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꽃가루를 뒤집어쓴 채 꿀을 모으는데 전념하고 있는 꿀벌의 모습. WWF 제공


"비 무비(Bee Movie)라는 꿀벌을 다룬 영화 보셨어요?"

벌을 취재하던 중 한 연구원으로부터 애니메이션을 추천 받았다.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으로 꿀벌이 '과로'하며 생명이 단축된다는 연구
를 진행한 그는 이 영화가
인간과 꿀벌의 관계를 잘 그려냈다고 소개했다.


기사에 도움이 될까 싶어 정보를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는 무려 17년전인 2008년
'꿀벌 대소동'
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된 작품이었다. 해외에서는 배우 제리 사인 필드와 르네 젤 위거, 국내에서는 방송인 유재석이 목소리 출연을 한 걸 보면 나름 화제가 됐던 영화였던 듯하다.

영화 꿀벌대소동의 한 장면. 온라인 캡처


주인공 꿀벌 '배리'는 우연히 인간들이 꿀벌이 힘들게 만드는 꿀을 아무렇지도 않게 빼앗아가는 걸 알게 되면서
인간과 법정 다툼
까지 벌이게 된다. 다소 황당해보이지만, 우
리가 당연하게 먹는 꿀이 결국은 꿀벌의 먹이이자 노동의 대가
였음을 짚어낸다.
꿀벌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묵직한 메시지도
흥미롭게 그려냈다.

영화 속에는
"자연산이라고? 벌꿀산이겠지!", "일은 꿀벌이, 돈은 인간이"
라는 명대사들이 나온다. 꿀은 자연에서 거저 얻어지는 게 아님을, 쉬지 않고 일하는 꿀벌에 의해 생산되지만 이익은 꿀벌이 아닌 인간이 가져가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연관기사
• "사양벌꿀→설탕꿀" 이름 바꾼다더니···농식품부 장관 공언 왜 흐지부지됐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2410120000367)• "윙윙"···사람에 꿀 뺏기고 기온 상승에 과로사하는 벌 [위기의 도심동물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716390002619)
장마가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든 23일 경기도 안성팜랜드에서 꿀벌이 활짝 핀 코스모스 사이를 분주하게 날아다니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양봉 산업은 더 심각한 상황
이다. 국내 양봉 사육밀도는 국토 면적(㎢)당 21.8봉군으로 일본의 34배, 미국의 80배에 달한다. 밀원 식물 수는 줄고 있는데, 농가는 늘어나니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지고,
꿀벌을 혹사 시키는 구조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사례가
사양벌꿀
이다. 사양벌꿀은 꿀벌이 만든 꿀은 인간이 가져가고 대신 설탕물을 먹여 꿀을 생산·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양산된다.
24시간 내내 공급되는 설탕물로 꿀을 만들어야 하므로 꿀벌은 쉴 틈이 없다
. 설탕물을 먹은 꿀벌은 면역력과 수명 저하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럼에도
이를 판매용 식품으로 공식 인정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
하다.

액상과당을 넣어 양을 네 배 뻥튀기한 뒤 '벌꿀 100%'로 판매한 제품.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 '벌꿀'을 검색해봤다.
절반 이상이 사양벌꿀
이었다. 더욱이 한 업체는
'꿀벌 백만송이 날갯짓'이라는 문구로 꿀벌의 과로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하고 있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사양벌꿀 명칭에 '설탕'을 넣겠다고 했지만 8개월이 지난 지금도 진척된 건 없다.

해외에서는 꿀 성분과 유사한 대체품까지 나와 있다.
꿀을 사기 전 어떤 방식으로 생산됐는지 고민해 보길 바란다
. 또 꿀벌대소동도 추천한다. 수컷 꿀벌이 침을 쏘는 등 '치명적인' 오류가 있지만 꿀과 꿀벌에 대해 생각해 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35 [속보]김용태 “채상병 유가족·국민께 사과…특검으로 진실 밝혀지길” 랭크뉴스 2025.06.29
48934 다음 달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기준 ‘인상’…최대 1만 8천 원 랭크뉴스 2025.06.29
48933 민주당 "30일 김민석 인준 본회의 요청, 늦어도 6월 임시국회 내 처리" 랭크뉴스 2025.06.29
48932 '불닭의 힘' 진짜 일냈다…삼양식품, 마침내 시총 '10조 클럽' 진입 랭크뉴스 2025.06.29
48931 尹 첫소환 실제조사 5시간…2차조사 체포방해·국무회의 초점 랭크뉴스 2025.06.29
48930 최고금리 내리자 대부업 시장 28% 축소…취약층, 불법 사금융으로? 랭크뉴스 2025.06.29
48929 배달앱에선 더 비싸다… 외식업계 ‘이중가격제’ 확산 랭크뉴스 2025.06.29
48928 반려동물 치료비 지출 2배 늘었는데…보험가입률은 10%대로 ‘미미’ 랭크뉴스 2025.06.29
48927 李 대통령 ‘경찰국 폐지’ 공약에 경찰청 “적극 동참” 랭크뉴스 2025.06.29
48926 안철수 "상처 덮으면 곪아, 대선 백서로 과오 돌아봐야" 랭크뉴스 2025.06.29
48925 김건희 휠체어 퇴원 ‘쇼’였나…“차 탈 땐 벌떡” “집에선 걸어다녀” 랭크뉴스 2025.06.29
48924 월소득 637만원 넘는 고소득자, 국민연금 보험료 월 1만8000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6.29
48923 올해 고1, 대입 땐 과학·수학이 핵심 변수…“‘문과 침공’ 심해질수도” 랭크뉴스 2025.06.29
48922 월소득 637만원이면 국민연금 보험료 1만8천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6.29
48921 지난해 공무원 육아휴직자 중 절반이 ‘아빠’ 랭크뉴스 2025.06.29
48920 '민주당 돈봉투' 윤관석 전 의원 내일 가석방 랭크뉴스 2025.06.29
48919 송언석 "총리 인준되면 장관 검증 무용지물"‥ 내일 '김민석 국민청문회' 예고 랭크뉴스 2025.06.29
48918 “완전히 미친 짓” 머스크, 트럼프 감세 법안 또 비판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6.29
48917 與 "김민석 인준 본회의 30일 열어야…늦어도 7월 3일 표결" 랭크뉴스 2025.06.29
48916 국힘 송언석 “내일 김민석 ‘국민청문회’ 연다···의혹 해소는커녕 더 커져”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