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친 뒤 국회를 나서며 국회 직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대통령실이 지난 24일 국민 사서함을 개설했다.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취합하고 국정에 반영해 국민주권 정부 시대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서함은 정치·경제·사회·민생·외교 등 국민이 궁금해하는 모든 분야에 대해 질문을 받는 형태로 운영된다”며 “접수된 질문은 모두 대통령에게 보고되고, 사회적 공감대가 높거나 시의성이 있는 의견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답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서함은 온라인으로 질의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재명 정부에서 사실상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원회도 대통령실과 발맞춰 대국민 소통 플랫폼을 공식 출범시켰다. 국정기획위는 지난 18일부터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가칭)는 이름의 임시 창구를 운영하다 25일 정식 명칭을 ‘모두의 광장’으로 확정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이 22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브리핑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모두의 광장 홈페이지에는 국민 누구나 접속해 다음달 23일까지 어떠한 정책이든 제안할 수 있다.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임시 창구에서 2336건의 정책이 제안됐고, 기타 질문까지 합하면 25만9828건이 접수됐다”며 “공식 출범했으니 향후 참여도가 더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친이재명계로 꼽히는 한 의원은 “이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시청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거나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민원을 받는 등 직접 소통을 중시해왔다”며 “새 정부의 게시판 정치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이재명표’ 직접 민주주의에 대해 정치권에선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과거 정부에서도 대국민 직접 소통을 하다가 불필요한 논란거리를 만들어내곤 했기 때문이다. 2017년 8월 19일 “국민 의견을 청취하겠다”며 문재인 정부가 만들었던 ‘국민청원 게시판’이 대표적이다.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2021년 8월 1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국민청원’ 도입 4주년을 맞아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하고 있다 .청와대제공

국민청원 게시판은 국민이 올린 글을 30일 동안 공개하고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정부 및 청와대 책임자가 직접 답하는 형식으로 운영됐다. 약 5년 동안 111만건의 글이 올라왔고, 5억1600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임기 내내 화제였다. 이 중 284건의 청원에 대해선 청와대와 정부가 직접 답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당시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을 한 적이 있다. 2017년 9월 11일 약 12만명의 동의를 얻은 ‘여성도 징병 대상에 포함시켜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에 관해서였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방 의무를 남녀가 함께해야 한다는 청원도 만만치 않더라”며 “재미있는 이슈 같다”고 답했다가 이대남(20대 남성)의 공분을 샀다.

문재인 정부 중반 이후엔 정치 진영 간 세 대결의 장으로 변질됐다는 평가도 받았다. 2020년 8월 12일 조은산(필명)은 게시판에 ‘진인 조은산이 시무 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니 삼가 굽어 살펴주시옵소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상소문 형식의 글에서 그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해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었다. 이후 2주 정도 게시판에서 관련 글이 조회가 되지 않아 청와대가 은폐 의혹에 휩싸이는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 2020년 3월엔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청원이 147만 명을 돌파한 일도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상소문 형식의 국민청원 게시글

윤석열 정부는 “정치적 악용을 막겠다”며 국민청원 게시판을 폐지하고 실명제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제안’ 소통창구를 개설했다. 하지만 하루 평균 방문자 수가 문재인 정부 국민청원의 1% 수준에 그쳤다.

지난 2월 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시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소통플랫폼 '모두의질문Q'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60 경제부총리 구윤철, 법무장관엔 정성호 랭크뉴스 2025.06.30
49159 트럼프, 이스라엘-이란 이어 가자지구도 휴전 재차 압박 랭크뉴스 2025.06.30
49158 우크라이나도 대인지뢰 금지협약 탈퇴 절차 착수 랭크뉴스 2025.06.30
49157 "가족들 양육 스트레스 극심"…ADHD 손자 살해하려 한 할머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30
49156 "이스라엘군에 죽음을"…英축제 그대로 생중계한 BBC 발칵 랭크뉴스 2025.06.30
49155 떼쓰는 윤석열, 특검팀 경찰에 ‘자격’ 트집…강제수사 자초하나 랭크뉴스 2025.06.30
49154 “돌쟁이 옷값이 사치라고?”…시누 쓰던 중고 육아용품 쓰라는 시어머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30
49153 尹측, 내란특검에 "수사 적법절차 보장해달라"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6.30
49152 내란특검 “1일 오전 9시 2차 출석하라” 윤 전 대통령에 ‘재통지’ 랭크뉴스 2025.06.30
49151 북, 트럼프 2기 대미 메시지 순해졌다 랭크뉴스 2025.06.30
49150 내란특검 “尹에 2차 출석통지…불응사유 납득 안되면 형소법 절차 진행” 랭크뉴스 2025.06.30
49149 中, 핵오염수 이유로 중단한 日수산물 수입 재개… 1년 10개월만 랭크뉴스 2025.06.30
49148 [속보] 특검 "2차통지 불응사유 납득 안되면 형소법 절차 진행" 랭크뉴스 2025.06.30
49147 첫 여성 거점국립대 총장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되다 랭크뉴스 2025.06.30
49146 체코 원전 수주 등 이끈 ‘현직 기업인’... 에너지 사업 전문가 랭크뉴스 2025.06.30
49145 국립대 첫 여성 총장…지거국 ‘서울대 10개’ 육성책 주력 랭크뉴스 2025.06.30
49144 트럼프 "이란이 평화 이룬다면 제재 해제할 것" 랭크뉴스 2025.06.30
49143 [현장]①시속 255km에도 편안 ③3종 충전구…2세대 KTX-이음 타보니 랭크뉴스 2025.06.30
49142 IAEA "이란, 몇달내 우라늄 농축 가능"…트럼프 발언과 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6.30
49141 [사설] 특검조사도 시간끌기로 국민 실망시킨 윤 전 대통령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