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3월 27일, 강원도 양양군의 한 해안가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점박이물범이 발견됐습니다.

태어난 지 두세 달 정도 된 걸로 추정되는 아기 점박이물범이었습니다.

지난 3월 강원도 양양군 해변에서 발견된 아기 점박이물범(사진 가운데)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상태는 좋지 않았습니다. 별다른 외상은 없었지만, 사람을 보고도 도망치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져 있었습니다.

몸길이(1.1m)를 고려하면 몸무게가 적어도 20kg는 돼야 했지만, 이 아기 물범은 12.5kg로 왜소한 모습이었습니다.

심각한 탈수·영양 부족 상태였던 아기 물범은 국립공원공단에 구조돼, 치료를 위해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졌습니다.

건강검진 중 몸길이를 재는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 방류 한 달도 안 돼 동해 연안 도착…"학술적 가치 매우 커"

아기 물범은 어디서 온 걸까?

왼쪽 뒷다리에 달린 노란색 태그가 힌트였습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이 인식표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수소문한 끝에, 아기 물범의 고향을 밝혀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밑에 있는 극동해양 자연보호구역( Rimsky-Korsakov Archipelago)에서 지난해 12월 말~1월쯤 태어나 3월 6일에 방류된 개체로 확인됐습니다.

김일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선임연구원은 "러시아에서 태어난 물범들이 방류 한 달 만에 우리나라 해역까지 온다는 사실을 밝혀낸 점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막 재활을 시작한 시기의 아기 점박이물범. 야윈 모습이다.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러시아에서 태어난 점박이물범이 우리 동해로 내려온 사례는 흔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용락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다양성본부장은 "우리나라에서 점박이물범은 중국 발해만을 오가는 서해에서 주로 발견된다"면서 "러시아 보호구역에 사는 점박이물범들은 그곳에 연중 머무르는 특성이 있고, 우리 동해안이 바위가 많지 않고 단조롭다보니 휴식할 공간이 부족해 (서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내려오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례는 러시아에서 태어난 어린 점박이물범이 동해 연안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약 석 달간의 재활을 마친 아기 점박이물범. 살이 통통하게 올랐다.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 바위 위에서 쉬고 있는 점박이 물범 [KBS 자료화면]

■ 석 달도 안 돼 빠르게 회복…강릉 바다 거쳐 어디로?

구조된 아기 점박이물범은 서울대공원의 넓은 수조에서 생활하며 집중적으로 재활 훈련을 받았습니다.

두 달 반 만에 체중이 20.1kg 증가하는 등 건강도 회복해,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됐습니다.

서울대공원 수조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구조 석 달 만인 지난 25일, 강원도 강릉 사근진해변 인근 해역에 아기 점박이물범을 방류했습니다.

이동 경로와 속도 등 과학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위성추적 장치도 부착했습니다.

이 장치는 물범이 털갈이를 하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6개월 이내에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그 전까지는 연구진이 위치를 추적 관찰할 수 있습니다.

김 선임연구원은 "자연으로 돌아간 물범이 다시 극동 러시아로 가서 러시아 연구자에게 발견이 될지, 아니면 우리나라 해역을 이용해 가로림만이나 백령도를 가서 황해를 이용할지 후속 연구를 할 수 있는 중요한 개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기 물범이 황해로 이동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점박이물범의 보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 본부장은 "황해에 점박이물범이 6백 마리 정도 머무는데, 개체 수가 점차 줄어들면 근친 교배가 일어나는 상황이 돼 버려 유전적으로 굉장히 약해진다"며 "러시아 태생 물범이 몇 마리라도 동해와 황해를 왔다갔다하면 서로 다른 개체군의 번식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회복 후 강원도 강릉 해역에 자연 방류된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40 챗GPT에 밀린 신입사원…"일자리 3분의1 사라졌다" 충격 결과 랭크뉴스 2025.07.01
49639 AI발 구직난 현실화···“챗GPT 출시 이후 신입사원 일자리 3분의 1 사라져” 랭크뉴스 2025.07.01
49638 강경한 특검 “체포영장 그다음 될 수도”…尹 ‘5일 이후 연기 요청’ 거부 랭크뉴스 2025.07.01
49637 與 박선원 "드론사령관이 '평양 무인기' 직접 지시했단 제보 확보" 랭크뉴스 2025.07.01
49636 “딸 생각나서” 20대 노숙인에 현금 준 사장님 [아살세] 랭크뉴스 2025.07.01
49635 '여름철 골칫거리' 러브버그…유충 골라 잡는 '곰팡이 농약' 연구 중 랭크뉴스 2025.07.01
49634 냉난방 공조 키우는 LG, OSO사 품는다 랭크뉴스 2025.07.01
49633 “검찰개혁, 국민 피해주면 안돼”…정성호 법무, 속도조절 시사 랭크뉴스 2025.07.01
49632 [속보] 트럼프 "일본에 상호관세율 서한 보낼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31 민주당, 상법개정안서 ‘기업인 배임죄’ 부담 완화 검토 랭크뉴스 2025.07.01
49630 ‘폭싹’ 보고 눈물 쏟았다는 이 대통령 “전 세계서 엄청난 공감” 랭크뉴스 2025.07.01
49629 이재명식 용인술은 ‘잡음 최소화·고집 없는 실용주의’ 랭크뉴스 2025.07.01
49628 폴란드 “국영 방위 그룹에 8978억 지원…무기 국내 생산 늘릴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27 "주인님 대체 언제 오시나요"…하루 6시간씩 홀로 남겨지는 반려동물들 랭크뉴스 2025.07.01
49626 구글, 핵융합발전 커먼웰스와 첫 전기 구매 계약…200MW 규모 랭크뉴스 2025.07.01
49625 타이거 우즈 곧 재혼하나…상대는 트럼프 전 맏며느리 랭크뉴스 2025.07.01
49624 당뇨병 환자 250만명 넘었다…"설탕세 내자" 말 나온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7.01
49623 “5년간 한푼 안 주다가 불쑥 입금”… ‘배드파더스’, 새 제도 허점 악용 랭크뉴스 2025.07.01
49622 멕시코 우범지대서 20명 숨진채 발견…"교량에 시신 내걸려" 랭크뉴스 2025.07.01
49621 IAEA 사무총장 “이란, 몇 달 내 농축 우라늄 생산 가능”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