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논쟁적 정책에 전국서 제동 걸었던 가처분결정, 이젠 '원고'에만 적용
집단소송 통해 효력 범위 확장할 길은 열려 있어


미 연방 대법원
[촬영 조준형]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정부 정책의 효력을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의 적용 범위를 제한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최근 결정으로 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중요한 견제 장치 하나가 약화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6대 3의 보수 우위인 미 연방 대법원은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 시민권'(속지주의에 입각한 미국 국적 부여) 금지 정책과 관련한 사건에서 개별 연방 판사가 연방 정부 정책의 효력을 미국 전역에서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릴 수는 없다고 결정했다.

효력 중단 가처분 결정은 소송을 제기한 개인이나 조직, 주(州) 등 원고에만 해당하며, 미국 전역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이었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금지 정책이 여러 주에서 시행되게 된 사실이 부각됐지만 이번 대법원 판결의 파장은 출생시민권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미국 각지의 연방 법원 중 한 곳에서 연방 정부 정책에 대해 가처분 결정을 하면 그 즉시 해당 정책에 전국적으로 제동이 걸렸는데, 이제는 소송을 제기한 원고에 대해서만 해당 정책의 효력이 중단되게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법원 결정이 행정부 정책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기능과 관련해 의미가 크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의 취재에 응한 노트르담대 로스쿨 새뮤얼 브레이 교수는 오바마 행정부(2009∼2017년) 이래 미국 대통령의 여러 주요 이니셔티브가 연방 법원의 보편적 가처분 결정에 의해 동결됐다고 소개한 뒤 이번에 "대법원이 연방 법원과 행정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설정했다"고 지적했다.

또 진보 성향의 공익 로펌 '헌법책임센터'의 스미타 고쉬 변호사는 이번 대법원의 결정이 "위헌적인 행정 관행들에 맞서는 일이 더 어렵고,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끔 만들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제동을 걸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이번 대법원 결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자주 자신의 발목을 잡아 온 '가처분 결정'의 족쇄를 상당 부분 벗게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집권 2기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발동해 추진한 각종 정부 보조금 지원 사업 폐지 결정, 전쟁 때 적용하는 법률을 활용한 이민자 추방, 특정 로펌에 대한 징벌적 조치 등이 가처분 결정에 의해 제동 걸린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법원의) 결정 덕분에 우리는 전국 단위로 금지 명령이 잘못 내려진 수많은 정책들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며 환영했다.

또 WP의 취재에 응한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대법원 결정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대통령의 우선순위 의제를 차단하는 장치에 대해 공격적으로 대항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법원의 이번 결정이 가처분을 통한 행정부 정책 견제를 일부 제한할 수는 있지만 봉쇄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가처분 결정의 보편적 효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지만, 원고의 범위를 확대하는 '집단 소송'을 통해 정부 정책에 저항할 수 있는 길 등이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책에 맞서고 있는 '공공권익프로젝트'의 조너선 밀러는 이제 타인이 제기한 소송에 의지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도시, 카운티, 주가 법원에 더 많은 집단 소송을 제기하게 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57 "가족들 양육 스트레스 극심"…ADHD 손자 살해하려 한 할머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30
49156 "이스라엘군에 죽음을"…英축제 그대로 생중계한 BBC 발칵 랭크뉴스 2025.06.30
49155 떼쓰는 윤석열, 특검팀 경찰에 ‘자격’ 트집…강제수사 자초하나 랭크뉴스 2025.06.30
49154 “돌쟁이 옷값이 사치라고?”…시누 쓰던 중고 육아용품 쓰라는 시어머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30
49153 尹측, 내란특검에 "수사 적법절차 보장해달라"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6.30
49152 내란특검 “1일 오전 9시 2차 출석하라” 윤 전 대통령에 ‘재통지’ 랭크뉴스 2025.06.30
49151 북, 트럼프 2기 대미 메시지 순해졌다 랭크뉴스 2025.06.30
49150 내란특검 “尹에 2차 출석통지…불응사유 납득 안되면 형소법 절차 진행” 랭크뉴스 2025.06.30
49149 中, 핵오염수 이유로 중단한 日수산물 수입 재개… 1년 10개월만 랭크뉴스 2025.06.30
49148 [속보] 특검 "2차통지 불응사유 납득 안되면 형소법 절차 진행" 랭크뉴스 2025.06.30
49147 첫 여성 거점국립대 총장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되다 랭크뉴스 2025.06.30
49146 체코 원전 수주 등 이끈 ‘현직 기업인’... 에너지 사업 전문가 랭크뉴스 2025.06.30
49145 국립대 첫 여성 총장…지거국 ‘서울대 10개’ 육성책 주력 랭크뉴스 2025.06.30
49144 트럼프 "이란이 평화 이룬다면 제재 해제할 것" 랭크뉴스 2025.06.30
49143 [현장]①시속 255km에도 편안 ③3종 충전구…2세대 KTX-이음 타보니 랭크뉴스 2025.06.30
49142 IAEA "이란, 몇달내 우라늄 농축 가능"…트럼프 발언과 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6.30
49141 [사설] 특검조사도 시간끌기로 국민 실망시킨 윤 전 대통령 랭크뉴스 2025.06.30
49140 中, 日수산물 수입 조건부 재개…"핵오염수 이상 발견 안 돼" 랭크뉴스 2025.06.30
49139 "어? 나도 여행갔던 곳인데"…동남아 유명 관광지서 '사제 폭탄' 테러 시도 '아찔' 랭크뉴스 2025.06.30
49138 中, 1년10개월만에 日수산물 수입 조건부 재개…"핵오염수 이상 미발견"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