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전시가 선보인 ‘꿈돌이라면’이 시장에 나온 지 2주 만에 30만개를 돌파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서울시가 만든 ‘서울라면’이 출시 이후 5개월만에 판매량 100만개를 넘은 것과 비교하면 훨씬 빠른 판매 속도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도 서울라면 포장 디자인을 바꾸는 등 일부 자치단체가 라면 마케팅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대전시가 ‘대전 꿈돌이 라면’을 공식 출시한 가운데 9일 대전 동구 꿈돌이네 라면가게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이 현판식을 마치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대전 꿈돌이 라면’은 대전을 대표하는 캐릭터 ‘꿈돌이’를 활용한 전국 최초의 캐릭터 라면으로 쇠고기맛과 해물짬뽕맛 2종이 있다. 뉴스1


서울 등서 주문하는 대전 꿈돌이라면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6월 9일 처음 출시된 꿈돌이라면이 2주가 지난 6월 22일, 1차 제작 물량인 30만개가 모두 판매됐다. 판매 1주일 만에 20만개가 판매되며 흥행 조짐을 보인 데 이어 7일 만에 10만 개가 추가 판매됐다. 대전시는 꿈돌이라면이 날개 돋친 듯 팔리자 22만 개를 추가 생산해 팔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22일 이후 추가로 3만여개가 판매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판매 상황을 보며 추가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꿈돌이라면 인기는 인형 등 꿈돌이 굿즈 패키지 상품 판매, ‘꿈돌이네 라면가게’ 팝업스토어 운영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 덕분이라는 게 대전시의 분석이다. 게다가 꿈돌이 라면은 대전에서만 살 수 있는 지역적 희소성도 있다. 이에 서울 등 다른 지역서 지인을 통해 라면을 살 수 없냐는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일부 시민은 라면을 사서 지인에게 택배로 보내주고 있다.

소셜미디어에는 ‘대전 필수 쇼핑템’으로 떠오른 꿈돌이라면 인증샷이 잇따르고 있다. 또 라면과 함께 출시된 키링, 냄비받침, 양은냄비 등 굿즈 상품도 조기 품절되며 팬덤 소비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꿈돌이라면


대전시내 600여곳서 판매
꿈돌이라면은 1993년 대전엑스포 마스코트인 ‘꿈돌이’를 모티브로 만들었다. 소고기라면과 해물짬뽕맛 등 2가지가 있다. 라면은 매운맛 강도 조절이 가능한 분말수프를 추가했다. 수프는 대전지역 식품회사가 제조하며, 면은 (주)오뚜기에 주문생산한다. 소고기라면을 맛본 대전시민 김남수씨는 "소고기라면에 분말수프까지 넣으면 국물이 매콤해진다"라고 말했다. 또 포장에 꿈씨 캐릭터 스토리를 입혀 차별했고, 가격은 각각 1500원이다. 꿈돌이 캐릭터 사용에 따라 대전관공공사에 매출액의 1%정도를 낸다.

꿈돌이라면은 대전역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농협 하나로마트 등 약 600곳에서 살 수 있다. 대전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도 준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꿈돌이라면 인기는 대전을 주제로 한 콘텐트가 관광용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 맛과 재미, 스토리를 담은 콘텐트를 다양한 개발해 대전의 브랜드 매력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서울라면


서울라면은 '해치'넣어 리뉴얼
서울시는 ‘서울라면’ 포장에 서울 대표 캐릭터인 ‘해치’를 넣어 재출시하기로 했다. 서울라면은 서울시 도시 브랜드인 ‘서울 마이소울(Seoul, my soul)’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식품 업체 '풀무원'과 공동 개발했다. 맛은 국물과 짜장 등 두 가지다. 서울라면은 지난해 2월 출시한 지 1년 4개월 만에 국내외 누적 판매량 478만개를 돌파했다. 서울라면은 미국 등에 수출도 한다.

서울시는 이번 라면 포장 디자인 리뉴얼과 함께 제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푸드 QR’ 기술을 도입했다. 소비자는 QR코드를 통해 원재료, 영양성분, 보관방법, 포장 재질 등 상세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민수홍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해치 캐릭터가 그려진 서울라면은 서울의 상징성과 친근함을 시민과 관광객에게 보다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홍보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75 ‘주담대 상한 6억’ 부동산 대책에 국힘 “서민·청년 집 못 사게 막는 정책” 주장 랭크뉴스 2025.06.29
48874 李정부 첫 관세협상… 韓 제조업 협력 강조, 美 비관세장벽 압박 랭크뉴스 2025.06.29
48873 구조된 어린 점박이물범,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 랭크뉴스 2025.06.29
48872 박찬대 VS 정청래, SNS 민심이 보는 다음 당대표는?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6.29
48871 송언석 "김민석 총리 인준되면 다음 장관 도덕성 검증 무용지물" 랭크뉴스 2025.06.29
48870 17차례 접대받고 “대가성은 없었다”? 인천 강화군 5급 공무원에 법원 “파면 정당” 랭크뉴스 2025.06.29
48869 ‘폭염 속 방치’ 청년노동자 열사병 사망 사건, 노동부는 업체에 ‘혐의없음’ 면죄부 랭크뉴스 2025.06.29
48868 "반려견은 직계 가족… 정신적 피해 배상해야" 이례적 판결에 논쟁 벌어진 뉴욕 랭크뉴스 2025.06.29
48867 호주에서 온 스무살 희주씨, '분단의 둔덕' 등지고 국토대장정 나선 이유는 [문지방] 랭크뉴스 2025.06.29
48866 초강력 대출 규제‥서울 아파트 74%, 18개 구 사정권 랭크뉴스 2025.06.29
48865 [샷!] "인주 대신 쌈장 써도 돼요?" 랭크뉴스 2025.06.29
48864 與 당대표 정청래냐 박찬대냐… 승부 가를 '명심'의 선택은 [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6.29
48863 의붓딸 상습폭행·학대 계부 징역 1년6개월…친모도 가담 랭크뉴스 2025.06.29
48862 생산 작업 담당 수용자에게만 치킨 배식한 교도소···법원 “차별 아냐” 랭크뉴스 2025.06.29
48861 “너무 시끄러워요!” 민원 속출 청계천, 버스킹 구역 확 줄어든다 랭크뉴스 2025.06.29
48860 집에 악취 나는데도 "父 사망 몰랐다"…보름 넘게 방치한 아들 랭크뉴스 2025.06.29
48859 美 "대화하자" 손 내밀었지만…北 "날강도" 비난 쏟아냈다 랭크뉴스 2025.06.29
48858 "이렇게나 많이 기른다고?"...韓 인구 30%가 '반려인' 랭크뉴스 2025.06.29
48857 생산 작업한 수용자에게만 치킨 준 교도소…법원 “차별 아냐” 랭크뉴스 2025.06.29
48856 17차례 접대받은 인천 강화군 5급 공무원···법원 “파면 정당”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