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바BAR_신형철의 잼있는 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한 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캐내내스키스/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미국, 일본, 중국, 체코, 베트남, 호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6월 27일 현재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정상 간 전화 통화를 한 국가들입니다. 당선 후 미국,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베트남, 우크라이나, 네덜란드 순서로 정상 통화를 한 윤석열 전 대통령이나, 미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 독일, 러시아 순서로 통화한 문재인 전 대통령. 그리고 미국, 호주, 캐나다, 중국, 일본, 러시아, 유엔 순서로 전화 통화를 한 박근혜 전 대통령 등과 비교하면 ‘글로벌 사우스’ 국가와 한 전화 통화가 조금 더 많다는 게 눈에 띕니다.

글로벌 사우스는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의 개발도상·신흥국을 묶어 이르는 말인데, 이 국가들 대부분이 남반구에 있다는 점에 착안한 이름입니다. 선진국가들이 포진한 ‘글로벌 노스’와 대비되는 개념이죠. 글로벌 사우스는 세계 인구의 약 85 %를 차지하며, 젊은 층 비율이 높고 도시화 속도가 빨라 ‘블루오션’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글로벌 사우스에 관심을 드러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이 대통령은 21대 대선 공약집에서 “신남방, 신북방 정책의 계승 발전과 글로벌 사우스와의 권역별 협력 심화”를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이 대통령은 △아세안, 중앙아시아, 인도, 중동, 오세아니아까지 지역협력 확장 △글로벌 사우스 국가와 협력을 통한 전략적 자율성 증대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공약집에 담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외교무대에서도 글로벌 사우스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현지시각)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만나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브라질이 의장국인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도 초청받았습니다. 한국의 중남미 최대 교역국인 멕시코와의 정상회담에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을 올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초청했습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룰라 대통령에게 어린 시절 공장에서 팔을 다친 이야기를 전했고, 룰라 대통령은 눈물을 글썽인 사실이 알려져 이목을 끌기도 했죠.

이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미국·일본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과 연대를 강조하는 ‘가치외교’를 추구했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후 서방이 분열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의 연대에만 의존하는 외교노선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익명을 요구한 전직 외교관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급증하는 가운데, 글로벌 사우스는 높은 경제성장률, 지정학적 블록화 대응, 글로벌 공급망 재편 차원에서라도 몹시 중요한 국가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주요 국가들은 글로벌 사우스와의 관계에 오랫동안 신경을 써왔습니다. 중국 외교부장은 35년째 한 번도 빼지 않고 새해 첫 순방지로 아프리카를 택해왔습니다. 그만큼 중국의 외교전략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태평양 도서국들은 미중 경쟁의 장이 된 지 오래입니다. 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가 선보인 신남방 정책을 넘어서 한국의 외교지평을 넓힐 수 있을지 지켜볼 일입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16 김어준 토크콘서트서 "곧 대법관 될 것"…文 "형님이라 해봐" 랭크뉴스 2025.07.01
49615 "마동석인 줄" 64세 정성호 팔뚝 깜짝…뜻밖의 이력 화제 랭크뉴스 2025.07.01
49614 민주당과 상법 개정안 간담회 한 재계 "할 말은 했지만, 큰 기대 않는다" 랭크뉴스 2025.07.01
49613 "재밌네 인생이ㅋㅋ"…한덕수에 고소당한 방송인 오윤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1
49612 특검, 계엄 사후 선포문에 한덕수 서명 의혹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49611 3년 넘게 동급생 집단폭행···청양 고교생 4명 퇴학 처분 랭크뉴스 2025.07.01
49610 "여보, 로또 2억 당첨됐어 이사 가자"…기뻐했는데 직원 실수 '초대형 사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9 “미·이스라엘 공격, 핵 비확산 체제에 위험…한반도 영향 커” 랭크뉴스 2025.07.01
49608 베선트 장관 “관세發 물가상승 일시적…10년물 금리 더 내려갈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7 외국인 2000명 채무 182억 탕감?…김재섭 "이재명식 민생인가" 랭크뉴스 2025.07.01
49606 특검, 윤석열 오늘 불출석 땐 재소환…또 불응하면 ‘최후 조처’ 경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5 미 재무장관 "상호관세 유예 트럼프에 달렸다... 저항하면 다시 부과할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4 FBI 등 美안보기관들 "이란 관련 해커들의 사이버공격 주의" 랭크뉴스 2025.07.01
49603 [사설] 美 “관세 유예 연장 불필요”…기업 피해 최소화 위해 총력전 펴라 랭크뉴스 2025.07.01
49602 [사설]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허한 지방 지원책이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1
49601 보훈부가 지원한 역사 왜곡?‥'이승만 찬양' 스피치 대회 랭크뉴스 2025.07.01
49600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물러나는 김용태 “개혁 점수 0점” 랭크뉴스 2025.07.01
49599 이란 ‘12일의 전쟁’ 피해는 큰데, 책임지는 지도자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1
49598 휴전 논의차 미 백악관 가는 이스라엘 장관... 가자지구선 무차별 폭격 랭크뉴스 2025.07.01
49597 3G 서비스 계속된다…통신사 주파수 재할당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