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숫자로 보는 타이어와 빗길 안전]
빗길에서 차량이 물보라를 일으키며 달리고 있다. 뉴스1
‘1.6mm’.

자동차 타이어의 표면을 보면 홈(트레드)이 다양한 형태로 여러 개 파여 있는데요. 이 홈은 비에 젖은 도로에서 물을 분산시켜 바퀴가 미끄러지는 걸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타이어가 오래돼 마모되면 홈도 잘 안 보이게 되는데요. 이 경우 마른 도로에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일지 몰라도 물기가 많은 도로에선 주행과 제동력에 상당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만큼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얘기인데요.

정부에서 반드시 유지해야 할 타이어 홈의 깊이를 법령으로 정해 놓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이 바로 그것인데요.

타이어에 대해 ‘금이 가고 갈라지거나 코드층이 노출될 정도의 손상이 없어야 하며, 트레드 깊이가 1.6 mm 이상 유지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타이어의 홈 깊이를 최소한 1.6 mm 이상 유지해야 빗길 등에서 그나마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에 따르면 빗길에선 브레이크를 밟은 뒤 실제 정지할 때까지 거리(제동거리)가 마른 도로에 비해 약 1.8배까지 길어진다고 하는데요. 평소처럼 브레이크를 밟았다간 추돌사고를 낼 가능성이 커지는 셈입니다.

빗길 교통사고는 치사율도 올라가는데요. 최근 3년간(2022~2024년) 노면상태에 따른 교통사고 치사율을 따졌더니 젖은 도로가 1.90명으로 마른 도로(1.27명)보다 1.5배 높았습니다. 치사율은 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입니다.

이처럼 빗길에선 사고 가능성이 높은데 타이어 마모까지 심하면 위험은 더 커지게 되는데요. 공단이 2017년 젖은 도로에서 시행한 ‘타이어 트레드 깊이별 제동거리 실험’을 보면, 시속 80㎞로 달릴 때 새 타이어(깊이 7.5 mm)는 제동거리가 30.1m였습니다.
새 타이어와 마모된 타이어 비교. 사진 한국교통안전공단

반면 오래되 마모가 심한 타이어(깊이 1.6 mm)는 44.8m로 50%가량 더 길었는데요. 시속 100㎞ 주행 때 역시 오래된 타이어가 새 타이어보다 브레이크를 밟은 뒤 정지할 때까지 거리가 1.5배였습니다.

이렇게 많이 닳아버린 타이어는 젖은 도로에서 제동거리도 길어지지만, 고속 주행 때에는 ‘수막현상’ 탓에 더 위험합니다. 수막현상은 젖은 노면을 고속으로 달릴 때 타이어와 노면이 닿지 않아 조종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타이어 홈이 적정 깊이를 유지하고 있다면 물을 배수하고 분산시켜서 노면과 접지력을 유지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선 마치 물 위에 떠서 달리는 듯한 아찔한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타이어 마모 상태 확인요령. 자료 한국교통안전공단

특히 무거운 짐을 싣고 다니는 화물차나 많은 승객을 태운 버스가 낡은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라면 더 위험할 텐데요. 이 때문에 비가 자주, 또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타이어 관리에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트레드 깊이는 자가 진단도 어렵지 않은데요. 100원짜리 동전을 홈에 거꾸로 넣어서 이순신 장군의 감투가 절반 이상 보인다면 서둘러 교체하는 게 좋습니다. 마모가 심하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공단의 정용식 이사장은 “장마철 안전운전을 위해선 타이어와 등화장치 등에 대한 철저한 사전 점검이 필수”라며 “비가 올 때는 속도를 최대 50%까지 줄이고, 차간 거리도 평소보다 더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34 신림동서 흉기 난동으로 2명 부상…용의자는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233 日규슈 해역서 1주일간 소규모 지진 525회… ‘7월 대지진 예언’ 앞두고 흉흉한 일본 랭크뉴스 2025.06.30
49232 [인터뷰] 美·中서 활약한 반도체 석학, 韓 비메모리 반도체 결실 맺는다 랭크뉴스 2025.06.30
49231 "설탕 꽈배기 팔았다고 원망 들었다" 랭크뉴스 2025.06.30
49230 연애 못하는 불만, 부·울·경 '이대남'의 윤석열 지지 토양됐다[Deep&wide] 랭크뉴스 2025.06.30
49229 수사 채비 마친 김건희 특검…“출석 거부, 모든 가능성에 준비” 랭크뉴스 2025.06.30
49228 [스트레이트] '한 사람' 앞에 멈춘 정의 랭크뉴스 2025.06.30
49227 "20억 대출로 강남 입성"…2.9% 사는 강남3구, 전체 주담대 6.2% 랭크뉴스 2025.06.30
49226 직장인 84% ‘국내’로 여름휴가…휴가비 1인당 54만원 랭크뉴스 2025.06.30
49225 “옆집 빙수 사드세요” 가성비 컵빙수 흥행, 노동력 갈아넣은 알바는 ‘비명’ 랭크뉴스 2025.06.30
49224 경찰 "'박창환 총경, 尹 불법 체포 당사자' 주장, 사실 아냐" 랭크뉴스 2025.06.30
49223 대통령 최측근 장관, 검사출신 수석·차관…검찰개혁 순항할까 랭크뉴스 2025.06.30
49222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 못 건넌 70대 여성…시내버스에 치여 숨져 랭크뉴스 2025.06.30
49221 [팩트체크] "카페는 독서실 아냐"…카공족 처벌 못하나 랭크뉴스 2025.06.30
49220 "비싸서 못 먹는 소고기, 여기선 배 터지게 먹는다더니"…'소고기 천국' 명성 잃는 아르헨, 왜? 랭크뉴스 2025.06.30
49219 대통령 욕하면 카톡 제한?… 카카오 “대화 검열 불가” 랭크뉴스 2025.06.30
49218 [단독]공정위, 가습기살균제 ‘독성 은폐’ 공표명령 무시한 애경·SK 고발 가닥 랭크뉴스 2025.06.30
49217 출판기념회 ‘억대 수익’ 일반적이지 않아···합법과 불법의 경계, 정치인 출판기념회 축하금 랭크뉴스 2025.06.30
49216 [르포] “삶이 무너졌다” 괴물산불 100일…남은 건 폐허와 갈등뿐 랭크뉴스 2025.06.30
49215 이재명 정부 ‘픽’ 의원만 12명…현역 발탁 이유는 ‘속도·안정·인력난’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