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폭스뉴스 인터뷰 "연장 가능···틱톡과 비슷"
이어 "25·35·50% 혹은 10% 편지보낼 것"
"美 자동차 업체, 韓·日보다 높은 관세 없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27일(현지 시간)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오는 7월 8일(현지 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만료일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오락가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터뷰 서두에는 “상호관세를 유예할 수 있다”고 말하더니 후반에는 “그냥 편지를 보낼 것이고, 그게 무역협상의 끝”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마감 시한이 다가오면서 다시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형국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 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관세를 연장하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럴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말하더니 돌연 “할 수 있다”고 말을 바꿨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사례와) 비슷하다. 나는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시한을 연장했지만 그건 큰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회자가 “만료를 앞둔 유예조치에 대해 무엇을 할지 명확하지 않다”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냥 편지를 보낼 것이고 그게 협상의 끝”이라고 잘라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 서한을 발송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보될 관세율과 관련 “해당 국가와의 무역적자나 상황을 살펴볼 것”이라며 “해당국이 우리를 어떻게 대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일부 국가는 신경쓰지 않고 단순히 통지서를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최종 시한을 앞두고 상대를 압박하며 최대의 양보를 이끌어내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날 사회자가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일본, 한국의 자동차 업체가 미국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하자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국,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해외에서 자동차를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는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받는 일은 없을 것이란 뜻으로 해석된다.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을 구독하시면 트럼프의 정책이 한국의 경제·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61 "연명의료 싫다" "끝까지 받겠다"...내 결정을 가족이, 의사가 막아섰다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1
49660 [단독]김건희 특검, 본격 수사 전 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 랭크뉴스 2025.07.01
49659 나란히 '신뢰 회복' 외친 의정, 진정한 '시험대'는 전공의 문제 랭크뉴스 2025.07.01
49658 대출 규제 사각지대에 쏠리는 눈…강북권 풍선 효과 우려 랭크뉴스 2025.07.01
49657 '시진핑 실각설' 떠도는데... 미 싱크탱크 "관영매체서 지위 약화" 랭크뉴스 2025.07.01
49656 [속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55 車부품, 항공·국방까지 털린다…中 기술 유출 통로 된 3D 프린팅 랭크뉴스 2025.07.01
49654 방에 다시 숨어든 '쉬었음' 청년… "민관 참여하는 패키지 대책 필요" 랭크뉴스 2025.07.01
49653 "尹정부서 후퇴"…국민참여예산 3년간 감소세 랭크뉴스 2025.07.01
49652 [단독] 주한 러시아 대사, 대선 때 친명 중진에 '특사 파견' 타진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51 이준석·권영국 득표율, 청년 거주 비율 높은 지역일수록 올라 랭크뉴스 2025.07.01
49650 이재명 힌트 주자 2조 몰렸다…"생활비로 쓰라" 배당주 꿀팁5 랭크뉴스 2025.07.01
49649 [2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48 대한민국 결정적 순간 60장면, 그 첫 번째는 87년 넥타이부대 [창간 60년 연중기획①] 랭크뉴스 2025.07.01
49647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46 "폭염에 철골 구조물 파리 에펠탑 20㎝ 변형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45 [단독] 정부, 5강 주재대사에 "2주 내 귀국하라" 지시 랭크뉴스 2025.07.01
49644 WHO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으로 매시간 약 10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1
49643 한은 "관세협상 실패로 관세전쟁 격화땐 美경제 타격 더클 수도" 랭크뉴스 2025.07.01
49642 [뉴욕유가] OPEC+ 공급 우려 속 나흘만에 하락…WTI, 0.6%↓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