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대 은행만 4.9조↑…당국, '초강력 규제' 효과 지켜보며 추가 대응
고소득자 신용대출·서울 외곽 등 '풍선효과' 가능성…은행권, 비대면 대출 중단 혼란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임수정 한지훈 채새롬 민선희 기자 = 서울 집값 급등세에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액이 7조원에 육박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이에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전례 없는 초고강도 규제를 하면서 다음 달부터 '고액 영끌' 수요는 크게 꺾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문직 등 고소득자들의 신용대출이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 추가 보완 대책도 이어질 수 있다.

가계대출 증가폭 10개월만에 최대…'영끌' 주담대가 주도
2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5조8천억원가량 증가했다.

남은 기간 예정된 대출 실행액 규모 등을 고려하면 6월 증가액은 6조원대 후반 수준으로 예상된다.

올해 2월(+4조2천억원), 3월(+4천억원), 4월(+5조3천억원), 5월(+6조원)에 이어 5개월 연속 증가세다.

6월 증가 폭은 사상 최대 영끌 광풍이 불었던 지난해 8월(+9조7천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출채권 매·상각 등의 변수를 감안한 추정이다.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 아파트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며 '불장'을 이어가면서 은행권 주담대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했다.

5대 은행 4.9조↑·하루 1천890억씩…신용대출도 4년만에 최대 증가폭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천948억원으로,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4조9천136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1천890억원씩 증가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8월(3천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

이 속도가 유지되면 이달 말까지 가계대출 증가액은 약 5조6천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전날부터 수도권 주담대가 최대 6억원으로 묶이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된만큼, 이달 전체 월간 증가 폭이 5조원대 초반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장 28일부터 새 규제가 적용돼 증가세가 다소 약해질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미 주택매매 계약을 마치고 대출을 신청한 경우 기존 규제대로 집행되는 만큼 월말까지 며칠 사이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갑자기 뚝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담대(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597조6천105억원으로, 5월 말(593조6천616억원)과 비교해 26일 사이 3조9천489억원 늘었다.

신용대출도 103조3천145억원에서 104조3천233억원으로 1조88억원 증가했다. 이미 하루 평균 증가액(388억원)이 5월(265억원)의 약 1.5 배에 이른다.

월말까지 나흘 앞둔 현재 이미 2021년 7월(+1조8천637억원) 이후 무려 약 4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은행권 신용대출 급증에는 주택 거래자금뿐 아니라 증시 투자자금 수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 5대 은행 가계대출 추이(단위: 억원)※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속도 10개월만에 최대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최근 서울 등 수도권 주택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코스피 지수도 3,000선을 넘어서면서 '영끌'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749억원으로,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3조9천937억원 불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주요 은행 ATM 창구 모습. 2025.6.22 [email protected]


강력 규제로 '영끌' 직격…월간 증가폭 3조~4조 이하로 내려올듯
금융당국은 지난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효과를 분석하며 가계대출 및 부동산 시장 흐름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주담대 한도 6억원' 등 이번 대책이 전날부터 전격 시행됐지만, 주택 거래부터 대출 실행까지 한두달가량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본 게임'은 8월 대출 추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다음 달 실행될 주담대는 이미 한두 달 전 승인이 난 경우도 많아 당장 7월 가계대출 수치가 확 꺾이긴 어렵다"며 "8월부터는 규제 효과가 본격 반영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다음 달에도 '실행액'이 아닌 '승인액' 기준 등으로 규제 효과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분석한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가계대출 월간 증가 폭은 3조~4조원 아래로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그간 5조~6조원(정책대출 포함) 수준까지도 감내·관리 가능하다고 판단했지만 '대응 기준선'이 달라진 것이다.

전문직 신용대출·노도강 등 강북에 수요 쏠림 우려도
초강력 규제로 대출 수요가 상당 부분 억눌릴 것이란 보이지만, 고가 아파트에서 가격이 높지 않은 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를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인하 기대나 주택 공급 부족 전망이 유효한 상황에서 '고가 영끌'을 타깃으로 한 대출 규제만 도입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6억원 주담대 한도 내에서 빚을 내 매입이 가능한 서울 '노도강'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서울 외곽으로 매수세가 옮겨붙을 수 있다.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신용대출로의 풍선효과를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이번 대책에 신용대출 한도를 차주의 연소득 이내로 묶는 규제가 포함됐지만 의사 등 소득이 높은 일부 전문직에는 신용대출이 최대 4~5억원도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용대출 수억원에 주담대 6억원을 활용하면 종전처럼 충분히 고가 아파트 구매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추가 보완 대책도 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쏠림이나 풍선효과가 혹여 나타나더라도 추가 보완 조치를 할 것"이라며 "매주 점검회의를 하며 가계대출 현황을 체크하는 동시에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도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번 주 대출 규제 후 첫 점검회의를 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전날 비대면 주담대·신용대출 신청 접수를 일시 중단한 은행권에 대해서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 지침에 따라 시중은행,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등이 대출 요건을 자체 전산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해 비대면 대출 접수를 중단했다.

금융당국은 이날까지 전산 반영 진행 상황을 보고받고 30일부터 현장점검에도 나설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14 故이건희 회장 이태원 주택 228억원에 매각…"매수자는 사업가" 랭크뉴스 2025.07.08
53113 [단독] 특검, 추경호 ‘내란 방조’ 의혹도 공수처에서 넘겨받아 랭크뉴스 2025.07.08
53112 ‘스레드’ 모바일 사용자 급증… X와 격차 좁혀져 랭크뉴스 2025.07.08
53111 고 이건희 삼성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 원에 매각 랭크뉴스 2025.07.08
53110 의혹 제기 10개월···특검, 윤석열·김건희 공천개입 밝혀낼까 랭크뉴스 2025.07.08
53109 13층 상가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모두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08 검찰특활비 부활의 불편한 진실 [유레카] 랭크뉴스 2025.07.08
53107 이 대통령 들어오자 넥타이 급히 풀기도…김밥 이어 '노타이 국무회의' [사진잇슈] 랭크뉴스 2025.07.08
53106 이시영, 전남편 동의 없이 시험관 임신…법적 책임·양육비 문제는? 랭크뉴스 2025.07.08
53105 ‘한낮’ 아니다…온열질환 가장 많은 시간대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8
53104 [단독]‘자본잠식’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특검 ‘대가성 여부’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03 출국금지에 압수수색... 국민의힘 겨눈 특검 수사, 전당대회 흔드나 랭크뉴스 2025.07.08
53102 상속세 때문?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매각돼 랭크뉴스 2025.07.08
53101 118년 만에 ‘최고 더위’…의왕 40도 돌파, 서울 38도 랭크뉴스 2025.07.08
53100 '보수 여전사'로 주의 조치 받은 이진숙‥언론노조 "내려오라, 끌어내리기 전에" 랭크뉴스 2025.07.08
53099 본보기 된 韓日…美 "내달부터 25% 상호관세" 랭크뉴스 2025.07.08
53098 이시영, 이혼 4개월만에 임신 발표 "전남편과의 냉동 배아 포기할 수 없었다" 랭크뉴스 2025.07.08
53097 내년 최저임금 시급 勞 1만900원 요구에 使 1만180원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096 “이재명 대통령, 강한 어조로 질책…” 대변인 전한 내용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8
53095 김건희 특검, ‘건진법사 의혹’ 경찰청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