌다. 시설은 철조망과 무장 경비원으로 둘러싸여 도망칠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9명 포함
됐다.

18세 태국 소년 루이스는 “고소득 일자리를 제안받아 방콕에 갔다가 캄보디아 사기 작업장으로 끌려갔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곳에서 딥페이크 소프트웨어로 가짜 남성 이미지를 만든 뒤 여성들을 속이고 돈을 뜯어내도록 강요받았다. 할당 금액인 월 최소 100만 밧(약 4,200만 원)을 채우지 못하면 전기충격기로 고문을 당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부가 묵인" 주장



보고서는 캄보디아 정부가 범죄를 인지하고도 방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단속으로 일부 시설이 폐쇄되긴 했지만,
전체 사기 작업장의 3분의 2 이상은 경찰 조사를 받지 않거나 수사 이후에도 계속 운영
되고 있다는 것이다.

몬세 페레르 앰네스티 동남아·태평양 지역 연구 책임자는 “당국은 내부 상황을 알고 있었고, 학대를 막을 수 있었지만 이를 묵인했다”며 “경찰의 개입은 대부분 보여주기식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캄보디아 프놈펜 외곽의 한 사기 작업장 건물. 범행과 고문 시설 등이 있다.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정부의 소극적 대응은 막대한 경제 이익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미국평화연구소(USIP)는
캄보디아 내 사기 산업이 현지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달하는 연간 125억 달러(약 17조 원)를 창출하고 있다고 추산
했다.

이번 보고서는 유엔의 기존 경고와도 맥을 같이한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달 “
캄보디아 내 온라인 사기, 인신매매 범죄가 사법 시스템의 부패 속에 번성
하고 있다”며 “공권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피해자들이 쉽게 구제받지 못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앰네스티 발표에 캄보디아 정부는 강하게 반발했다. 뺀보나 정부 대변인은 “올해 1월 훈마넷 총리가 이끄는 사기 단속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되는 등 정부는 손을 놓고 있지 않다”면서 “보고서가 과장됐다”고 항의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01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100 [단독] 부사관 양성 22년 ‘전설의 교관’, 합참 주임원사 내정 랭크뉴스 2025.07.02
50099 [단독] 더본코리아 ‘빽다방’ 본부급 격상 추진… 전화위복 계기 될까 랭크뉴스 2025.07.02
50098 이 대통령 “임명권력은 선출권력 존중해야” 작심 발언 랭크뉴스 2025.07.02
50097 "이러다가 에펠탑 무너지는 거 아냐?"…'20cm' 변형된다는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2
50096 [속보] 트럼프 대규모 감세안 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 랭크뉴스 2025.07.02
50095 "이젠 한국이 더 맛있다"…본고장 미국 마저 홀린 '이 음식' 랭크뉴스 2025.07.02
50094 심우정 전격 사의, 검찰개혁에 반발 랭크뉴스 2025.07.02
50093 英법원, 58년전 성폭행·살인 혐의 92세 노인에 종신형 랭크뉴스 2025.07.02
50092 심우정, 검찰개혁 진용 갖춰지자마자 ‘물러날 결심’…내부선 “윤석열만큼 조직에 패악” 랭크뉴스 2025.07.02
50091 트럼프 감세 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표'로 가결 랭크뉴스 2025.07.02
50090 내란 특검, 재출석 거부한 윤석열에 “5일 나오라”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7.02
50089 쿠바, 美의 제재 강화에 "굴복 안해"…전력난에 블랙아웃 심화 랭크뉴스 2025.07.02
50088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연봉 1억이면 대출 6800만원 ↓ 랭크뉴스 2025.07.02
50087 "나라도 극장 안 가"…천만 영화가 뭐죠? 손익분기점 넘는 작품도 고작 랭크뉴스 2025.07.02
50086 심우정, 검찰개혁 앞두고 “사퇴”…이재명 정부, ‘검찰 물갈이’ 시작 랭크뉴스 2025.07.02
50085 윤석열 ‘2차 소환’ 불응…특검 “7월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7.02
50084 감세법 비판한 머스크에 트럼프 “더 많은 것 잃을 수도···남아공 추방? 알아볼 것” 랭크뉴스 2025.07.02
50083 머스크의 xAI, 100억달러 자금 조달…오픈AI·앤트로픽 추격 랭크뉴스 2025.07.02
50082 "하늘이 내려야 하는 것"…서울대 서경석 '연예인 최초' 일냈다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