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논쟁적 정책에 전국서 제동 걸었던 가처분결정, 이젠 '원고'에만 적용
집단소송 통해 효력 범위 확장할 길은 열려 있어


미 연방 대법원
[촬영 조준형]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정부 정책의 효력을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의 적용 범위를 제한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최근 결정으로 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중요한 견제 장치 하나가 약화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6대 3의 보수 우위인 미 연방 대법원은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 시민권'(속지주의에 입각한 미국 국적 부여) 금지 정책과 관련한 사건에서 개별 연방 판사가 연방 정부 정책의 효력을 미국 전역에서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릴 수는 없다고 결정했다.

효력 중단 가처분 결정은 소송을 제기한 개인이나 조직, 주(州) 등 원고에만 해당하며, 미국 전역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이었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금지 정책이 여러 주에서 시행되게 된 사실이 부각됐지만 이번 대법원 판결의 파장은 출생시민권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미국 각지의 연방 법원 중 한 곳에서 연방 정부 정책에 대해 가처분 결정을 하면 그 즉시 해당 정책에 전국적으로 제동이 걸렸는데, 이제는 소송을 제기한 원고에 대해서만 해당 정책의 효력이 중단되게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법원 결정이 행정부 정책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기능과 관련해 의미가 크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의 취재에 응한 노트르담대 로스쿨 새뮤얼 브레이 교수는 오바마 행정부(2009∼2017년) 이래 미국 대통령의 여러 주요 이니셔티브가 연방 법원의 보편적 가처분 결정에 의해 동결됐다고 소개한 뒤 이번에 "대법원이 연방 법원과 행정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설정했다"고 지적했다.

또 진보 성향의 공익 로펌 '헌법책임센터'의 스미타 고쉬 변호사는 이번 대법원의 결정이 "위헌적인 행정 관행들에 맞서는 일이 더 어렵고,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끔 만들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제동을 걸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이번 대법원 결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자주 자신의 발목을 잡아 온 '가처분 결정'의 족쇄를 상당 부분 벗게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집권 2기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발동해 추진한 각종 정부 보조금 지원 사업 폐지 결정, 전쟁 때 적용하는 법률을 활용한 이민자 추방, 특정 로펌에 대한 징벌적 조치 등이 가처분 결정에 의해 제동 걸린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법원의) 결정 덕분에 우리는 전국 단위로 금지 명령이 잘못 내려진 수많은 정책들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며 환영했다.

또 WP의 취재에 응한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대법원 결정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대통령의 우선순위 의제를 차단하는 장치에 대해 공격적으로 대항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법원의 이번 결정이 가처분을 통한 행정부 정책 견제를 일부 제한할 수는 있지만 봉쇄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가처분 결정의 보편적 효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지만, 원고의 범위를 확대하는 '집단 소송'을 통해 정부 정책에 저항할 수 있는 길 등이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책에 맞서고 있는 '공공권익프로젝트'의 조너선 밀러는 이제 타인이 제기한 소송에 의지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도시, 카운티, 주가 법원에 더 많은 집단 소송을 제기하게 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09 [단독]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하루 만에 친정서 “지명 철회하라” 공개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8 "오늘 무조건 신청해야겠네"…'月 70만원' 넣으면 5년 뒤 5000만원 꽂힌다 랭크뉴스 2025.07.01
49707 글로벌 ‘산업 보조금’ 각축 한국 가세…잃어버린 ‘윤석열 3년’ 극복할까 랭크뉴스 2025.07.01
49706 불법계엄 연루 인물 중 가장 늦게···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심판, 오늘 첫 심리 랭크뉴스 2025.07.01
49705 자사주 매입도 무용지물...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난 셀트리온 랭크뉴스 2025.07.01
49704 해바라기 "사랑은 줄 때도 받을 때도 행복, 평생 노래한 이유죠" 랭크뉴스 2025.07.01
49703 진용 갖춘 법무·민정‥'검찰 개혁' 방향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02 대낮에 나체로 돌아다니던 50대 여성, 80대 모친 살해 혐의로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7.01
49701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美, '北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0 [단독] AI·에너지 산업에 보조금…‘한국판 IRA’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7.01
49699 “물들어올때 노 저어야”…상법개정안 오늘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7.01
49698 벌써 취임 한 달?‥'100일' 안 기다리고 첫 회견 랭크뉴스 2025.07.01
49697 "여자도 군 입대해야지"…7월부터 여성도 '징병'한다는 덴마크 랭크뉴스 2025.07.01
49696 “한국 때문에 피해본다”…약값까지 압박하는 미국[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7.01
49695 그물 내리다가 발이···군산 앞바다서 외국인 선원 실종, 해경 함정·항공기 수색 랭크뉴스 2025.07.01
49694 이재명 정부, K방산 이끌 수장…차기 방사청장 후보군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1
49693 윤 사실상 '버티기' 돌입‥체포영장 '만지작' 랭크뉴스 2025.07.01
49692 [2025 하반기 부동산 전망]① “한강벨트 집값 조정될 것, 초양극화·풍선효과 우려도” 랭크뉴스 2025.07.01
49691 무역협상 낙관론 확산…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90 [단독] 러-우 전쟁 이후 첫 러시아 발레단 내한공연에 우크라 대사관 중단 요청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