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3월 27일, 강원도 양양군의 한 해안가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점박이물범이 발견됐습니다.

태어난 지 두세 달 정도 된 걸로 추정되는 아기 점박이물범이었습니다.

지난 3월 강원도 양양군 해변에서 발견된 아기 점박이물범(사진 가운데)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상태는 좋지 않았습니다. 별다른 외상은 없었지만, 사람을 보고도 도망치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져 있었습니다.

몸길이(1.1m)를 고려하면 몸무게가 적어도 20kg는 돼야 했지만, 이 아기 물범은 12.5kg로 왜소한 모습이었습니다.

심각한 탈수·영양 부족 상태였던 아기 물범은 국립공원공단에 구조돼, 치료를 위해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졌습니다.

건강검진 중 몸길이를 재는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 방류 한 달도 안 돼 동해 연안 도착…"학술적 가치 매우 커"

아기 물범은 어디서 온 걸까?

왼쪽 뒷다리에 달린 노란색 태그가 힌트였습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이 인식표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수소문한 끝에, 아기 물범의 고향을 밝혀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밑에 있는 극동해양 자연보호구역( Rimsky-Korsakov Archipelago)에서 지난해 12월 말~1월쯤 태어나 3월 6일에 방류된 개체로 확인됐습니다.

김일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선임연구원은 "러시아에서 태어난 물범들이 방류 한 달 만에 우리나라 해역까지 온다는 사실을 밝혀낸 점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막 재활을 시작한 시기의 아기 점박이물범. 야윈 모습이다.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러시아에서 태어난 점박이물범이 우리 동해로 내려온 사례는 흔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용락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다양성본부장은 "우리나라에서 점박이물범은 중국 발해만을 오가는 서해에서 주로 발견된다"면서 "러시아 보호구역에 사는 점박이물범들은 그곳에 연중 머무르는 특성이 있고, 우리 동해안이 바위가 많지 않고 단조롭다보니 휴식할 공간이 부족해 (서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내려오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례는 러시아에서 태어난 어린 점박이물범이 동해 연안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약 석 달간의 재활을 마친 아기 점박이물범. 살이 통통하게 올랐다.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 바위 위에서 쉬고 있는 점박이 물범 [KBS 자료화면]

■ 석 달도 안 돼 빠르게 회복…강릉 바다 거쳐 어디로?

구조된 아기 점박이물범은 서울대공원의 넓은 수조에서 생활하며 집중적으로 재활 훈련을 받았습니다.

두 달 반 만에 체중이 20.1kg 증가하는 등 건강도 회복해,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됐습니다.

서울대공원 수조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구조 석 달 만인 지난 25일, 강원도 강릉 사근진해변 인근 해역에 아기 점박이물범을 방류했습니다.

이동 경로와 속도 등 과학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위성추적 장치도 부착했습니다.

이 장치는 물범이 털갈이를 하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6개월 이내에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그 전까지는 연구진이 위치를 추적 관찰할 수 있습니다.

김 선임연구원은 "자연으로 돌아간 물범이 다시 극동 러시아로 가서 러시아 연구자에게 발견이 될지, 아니면 우리나라 해역을 이용해 가로림만이나 백령도를 가서 황해를 이용할지 후속 연구를 할 수 있는 중요한 개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기 물범이 황해로 이동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점박이물범의 보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 본부장은 "황해에 점박이물범이 6백 마리 정도 머무는데, 개체 수가 점차 줄어들면 근친 교배가 일어나는 상황이 돼 버려 유전적으로 굉장히 약해진다"며 "러시아 태생 물범이 몇 마리라도 동해와 황해를 왔다갔다하면 서로 다른 개체군의 번식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회복 후 강원도 강릉 해역에 자연 방류된 아기 점박이물범. [사진 제공: 해양수산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70 30대 남성, 이웃주민 2명에 흉기난동 뒤 옥상 투신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369 ‘저출생 재앙’인데...신생아 대출 상향도 없던 일로 랭크뉴스 2025.06.30
49368 음주운전 적발 우려에 ‘운전자 바꿔치기’ 의혹 구의원 감싸···이곳이 ‘청렴한 의회’? 랭크뉴스 2025.06.30
49367 [속보]채해병 특검팀, 임성근 전 사단장 ‘7월2일 오후 2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6.30
49366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율 59.7%‥새 정부서 민주당 지지도 50% 첫 돌파 랭크뉴스 2025.06.30
49365 與 문진석 “소비쿠폰 7월 내 집행 가능”… 1인당 최대 52만원 랭크뉴스 2025.06.30
49364 전국법관대표회의, 과반수 출석으로 임시회의 속개 랭크뉴스 2025.06.30
49363 내란 특검 “강의구 前 대통령 부속실장 조사 중”… 계엄 국무회의록 초안 작성 의혹 관련 랭크뉴스 2025.06.30
49362 채상병 특검, ‘박정훈 항소심’ 취하 검토…“사건 이첩 요청” 랭크뉴스 2025.06.30
49361 내란 특검, '국무위원 소집' 강의구 전 대통령 부속실장 조사 랭크뉴스 2025.06.30
49360 경찰, 이재명 정부 들어 첫 집중 단속···대상은 3대 부패비리와 기초질서 미준수 랭크뉴스 2025.06.30
49359 순직해병 특검, 임성근 전 사단장 7월 2일 출석 통보‥첫 조사 랭크뉴스 2025.06.30
49358 트럼프 "韓, 낮은 車관세 받는 일 없을 것…서한 보내면 협상 끝" 랭크뉴스 2025.06.30
49357 ‘초등생 살인’ 명재완 감형 노리나…반성문 내고 정신감정까지 받는다 랭크뉴스 2025.06.30
49356 법원, ‘초등생 살해’ 교사 명재완 정신감정 채택…“신중한 심리 필요” 랭크뉴스 2025.06.30
49355 주일미군 사령관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로 전환…권한 확장될 것” 랭크뉴스 2025.06.30
49354 계엄 국무회의록 ‘조작’ 의혹…특검, 전 대통령 부속실장 강의구 소환 랭크뉴스 2025.06.30
49353 지난해 4조 주인 찾아갔다…올해 '숨은 보험금' 11조, 나도 혹시? 랭크뉴스 2025.06.30
49352 박지원 "김건희, '휠체어 퇴원'은 잔재주쇼... 尹 지지자 동정심 유발용 랭크뉴스 2025.06.30
49351 김어준 토크쇼 달려간 文·우원식·김민석…"與 실질적 지배자냐"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