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러시아 위협 증가로 지난 3월 탈퇴 예고
폴란드와 핀란드는 탈퇴 절차 밟는 중
우크라이나 오데사의 한 아파트가 28일 러시아 드론 공격을 맞고 불타고 있다. 발트3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 위협을 의식해 대인지뢰금지협약에서 탈퇴하기로 했다. 오데사=AFP 연합뉴스


발트3국으로 불리는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가 대인지뢰금지협약(오타와 협약)에서 탈퇴했다.

독일 dpa통신은 28일(현지시간) "발트3국이 27, 28일 자국 외무부를 통해 오타와 협약에서 탈퇴한다고 유엔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효력은 6개월 뒤 발효된다. 마르구스 차흐크나 에스토니아 외무장관은 "우리나라를 더 잘 방어하려면 상대가 지키지 않는 일방적 무기 제한을 부과해선 안 된다는 교훈을 계속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었다"고 말했다.

발트3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이 커지고 있다는 이유로 지난 3월 오타와 협약 탈퇴를 선언했다. 발트3국은 러시아와 그 우군인 벨라루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데다, 유럽과 이어지는 유일한 육로인 수바우키 회랑이 러시아에 점령되면 지정학적으로 고립된 섬이나 마찬가지다.

발트 3국과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부전선에 해당하는 폴란드와 핀란드도 오타와 협약 탈퇴 절차를 밟고 있다. 리투아니아는 올해 3월 집속탄 금지협약(더블린 협약)도 공식 탈퇴했다.

오타와 협약은 민간인 인명피해를 우려해 대인지뢰 사용 비축·생산·이전을 금지하고, 매설된 대인지뢰를 폐기하도록 한 협약이다. 1997년 체결 이후 164개국이 협약을 비준했으나 미국·러시아·중국·인도·파키스탄·한국·북한 등은 참여하지 않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909 소녀 27명 싸늘한 시신됐다…"상상 못할 비극" 美 덮친 괴물 홍수 랭크뉴스 2025.07.08
52908 트럼프 또 협박의 기술…"맘에 드는 제안 땐 8월 관세 부과일 조정" 랭크뉴스 2025.07.08
52907 "화장실, 얼마나 앉아있으세요?"…'이 시간' 넘기면 위험하다는데, 왜? 랭크뉴스 2025.07.08
52906 트럼프 "마음에 들면 관세 기한 조정 가능"… '한국·일본 불공정' 불평도 랭크뉴스 2025.07.08
52905 [속보] 트럼프 “맘에 드는 제안하면 8월 1일 관세 부과일 조정 가능” 랭크뉴스 2025.07.08
52904 “난파선에서 또 계파 싸움”…판 흔드는 安, 전대 화두된 ‘인적 청산’ 랭크뉴스 2025.07.08
52903 ‘지방 임대아파트’인데 경쟁률 13.05대 1…눈길 사로잡은 흥행 비결은? 랭크뉴스 2025.07.08
52902 “좋은 조건 오면 변경 가능”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 시사 랭크뉴스 2025.07.08
52901 이 대통령, 최민희 만나 "방송3법, 내 뜻과 부합‥알려지길 바라" 랭크뉴스 2025.07.08
52900 탈세계화 속 공급망관리 경쟁력, 기업의 생존전략이 되다 [IGM의 경영정략] 랭크뉴스 2025.07.08
52899 라면·빵·아이스크림 반값‥마트·편의점 할인 행사 랭크뉴스 2025.07.08
52898 삼성전자, 3.9조원 규모 자사주 추가 취득…2.8조원 소각 예정 랭크뉴스 2025.07.08
52897 위성락, 미국 현지서 루비오 국무장관 회동 "관세 부과 8.1일까지 긴밀히 소통" 랭크뉴스 2025.07.08
52896 “완전히 탈선” 트럼프 한마디에 테슬라 6.8% 폭락... 머스크 정치 활동 우려 랭크뉴스 2025.07.08
52895 대출전쟁 시작…건설사 '추가 이주비' 공약 판친다[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8
52894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000억원, 전년 대비 55.94% 감소···반도체 부진 지속 랭크뉴스 2025.07.08
52893 페루서 3천500년 된 ‘잃어버린 고대 도시’ 일반 공개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7.08
52892 “주가 높이자”…삼성전자, 3.9조 규모 자사주 사들인다 랭크뉴스 2025.07.08
52891 충격에 휩싸인 삼성전자 반도체… ‘HBM’ 성적은 최하위, ‘비메모리’ 적자는 눈덩이 랭크뉴스 2025.07.08
52890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내달 1일까지 연장 행정명령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