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사고 현장에 가장 먼저 달려가는 사람, 소방관. 그들이 119 구급차를 몰며 바라본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 시리즈를 연재하는 백경 소방관은 구급대원으로 9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출동 현장에서 너무 많은 죽음을 보아서일까요. 그는 매일 유서를 쓰고 잠이 듭니다. 그가 매일 마주하는 삶과 죽음, 절망과 희망의 이야기.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 부자 동네건 가난한 동네건 꽃은 핀다
“요즘 초딩들은 개근상 받으면 ‘개근 거지’라고 부른다더라.”

“개근이 왜 거지야?”

“학기 중에 놀러 갈 형편이 안 된다는 말을 그딴 식으로 하는 거지.”

“말도 안 돼.”

“‘빌거’는 무슨 말인 줄 알아?”

“그건 또 뭔데?”

“빌라 사는 거지.”

일러스트=김지윤 기자

친한 친구와 점심 먹던 중에 나온 이야기였다. 친구는 몇 년 전 이혼을 했고, 갓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들을 홀로 키우고 있었다. 최근에는 조금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원래 살던 낡고 좁은 빌라에서 10년도 채 안 된 34평대 아파트로 이사했다.

차도 그랜저로 바꿨다. 어릴 때만 해도 그랜저는 성공한 사람이 타는 차였다. 친구의 머릿속에도 그런 환상이 남아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내 눈엔 집과 차를 바꾸는 일이, 같은 반 친구에게 주저 없이 ‘거지’ 딱지를 붙이는 작은 악마들로부터 귀한 아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느껴졌다.

개근 거지.
빌라 거지.
배려 없고 잔인한 이런 말들은
최초에 누구의 뇌 주름을 타고
세상 밖으로 나오는 걸까.

# 여성이 내뱉은 한마디, 나는 부끄러웠다
얼마 전 출동했던 한 사건이 떠올랐다.

출동 장소는 빌라 3층,
사람이 쓰러져 있다는 신고였다.
듣자마자 아찔했다.

엘리베이터 없는 건물에서
환자를 구급차로 옮기려면
들것에 싣거나 업어서 계단을
내려와야 하기 때문이었다.

소생 장비를 챙겨 올라갔다.
숨이 찼지만 태연한 표정을 유지했다.
출입문을 열었는데
예상 밖의 상황이 펼쳐졌다.

벽에 기대어 앉아 있는 남자와
곁에서 눈물범벅이 돼
자릴 지키고 있는 여자가 눈에 들어왔다.

남자는 앞으로 고꾸라졌는지
입과 코에서 연신 피를 흘렸고
부자연스럽게 몸을 떨었다.
바닥엔 박살 난 안경이 나뒹굴고 있었다.

“관계가 어떻게 되세요?”
“옆집 사는 사람이에요.”

이웃집 남자는 여자를 만날 적마다
꼬박꼬박 인사를 했다.
다리를 절며 쭈뼛쭈뼛 다가가
“안녕하세요” 하고 주워섬겼다.

(계속)
빌라에 사는 남자와 여자에겐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남자는 왜 피를 흘렸고, 여자는 왜 눈물을 쏟았을까. 백경 소방관을 한없이 부끄럽게 만들었던 두 사람의 감동적인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서 이어진다.
☞“빌라거지” 그 말에 일조했다…어느 소방관의 쪽팔린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7082

추천! 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①‘6684#’ 여교사 유언이었다…교감이 두려워한 소문의 실체
젊은 여자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다. 월요일 오전, 학교 측에 아무 이야기 없이 결근했다. 여자는 말수가 적었지만 이따금 소소한 담화를 나누는 동료들이 있었다. 그들에게 여자의 번호로 문자가 왔다. ‘6684#, 죄송합니다’ 6684#은 무슨 뜻이었을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여자에게 어떤 사연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34

②저수지 뒤지다 기겁했다…치매 노모 실종 5시간 뒤 생긴 일
“엄마가 사라졌어요.” 다급하고 황망한 목소리였다. 시골집에 홀로 살고 있던 엄마가 마치 연기처럼 사라졌다고 했다. 너무 덥거나 추운 날 실종된 치매 노인들의 최후는 대개 비슷했다. 열기를 못 이겨 죽거나, 얼어 죽었다. 도대체 노인에겐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82

③“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해병 군복남 ‘100번째 신고
어디에나 ‘빌런’은 있다. 촌각을 다투는 구조 현장에도 빌런은 존재한다. “문 열어줘” “변기 뚫어줘” 같은 악성 민원은 예삿일. 9년 차 구급대원 백경 소방관이 만난 가장 악질적인 민원인은 누구였을까? 무리한 요구 앞에서 그가 참을 수 없었던 이유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8869

④죽음의 이유, 전우는 몰랐다…군인이 남긴 ‘변기 위 쪽지’
산길을 따라 십여 분쯤 달리자 군부대가 나타났다. 생활관 화장실 가장 안쪽 칸막이 문 앞에서 당직사관이 바닥에 누운 병사의 가슴을 쉼 없이 누르고 있었다. 군화끈으로 목을 맸지 싶었다. 죽음을 결심한 병사는 아주 작은 쪽지를 남겼다고 했다. 그에겐 슬픈 사연이 있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329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85 버티고 버티다 결국…작년 폐업자 첫 100만명, 그중 절반 소매·음식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4 ‘안전한’ 돈다발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7
52283 독단 리더십 비판 목소리 커져… 여권서도 “이진숙, 부담스럽다” 랭크뉴스 2025.07.07
52282 푸틴 "서방, 반러시아 정책 추구하느라 내부 문제 악화" 랭크뉴스 2025.07.07
52281 위성락, 마코 루비오 등 면담… 관세 유예 시한 연장 ‘방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0 방미 통상본부장 “실리 최대화…관세, 산업·기술 협력 묶어서 협상” 랭크뉴스 2025.07.07
52279 [단독] "소비쿠폰, 식자재마트 허용을"…당정, 지방선 사용처 확대 검토 랭크뉴스 2025.07.07
52278 尹 구속영장 청구에 정청래 “즉시 감옥” 박찬대 “사필귀정” 랭크뉴스 2025.07.07
52277 미 재무 "8월 1일부터 협상 불발 국가엔 4월 발표했던 상호관세율 적용" 랭크뉴스 2025.07.07
52276 최측근에서 최대 정적으로…감세 반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275 한스텝 빠른 조은석 스타일… 내란특검, ‘n차 소환’ 대신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7
52274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양평고속도로’ 의혹 원희룡 겨누나 랭크뉴스 2025.07.07
52273 5. 동성애에 관한 김대중·이회창·이인제·권영길, 그리고 바틀릿의 말[말했다] 랭크뉴스 2025.07.07
52272 소비쿠폰, 쿠팡·스벅선 '불가' 배민 조건부 적용…11월까지 안 쓰면 ‘환수’ 랭크뉴스 2025.07.07
52271 이젠 트럼프의 최대 정적…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2270 [속보] 與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요청…정부 "적극 검토" 랭크뉴스 2025.07.06
52269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논문 의혹 이어 ‘MB 4대강 자문위원’ 이력 도마에 랭크뉴스 2025.07.06
52268 사사건건 어깃장 놓은 ‘법꾸라지’…윤, 넉 달 만에 재수감 기로 랭크뉴스 2025.07.06
52267 병원장 임명 때마다 ‘낙하산’ 논란… 대통령이 임명하는 이상한 법 랭크뉴스 2025.07.06
52266 노부부 타고 가던 전동차 농수로에 추락…80대 아내 숨져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