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열 테스트용’ 채팅방까지 등장
“욕설 자체 제한은 과거부터 존재”
카카오톡. 연합뉴스

카카오가 지난 16일부터 ‘극단적 폭력주의 콘텐츠’를 제재하는 내용의 새 운영정책을 시행하면서 불거졌던 ‘검열’ 논란이 쉽사리 식지 않는 모양새다. ‘검열 테스트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하는 이용자들이 생겨나고, ‘채팅방에서 대통령을 욕하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식의 주장까지 퍼지고 있다. 카카오는 “욕설 사용 자체에 대한 제재는 과거부터 존재했으며 이번 운영정책 개정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29일 기준 카카오톡 오픈채팅에는 약 40개의 ‘검열 테스트방’이 존재했다. 이용자들은 자유롭게 오픈채팅방에 입장해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욕설 등을 작성하고 서로의 메시지를 신고한 뒤 카카오 측 제재 여부를 확인하고 있었다. A군(16)은 지난 15일 오픈채팅방을 개설해 이 대통령 관련 비하 발언을 한 뒤 대화방에 들어온 이용자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신고해달라 요청했다. 다음날 A군은 카카오 측으로부터 일주일간 오픈채팅 이용이 제한된다는 메시지를 받았다. 제한 사유는 ‘선정성·불건전 정보’의 공유였다.


일부 이용자는 여야 정치인 이름을 딴 대화방을 각각 개설해 비교하기도 했다. 30대 B씨는 지난 19일 이 대통령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욕설을 문패로 단 오픈채팅방을 개설했다. B씨는 개설 5분 만에 이 대통령 대화방만 일주일간의 이용제한 조치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제한 사유는 ‘욕설·증오발언’의 사용이었다.

카카오는 욕설·증오발언, 선정성·불건전 정보 등에 대한 제재는 예전부터 존재했던 정책이며, 이번 정책 개정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욕설·증오발언 등에 관한 운영정책은 2010년대부터 존재했으며 카카오톡 이외 대다수 플랫폼에서도 관리를 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이번 개정안의 주 목적은 테러 단체의 테러 행위에 대한 제재이기 때문에 이를 위반했을 경우 ‘폭력적 극단주의 정보’와 같은 별개의 사유가 명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일반채팅뿐 아니라 오픈채팅 대화도 ‘신고’ 기반으로만 검토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개인 간 대화 내용은 기술적으로 열람이 불가능하며 신고가 들어온 부분에 대해서만 정책 위반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다만 오픈채팅방 제목, 설명, 개설자 프로필은 채팅방에 입장하지 않아도 이용자 모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개된 콘텐츠’에 해당한다. 이같은 공개 콘텐츠에 대해서는 이용자 신고와 카카오 측의 모니터링이 함께 진행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주로 아동·청소년 대상의 그루밍 범죄나 성범죄, 성매매, 불법 약물 판매 등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 비하 대화방만 이용을 제한하는 것 같다’는 일부 이용자들의 주장에 대해 카카오 측은 “해당 이용자의 구체적인 제재 사유를 알 수 없지만 특정 인물에 대한 얘기를 썼다고 해서 제재 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은 없다”며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피신고 이력이 쌓인 경우가 아니라면 제재 최소화가 원칙”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17 김용민 "중수청 가면 '검사' 명칭 못 써"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16 도카라 법칙? 열흘간 지진 683회… 日 7월 대지진 공포 랭크뉴스 2025.07.01
49715 [유지혜의 시선] ‘I’를 달성하는 방법 랭크뉴스 2025.07.01
49714 7월 첫째날 체감온도 35도까지 올라... 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 예보 랭크뉴스 2025.07.01
49713 [단독]‘여론조사-공천’ 뇌물로 봤나···‘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한 김건희 특검 랭크뉴스 2025.07.01
49712 [단독] 경상대 의대, ‘저소득층 지역인재’ 전형 3년 누락…교육부 방관 랭크뉴스 2025.07.01
49711 “형이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李, 유머·공감·메모하며 소통 랭크뉴스 2025.07.01
49710 "10초도 못 서 있어"‥'러브버그' 공포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7.01
49709 [단독]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하루 만에 친정서 “지명 철회하라” 공개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8 "오늘 무조건 신청해야겠네"…'月 70만원' 넣으면 5년 뒤 5000만원 꽂힌다 랭크뉴스 2025.07.01
49707 글로벌 ‘산업 보조금’ 각축 한국 가세…잃어버린 ‘윤석열 3년’ 극복할까 랭크뉴스 2025.07.01
49706 불법계엄 연루 인물 중 가장 늦게···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심판, 오늘 첫 심리 랭크뉴스 2025.07.01
49705 자사주 매입도 무용지물...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난 셀트리온 랭크뉴스 2025.07.01
49704 해바라기 "사랑은 줄 때도 받을 때도 행복, 평생 노래한 이유죠" 랭크뉴스 2025.07.01
49703 진용 갖춘 법무·민정‥'검찰 개혁' 방향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02 대낮에 나체로 돌아다니던 50대 여성, 80대 모친 살해 혐의로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7.01
49701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美, '北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0 [단독] AI·에너지 산업에 보조금…‘한국판 IRA’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7.01
49699 “물들어올때 노 저어야”…상법개정안 오늘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7.01
49698 벌써 취임 한 달?‥'100일' 안 기다리고 첫 회견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