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열 테스트용’ 채팅방까지 등장
“욕설 자체 제한은 과거부터 존재”
카카오톡. 연합뉴스

카카오가 지난 16일부터 ‘극단적 폭력주의 콘텐츠’를 제재하는 내용의 새 운영정책을 시행하면서 불거졌던 ‘검열’ 논란이 쉽사리 식지 않는 모양새다. ‘검열 테스트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하는 이용자들이 생겨나고, ‘채팅방에서 대통령을 욕하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식의 주장까지 퍼지고 있다. 카카오는 “욕설 사용 자체에 대한 제재는 과거부터 존재했으며 이번 운영정책 개정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29일 기준 카카오톡 오픈채팅에는 약 40개의 ‘검열 테스트방’이 존재했다. 이용자들은 자유롭게 오픈채팅방에 입장해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욕설 등을 작성하고 서로의 메시지를 신고한 뒤 카카오 측 제재 여부를 확인하고 있었다. A군(16)은 지난 15일 오픈채팅방을 개설해 이 대통령 관련 비하 발언을 한 뒤 대화방에 들어온 이용자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신고해달라 요청했다. 다음날 A군은 카카오 측으로부터 일주일간 오픈채팅 이용이 제한된다는 메시지를 받았다. 제한 사유는 ‘선정성·불건전 정보’의 공유였다.


일부 이용자는 여야 정치인 이름을 딴 대화방을 각각 개설해 비교하기도 했다. 30대 B씨는 지난 19일 이 대통령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욕설을 문패로 단 오픈채팅방을 개설했다. B씨는 개설 5분 만에 이 대통령 대화방만 일주일간의 이용제한 조치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제한 사유는 ‘욕설·증오발언’의 사용이었다.

카카오는 욕설·증오발언, 선정성·불건전 정보 등에 대한 제재는 예전부터 존재했던 정책이며, 이번 정책 개정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욕설·증오발언 등에 관한 운영정책은 2010년대부터 존재했으며 카카오톡 이외 대다수 플랫폼에서도 관리를 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이번 개정안의 주 목적은 테러 단체의 테러 행위에 대한 제재이기 때문에 이를 위반했을 경우 ‘폭력적 극단주의 정보’와 같은 별개의 사유가 명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일반채팅뿐 아니라 오픈채팅 대화도 ‘신고’ 기반으로만 검토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개인 간 대화 내용은 기술적으로 열람이 불가능하며 신고가 들어온 부분에 대해서만 정책 위반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다만 오픈채팅방 제목, 설명, 개설자 프로필은 채팅방에 입장하지 않아도 이용자 모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개된 콘텐츠’에 해당한다. 이같은 공개 콘텐츠에 대해서는 이용자 신고와 카카오 측의 모니터링이 함께 진행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주로 아동·청소년 대상의 그루밍 범죄나 성범죄, 성매매, 불법 약물 판매 등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 비하 대화방만 이용을 제한하는 것 같다’는 일부 이용자들의 주장에 대해 카카오 측은 “해당 이용자의 구체적인 제재 사유를 알 수 없지만 특정 인물에 대한 얘기를 썼다고 해서 제재 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은 없다”며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피신고 이력이 쌓인 경우가 아니라면 제재 최소화가 원칙”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04 FBI 등 美안보기관들 "이란 관련 해커들의 사이버공격 주의" 랭크뉴스 2025.07.01
49603 [사설] 美 “관세 유예 연장 불필요”…기업 피해 최소화 위해 총력전 펴라 랭크뉴스 2025.07.01
49602 [사설]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허한 지방 지원책이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1
49601 보훈부가 지원한 역사 왜곡?‥'이승만 찬양' 스피치 대회 랭크뉴스 2025.07.01
49600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물러나는 김용태 “개혁 점수 0점” 랭크뉴스 2025.07.01
49599 이란 ‘12일의 전쟁’ 피해는 큰데, 책임지는 지도자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1
49598 휴전 논의차 미 백악관 가는 이스라엘 장관... 가자지구선 무차별 폭격 랭크뉴스 2025.07.01
49597 3G 서비스 계속된다…통신사 주파수 재할당 랭크뉴스 2025.07.01
49596 서울대 역도부장·李 대통령 38년지기…법무장관 후보자는 누구 랭크뉴스 2025.07.01
49595 배추 18포기 놓고 ‘자체 김민석 청문회’ 연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7.01
49594 “이란 ‘저농축 우라늄 시설’ 필요…미국과 대화, 신뢰회복 먼저” 랭크뉴스 2025.07.01
49593 국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당내서도 “도로 친윤당” 랭크뉴스 2025.07.01
49592 “이스라엘군에 죽음을!”···영국 최대 음악축제서 생중계된 ‘이스라엘 규탄’ 구호 랭크뉴스 2025.07.01
49591 “윤석열 정부 때 사회권 전반적으로 퇴행”···시민단체들, 유엔에 보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01
49590 트럼프 행정부 "하버드대 유대인 학생 위협 방치…민권법 위반" 랭크뉴스 2025.07.01
49589 또 다슬기 참변‥공 주우러 물에 들어간 어린이 숨져 랭크뉴스 2025.06.30
49588 美재무 "성실히 협상하는 국가도 저항하면 상호관세 다시 부과" 랭크뉴스 2025.06.30
49587 ‘복지부 장관 내정’ 정은경 환영한 의사단체들…“신뢰·협력 관계 복원 시급” 랭크뉴스 2025.06.30
49586 “1일에도 못 나가, 5일 이후로”…윤석열의 ‘내란특검 출석일’ 몽니 랭크뉴스 2025.06.30
49585 이탈리아 나폴리 인근 화산지대서 40년만 최대 규모 지진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