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가 북한 측에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를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북한의 황강댐 무단방류는 장마철마다 임진강 유역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해 왔는데요. 해마다 우리 정부가 사전 통보를 요구했지만, 북한은 무단 방류를 계속해 왔습니다. 새 정부 들어 대북 정책이 바뀌면서 북한의 반응도 달라질지 주목됩니다.

■ 2009년 황강댐 무단 방류... 야영객 6명 사망

2009년 9월 6일, 새벽에 갑자기 불어난 강물이 임진강 하류에 있던 야영객과 낚시꾼들을 덮쳤습니다. 북한이 황강댐을 기습 방류하면서 임진강 하류의 수위가 급격히 높아진 겁니다.

북한의 황강댐 방류로 침수된 임진강 하류
북한의 황강댐 방류로 침수된 자동차들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황강댐은 남측 하류에 위치한 군남댐으로부터 56km 정도 떨어져있습니다. 군남댐보다 지대가 높고 저수량이 3억 5천만 톤으로 군남댐의 5배나 많아 방류하게 되면 필승교와 군남댐의 수위가 급격히 오릅니다.


당일 새벽 당시 임진교 부근 수위는 60cm 정도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을 만큼 얕았습니다. 하지만 물이 차오르기 시작한 지 2시간이 흐른 새벽 6시 반에는 3m로 빠르게 수위가 올라갔습니다. 이 사고로 6명이 숨졌습니다.

■ 소통 채널 끊긴 남북, 공개 브리핑으로 요청


사고 발생 바로 다음날, 북한은 ‘관계기관’ 명의의 통지문을 보내왔습니다. “임진강 상류에 있는 제방의 수위가 높아져 지난 5일 밤에서 어제 새벽 사이에 긴급히 방류하게 되었다”고 밝혔는데요. 이어 “임진강 하류에서 피해 방지를 위해 앞으로 많은 물을 방류하게 되는 경우 남측에 사전 통보하겠다”고 알려왔습니다.

북한은 2013년까지는 종종 황강댐 방류 사전 통보를 했지만, 이후에는 한 번도 통보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정부에서도 북측의 무단 방류는 계속됐습니다. 2022년 6월 30일, 필승교의 수위는 6m를 넘었습니다. 이틀 전에 통일부가 언론 브리핑을 통해 "남북 합의에 따라 북측이 북측 수역의 댐 방류시 사전에 우리 측에 통지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라고 했지만, 북측은 아무런 반응이 없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윤석열 정부 들어 북측과의 소통 채널이 모두 끊겼기 때문입니다. 북한에 우리의 메시지를 보낼 수단이 사라져 언론 브리핑을 통해 사전 통지 요청을 간접적으로 전달한 겁니다.

지난 25일에도 필승교 수위가 행락객 대피 기준인 1미터를 넘었습니다. 북한이 황강댐을 방류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에도 정부는 언론 브리핑을 열었습니다.

장윤정/통일부 부대변인
북한의 댐 방류 사전 통보는 접경지역에 계신 우리 국민의 생명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입니다. 자연재해에 대한 공동 대응은 인도주의적 사안이며 남과 북은 임진강 수해 방지를 위한 협력에 수차례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 장마철 남북 접경지역의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북한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댐 방류 시 우리 측에 미리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 달라진 대북 정책, 북한 반응도 달라질까
철거되는 대북 확성기

새 정부 들어 대북 방송이 중단됐습니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형성을 위한 조치였다는 정부의 설명. 다음날 바로 북한에서 들려오던 대남 방송도 중단됐습니다. 정부의 행동에 북한이 화답한 것입니다. 달라진 남한 정부의 대북 정책에 맞춰 이번 요구에 대한 북한의 반응도 달라질까요?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근까지의 흐름으로 본다면 북한이 여기에 대해서 답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일단 높은데요. 하지만 현 정부가 남북한의 갈등과 긴장을 원치 않는 ‘적대 의사가 없다’라는 메시지들을 출범 이후부터 나름대로 해왔기 때문에 북한이 좀 다르게 반응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특히 이제 남북한이 굳이 서로 인도적 사안 부분에서 피해를 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북한도 부담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있거든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81 법무 정성호·행안 윤호중…대통령 직속 지방위원장에 김경수 랭크뉴스 2025.06.29
48980 법무장관 ‘친명 좌장’ 정성호… 민정수석 봉욱·행안부 윤호중 랭크뉴스 2025.06.29
48979 "'국민 도련님'이 성범죄라니"…왕세자비 아들 만행에 발칵 뒤집힌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6.29
48978 국정원 1차장 이동수·2차장 김호홍…기조실장 김희수 임명 랭크뉴스 2025.06.29
48977 나경원, 알찬 김밥 놓고 ‘웰빙 농성’…“자기정치병엔 백약이 무효” 랭크뉴스 2025.06.29
48976 [프로필]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李와 38년지기 ‘쓴소리꾼’ 랭크뉴스 2025.06.29
48975 "오늘 저녁은 치킨 어때?" 배달앱 열었다가 '깜짝'…가격 얼마나 올랐길래 랭크뉴스 2025.06.29
48974 이달 가계대출 증가액 7조 육박…내달부턴 '고액 영끌' 확 줄듯(종합) 랭크뉴스 2025.06.29
48973 벌써 5kg 빠졌다는 강훈식…치아 잃은 문 전 대통령 ‘재소환’ 랭크뉴스 2025.06.29
48972 윤석열과 경쟁하던 봉욱, 민정수석으로 돌아왔다 랭크뉴스 2025.06.29
48971 법무 정성호·기재 구윤철·행안 윤호중 등 6개 부처 장관 인선 랭크뉴스 2025.06.29
48970 “한국인 밥상에도 자주 오르는데”…부작용 없이 '암' 확산 막는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6.29
48969 이 대통령, 민정수석에 봉욱·경청통합수석 전성환 임명 랭크뉴스 2025.06.29
48968 [속보] 기재부 구윤철, 복지부 정은경…장관 후보자 6명 지명 랭크뉴스 2025.06.29
48967 “젠슨 황 등 엔비디아 경영진, 1조 이상 주식 매도” 랭크뉴스 2025.06.29
48966 이란 핵 60% 있는데…"이스파한 파괴 못했다" 미국의 고백 랭크뉴스 2025.06.29
48965 [속보] 법무 정성호·행안 윤호중…지방시대위원장에 김경수 랭크뉴스 2025.06.29
48964 경제사령탑에 정통관료 구윤철, 사법개혁 수장에 親明좌장 정성호 랭크뉴스 2025.06.29
48963 우의장, 내일 본회의 안열기로…"늦어도 7월3일 총리 인준 표결" 랭크뉴스 2025.06.29
48962 [속보]법무 정성호·행안 윤호중·기재 구윤철·복지 정은경···이 대통령, 장관 내정자 인사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