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개 하루 만에 글로벌 1위 기록
외신, "불쾌한 경험" vs "강렬한 한 방"
로튼토마토 시청자 52%만 '긍정' 평가
'미국판 오징어 게임' 나올지도 관심
'오징어 게임' 시즌3의 성기훈(이정재). 넷플릭스 제공


‘오징어 게임’의 마지막 이야기인 시즌3가 공개 하루 만에 93개국에서 시청 순위 1위에 올랐다. 외신들은 시즌3에 대해 “일차원적이고 불쾌한 경험”이라는 혹평과 “본연의 잔혹한 매력을 발휘했다”는 호평 등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엇갈린 평론가들, 냉담한 시청자들



29일 온라인 콘텐츠 순위 집계 사이트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지난 27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 시즌3가 공개 하루 뒤인 28일 전체 조사 대상 국가 93개국에서 TV쇼 부문 시청 1위를 기록했다. 시즌3가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켰던 앞선 시즌의 기록을 이어갈지 관심이 모인다. ‘오징어게임’ 시즌1(2021)은 넷플릭스 역대 TV쇼 중 최다 시청 1위, 지난해 12월 공개된 시즌2는 역대 최다 시청 3위를 기록했다.

‘오징어 게임’ 시즌3에는 참가자들이 목숨을 걸고 벌이는 살인 게임과 성기훈(이정재)의 마지막 운명이 담겼다. 시즌1에서 게임의 최종 우승자였던 기훈은 시즌2에서 게임을 멈추려 반란을 일으켰다 실패했고, 시즌3에서 다시 게임에 참여한다.

'오징어 게임' 시즌3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시즌3에 대한 외신의 평가는 엇갈린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캐릭터들이 일차원적이고 예측 가능하다”며 “준호(위하준)가 게임의 무대가 되는 섬을 찾는 과정은 무의미한 서브플롯이며 가면을 쓴 VIP들이 등장하는 장면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혹평했다. 영국 가디언은 “잔혹함이 극심해졌고 폭력은 고문처럼 계속되며, 초기 시즌의 풍자는 사라졌다”며 “볼거리는 있지만 시즌1처럼 날카로운 메시지를 담고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 미 연예전문지 할리우드리포트도 “가끔 나오는 몇 마디 통찰을 얻기엔 너무 먼 여정이고, 그 과정 또한 대체로 불쾌한 경험”이라고 평했다. 반면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마지막 시즌에서 본연의 잔혹한 매력을 발휘하며 강렬한 한 방을 선사한다”며 “돈보다 인간성이 우선되는 세상을 고발하면서 그런 세상을 무심히 즐기는 우리를 공모자로 끌어들인다”고 호평했다.

시청자들의 평가는 다소 냉정하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사이트인 로튼토마토에서 비평가들이 매긴 점수인 토마토 지수는 81%였지만 시청자들이 매긴 점수인 팝콘 지수는 52%였다. 시즌1이 토마토 지수 95%, 팝콘 지수 84%로 평단과 대중 모두 호평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사이트인 로튼토마토에서 평론가들과 시청자들이 '오징어 게임' 시즌3에 매긴 점수. 로튼토마토 캡처


'미국판 오징어 게임' 나올까

넷플릭스는 28일 저녁 서울 광화문광장과 서울광장 일대에서 '오징어 게임' 시즌3 피날레 퍼레이드를 열었다. 뉴스1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 시리즈 완결을 기념하며 28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퍼레이드를 벌이고 서울광장에서 팬 이벤트를 열었다. 팬 이벤트에 참석한 황동혁 감독은 “오랫동안 제 모든 걸 바쳤던 작품이 끝나 섭섭하기는 하지만 무거운 짐을 내려놓을 수 있어서 홀가분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주연 배우 이정재는 “(‘오징어 게임’을 촬영한) 5~6년의 여정 동안 많은 추억이 쌓였다”고 회상했고, 프론트맨을 연기한 이병헌은 “우리나라 영상 문화에 가장 큰 획 중 하나를 그은 작품에 참여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28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오징어 게임' 시즌3 팬 이벤트에 참석한 황동혁(앞줄 왼쪽부터) 감독, 배우 이정재, 이병헌, 임시완과 시즌 1~3에 출연한 배우들. 뉴시스


‘오징어 게임’은 시즌3로 완결됐지만 스핀오프(spin off·오리지널 영화나 드라마를 바탕으로 새롭게 파생돼 나온 작품)가 나올 가능성은 적지 않다. 넷플릭스가 미국을 배경으로 한 스핀오프 ‘오징어 게임: 아메리카’를 준비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지난해 말부터 나왔다.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와 넷플릭스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의 데이비드 핀처 감독이 연출을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넷플릭스는 미국판 오징어 게임 제작을 공식 인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시즌3에서 할리우드 배우 케이트 블란쳇이 게임 참가자를 모집하는 ‘딱지맨’으로 나오면서 미국판 스핀오프를 암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즌3 마지막에 참가자를 모집하는 '딱지맨'으로 깜짝 등장한 할리우드 배우 케이트 블란쳇. 넷플릭스 캡처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59 나란히 '신뢰 회복' 외친 의정, 진정한 '시험대'는 전공의 문제 랭크뉴스 2025.07.01
49658 대출 규제 사각지대에 쏠리는 눈…강북권 풍선 효과 우려 랭크뉴스 2025.07.01
49657 '시진핑 실각설' 떠도는데... 미 싱크탱크 "관영매체서 지위 약화" 랭크뉴스 2025.07.01
49656 [속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55 車부품, 항공·국방까지 털린다…中 기술 유출 통로 된 3D 프린팅 랭크뉴스 2025.07.01
49654 방에 다시 숨어든 '쉬었음' 청년… "민관 참여하는 패키지 대책 필요" 랭크뉴스 2025.07.01
49653 "尹정부서 후퇴"…국민참여예산 3년간 감소세 랭크뉴스 2025.07.01
49652 [단독] 주한 러시아 대사, 대선 때 친명 중진에 '특사 파견' 타진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51 이준석·권영국 득표율, 청년 거주 비율 높은 지역일수록 올라 랭크뉴스 2025.07.01
49650 이재명 힌트 주자 2조 몰렸다…"생활비로 쓰라" 배당주 꿀팁5 랭크뉴스 2025.07.01
49649 [2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48 대한민국 결정적 순간 60장면, 그 첫 번째는 87년 넥타이부대 [창간 60년 연중기획①] 랭크뉴스 2025.07.01
49647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46 "폭염에 철골 구조물 파리 에펠탑 20㎝ 변형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45 [단독] 정부, 5강 주재대사에 "2주 내 귀국하라" 지시 랭크뉴스 2025.07.01
49644 WHO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으로 매시간 약 10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1
49643 한은 "관세협상 실패로 관세전쟁 격화땐 美경제 타격 더클 수도" 랭크뉴스 2025.07.01
49642 [뉴욕유가] OPEC+ 공급 우려 속 나흘만에 하락…WTI, 0.6%↓ 랭크뉴스 2025.07.01
49641 美제약업계, 美정부에 "무역협상 지렛대로 韓약값정책 개선하라" 랭크뉴스 2025.07.01
49640 챗GPT에 밀린 신입사원…"일자리 3분의1 사라졌다" 충격 결과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