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빅테크들의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AI 기술을 이끌 ‘두뇌 쟁탈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금만 머뭇거려도 뒤처지기 십상인 AI 산업 특성상 뛰어난 인재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메타(Meta) 로고. 연합뉴스


‘억’ 소리 나는 인재 쟁탈전
최근 인재 확보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메타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메타가 오픈AI 스위스 취리히 사무소에서 근무하던 연구원 3명을 채용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3명은 지난해 말 문을 연 오픈AI의 스위스 사무소 설립 멤버이고, 이전엔 구글 AI 부서인 딥마인드에서도 함께 일한 사이다. 오픈AI 측도 “이들이 퇴사한 게 맞다”고 인정했다.

메타는 이달 중순 데이터 라벨링(AI가 학습할 데이터를 분류하고 이해를 돕는 작업)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약 19조원)를 투자해 지분 49%를 인수하고, 알렉산더 왕 스케일AI 최고경영자(CEO)까지 데리고 왔다. 회사를 인수함으로써 AI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과 인력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다. 왕 CEO는 메타에서 초지능(Super Intelligence·인간 지능을 뛰어넘는 AI 시스템) 연구에 전념할 AI 연구팀을 이끌 예정이다.

메타는 왕 CEO에 이어 냇 프리드먼 전 깃허브 CEO, 오픈AI 수석 과학자 출신 일리야 수츠케버가 설립한 SSI(세이프 수퍼인텔리전스) 공동 창업자 대니얼 그로스 등도 영입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AI 분야 인재들에게 직접 이메일이나 왓츠앱을 보내 메타 합류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WSJ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최소 1000만달러(약 135억원)에 달하는 연봉을 제시했다고 한다.

인재 쟁탈전이 치열해지면서 빅테크 간 신경전도 벌어졌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17일 동생 잭 올트먼이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출연해 메타가 자사 엔지니어들에게 이직 시 최소 1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를 제안했다며 “미친 짓”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24일 참석한 뉴욕타임스(NYT) 행사에서도 “(저커버그는) 자신이 초지능이라고 믿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연합뉴스


다른 기업들은 어때
기업 입장에서 AI 기술 고도화에 필요한 인력은 ‘양’보다 ‘질’이다. 올해 초 ‘가성비 AI’를 선보여 화제가 됐던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도 소수의 인력으로 AI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에 따르면 딥시크의 연구개발 인력은 139명에 불과하다. 이들 대부분은 칭화대·베이징대 등 중국 최고 대학 출신의 20~30대 젊은 인재로 구성됐다.

당분간 빅테크 간 인재 쟁탈전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최근 구글 딥마인드에서 비전 AI 기술과 오디오 요약 기능을 개발한 핵심 연구 인력 3명을 영입했다. 지난해엔 6억5000만 달러(약 8800억원)를 들여 AI 스타트업 인플렉션을 인수하기도 했다. 여기엔 딥마인드 공동창업자 출신인 무스타파 슐레이만 인플렉션 CEO를 비롯해 개발 인력 대부분을 함께 데려간다는 조건이 붙었다.

애플은 기업 가치 140억 달러(약 19조3000억원)에 달하는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이 또한 퍼플렉시티 CEO인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영입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 나온다. 스리니바스 CEO는 오픈AI·딥마인드 연구원 출신이다. 오픈AI도 애플의 전 수석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가 창업한 디자인 회사 io를 64억 달러에 인수했다.

김주원 기자


한국은 ‘AI 인재 유출’ 중
빅테크 간 AI 인재 쟁탈전에 한국은 밀려나고 있다. 지난 4월 미 스탠퍼드대 인간중심인공지능(HAI)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인구 1만명당 AI 분야 인재 순유출이 0.3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최하위(35위)를 기록했다. 더 큰 문제는 유출 폭이 점점 커지는 추세란 점이다. 2022년 조사에선 0.04명, 2023년에는 0.3명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을 위해선 AI 인재 확보가 필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5일 AI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고 해외 연구자를 영입하기 위한 ‘이노코어’ 정책 추진을 발표했다. 국내외 포닥(박사 후 연구원) 400명을 채용해 피지컬 AI와 AI 모델 등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채용된 연구원에겐 국내 포닥 연봉 평균의 1.8배인 연 9000만원 수준의 연봉을 약속했다.

업계에선 더 적극적인 AI 인재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지금까지 AI 정책 논의는 데이터센터 확보 등 인프라 중심으로 이뤄져 인재 육성 계획이 드러나지 않았다”면서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50 인생작 만난 박보영 "살기 위한 일은 다 용감하다…저도 위로 받았죠" 랭크뉴스 2025.06.30
49249 [최훈 칼럼] ‘말문 트임’보다 ‘말귀 열림’인 대통령의 소통을 랭크뉴스 2025.06.30
49248 주택가 흉기 난동 2명 부상‥30대 용의자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247 예결위 추경안 심사 시작‥국민의힘 "보이콧" 랭크뉴스 2025.06.30
49246 [속보] 5월 산업생산 1.1% 감소… 4월 트리플 감소에도 반등 못 해 랭크뉴스 2025.06.30
49245 "우리 아이 피카츄로 불러줘"...'튀는 이름'에 빠진 일본 부모들 [클로즈업 재팬] 랭크뉴스 2025.06.30
49244 안 그래도 중국인들 오기만 하면 쓸어담는데…'이것'까지 팔기 시작한 올리브영 랭크뉴스 2025.06.30
49243 트럼프 “7월8일 상호관세 마감, 연장없다…자동차 25% 이게 끝” 랭크뉴스 2025.06.30
49242 “윤 전 대통령 이미 탈당해 자연인, 함께 간다는 생각 없다” 밝히는 국힘 원내대표 랭크뉴스 2025.06.30
49241 ‘올해의 표준 CEO’는 65년생·서울대·경영학과, 현대모비스 이규석 사장[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6.30
49240 사흘간 2만3000명 몰렸다…미니 신도시 기대감에 청주 들썩[집슐랭] 랭크뉴스 2025.06.30
49239 서울 신림동 빌라서 흉기 난동...용의자 사망, 2명 부상 랭크뉴스 2025.06.30
49238 “바꿔야산다” 편의점 업계, ‘내실 경영’으로 선회한 배경은 랭크뉴스 2025.06.30
49237 증빙 없다고 '중고폰 매입비용' 인정 안 한 과세당국…法 "위법" 랭크뉴스 2025.06.30
49236 편의점 옆에 편의점이더니 결국…최근 두 달간 3백여 곳 문 닫았다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6.30
49235 신림동 빌라서 흉기 난동으로 2명 부상…용의자는 투신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234 신림동서 흉기 난동으로 2명 부상…용의자는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233 日규슈 해역서 1주일간 소규모 지진 525회… ‘7월 대지진 예언’ 앞두고 흉흉한 일본 랭크뉴스 2025.06.30
49232 [인터뷰] 美·中서 활약한 반도체 석학, 韓 비메모리 반도체 결실 맺는다 랭크뉴스 2025.06.30
49231 "설탕 꽈배기 팔았다고 원망 들었다"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