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친 뒤 국회를 나서며 국회 직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대통령실이 지난 24일 국민 사서함을 개설했다.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취합하고 국정에 반영해 국민주권 정부 시대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서함은 정치·경제·사회·민생·외교 등 국민이 궁금해하는 모든 분야에 대해 질문을 받는 형태로 운영된다”며 “접수된 질문은 모두 대통령에게 보고되고, 사회적 공감대가 높거나 시의성이 있는 의견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답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서함은 온라인으로 질의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재명 정부에서 사실상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원회도 대통령실과 발맞춰 대국민 소통 플랫폼을 공식 출범시켰다. 국정기획위는 지난 18일부터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가칭)는 이름의 임시 창구를 운영하다 25일 정식 명칭을 ‘모두의 광장’으로 확정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이 22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브리핑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모두의 광장 홈페이지에는 국민 누구나 접속해 다음달 23일까지 어떠한 정책이든 제안할 수 있다.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임시 창구에서 2336건의 정책이 제안됐고, 기타 질문까지 합하면 25만9828건이 접수됐다”며 “공식 출범했으니 향후 참여도가 더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친이재명계로 꼽히는 한 의원은 “이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시청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거나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민원을 받는 등 직접 소통을 중시해왔다”며 “새 정부의 게시판 정치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이재명표’ 직접 민주주의에 대해 정치권에선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과거 정부에서도 대국민 직접 소통을 하다가 불필요한 논란거리를 만들어내곤 했기 때문이다. 2017년 8월 19일 “국민 의견을 청취하겠다”며 문재인 정부가 만들었던 ‘국민청원 게시판’이 대표적이다.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2021년 8월 1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국민청원’ 도입 4주년을 맞아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하고 있다 .청와대제공

국민청원 게시판은 국민이 올린 글을 30일 동안 공개하고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정부 및 청와대 책임자가 직접 답하는 형식으로 운영됐다. 약 5년 동안 111만건의 글이 올라왔고, 5억1600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임기 내내 화제였다. 이 중 284건의 청원에 대해선 청와대와 정부가 직접 답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당시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을 한 적이 있다. 2017년 9월 11일 약 12만명의 동의를 얻은 ‘여성도 징병 대상에 포함시켜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에 관해서였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방 의무를 남녀가 함께해야 한다는 청원도 만만치 않더라”며 “재미있는 이슈 같다”고 답했다가 이대남(20대 남성)의 공분을 샀다.

문재인 정부 중반 이후엔 정치 진영 간 세 대결의 장으로 변질됐다는 평가도 받았다. 2020년 8월 12일 조은산(필명)은 게시판에 ‘진인 조은산이 시무 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니 삼가 굽어 살펴주시옵소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상소문 형식의 글에서 그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해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었다. 이후 2주 정도 게시판에서 관련 글이 조회가 되지 않아 청와대가 은폐 의혹에 휩싸이는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 2020년 3월엔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청원이 147만 명을 돌파한 일도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상소문 형식의 국민청원 게시글

윤석열 정부는 “정치적 악용을 막겠다”며 국민청원 게시판을 폐지하고 실명제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제안’ 소통창구를 개설했다. 하지만 하루 평균 방문자 수가 문재인 정부 국민청원의 1% 수준에 그쳤다.

지난 2월 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시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소통플랫폼 '모두의질문Q'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44 DSR 3단계 앞두고 고신용자도 틈새대출에 2금융권까지 랭크뉴스 2025.06.30
49443 [속보] 李대통령, 내달 3일 첫 기자회견… ‘타운홀미팅’ 형식 랭크뉴스 2025.06.30
49442 [속보] 윤석열 쪽 “7월1일→3일 이후” 내란특검 조사 또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6.30
49441 [단독] 전 대통령부속실장, ‘계엄 선포문’ 사후 작성해 한덕수 서명 받았다 랭크뉴스 2025.06.30
49440 낡은 소방차 공짜로 줬더니…'5800억 뜻밖의 대박' 난 사연 랭크뉴스 2025.06.30
49439 [속보] 윤석열, 특검에 7월 3일 이후로 조사 일정 변경 요청 랭크뉴스 2025.06.30
49438 "尹 검사였으면 그 자리서"‥'윤적윤' 꼬집으며 "황당" 랭크뉴스 2025.06.30
49437 "캠핑 긁힌 게 그리 아픈가"‥"李 웰빙단식" 나경원 발끈하자 랭크뉴스 2025.06.30
49436 “12조 숨은 돈 찾아라” 미지급 보험금 나도 해당될까 랭크뉴스 2025.06.30
49435 [속보] 尹, 내란특검에 “7월 3일 이후에 출석하게 해달라” 기일변경 요청 랭크뉴스 2025.06.30
49434 비공개 선호하는 윤석열, 김건희 휠체어 밀 땐 공개…“한심한 연출” 랭크뉴스 2025.06.30
49433 [속보] 尹측 "특검에 7월 3일 이후로 조사기일 변경 요청" 랭크뉴스 2025.06.30
49432 [속보] 내란 특검 “군사법원, 추가 기소된 여인형·문상호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6.30
49431 李 “‘폭싹’보며 눈물…섬세한 표현력이 우리의 실력” 랭크뉴스 2025.06.30
49430 '폭싹'에 눈물 흘린 李대통령 "섬세한 표현력…문화산업 키워야" 랭크뉴스 2025.06.30
49429 [속보] 내란 특검 "여인형·문상호 구속영장 군사법원이 발부" 랭크뉴스 2025.06.30
49428 [속보]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 내일 출석 일정 관련 의견 아직 없어" 랭크뉴스 2025.06.30
49427 송미령 농림부 장관 “지금 우리 정부는 양곡법 여건 됐다” 랭크뉴스 2025.06.30
49426 ‘폭싹 속았수다’ 그렇게 눈물 내더니… 이전 드라마와 달랐다 랭크뉴스 2025.06.30
49425 전국법관대표회의 논의 안건 5건 모두 부결…“의견 갈려”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