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 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받을 자격이 있지만, 절대 주지 않을 걸요.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정상회담 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갈등을 중재한 데 따른 노벨 평화상 수상 여부를 묻는 기자의 말에 이렇게 답했다. 하지만 속내는 다를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의 노벨 평화상 집착은 세계 평화 그 이상의 상징”이라며 “약 10년 넘게 이어진 집념”이라고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을 떠나 사우스론에 있는 마린 원을 향해 걸어가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있다. AFP=연합뉴스
최근에도 트럼프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 인도-파키스탄과 이스라엘-이란 간 휴전 중재 등 외교적 행보를 트루스소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홍보하며 ‘세계 평화의 중재자’ 이미지를 부각하고 있다. 그가 지난 24일 트루스소셜에서 공유했던 B-2 스텔스 폭격기 영상 등이 담긴 뮤직비디오만 해도 2만5300개의 '좋아요'를 받았다. 이를 두고 “이란 핵시설 폭격이란 자신의 결단을 통해 휴전을 이끌어냈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모습이 역력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반복된 불발, 명예욕 자극
트럼프는 2018년 첫 북·미 정상회담, 2020년 이스라엘-아랍에미리트(UAE) 평화협정, 2024년 중동 평화 기여 등을 근거로 여러 차례 노벨평화상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엔 끝내 실패했다. 타임지 등은 “반복된 노벨상 수상 불발이 그의 자존심과 명예욕을 자극했다”고 전했다.

낙찰된 노벨평화상 메달. EPA=연합뉴스
1기 때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냈지만, 트럼프와 반목하고 있는 존 볼턴은 미 언론과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공적 삶의 중심을 ‘영광’에 두고 있다”며 “노벨평화상은 벽에 걸기 멋진 상장”이라고 비꼬았다.



“오바마는 되는데, 왜 난 안 돼”
그의 집착 배경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도 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오바마가 2009년 취임 직후 노벨 평화상을 받은 데 대해 트럼프는 “오바마보다 훨씬 많은 일을 했는데 왜 나는 안 주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고 한다. 1기 때 백악관 고위 관리을 지낸 한 인사도 NBC방송에 “트럼프가 오바마는 성공했는데 자신은 그렇지 못했다는 사실에 집착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지난 2018년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 18명이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에 추천했다. 중앙포토
트럼프의 노벨 평화상 집착이 상징 욕구를 넘어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정치 전략이란 해석도 나온다. 버디 카터(조지아주) 하원의원 등 공화당 의원들은 “(트럼프의) 리더십이 전쟁 방지와 평화 추구, 국제적 조화 증진이라는 노벨 평화상의 이상을 구현했다”고 치켜세우며 그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마가(MAGA) 진영 또한 동의하면서 한 목소리를 내는 상황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외교는 일관성·지속성이 부족하다”(뉴스위크) 등 회의적인 시각이 여전히 많다. 노벨위원회의 공식 입장은 “지명만으론 수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이다.

트럼프의 도전이 ‘정치적 쇼맨십’일 수 있다는 풀이도 있다. 그가 바라는 건 ‘수상’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뉴스와 정치적 에너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08 "오늘 무조건 신청해야겠네"…'月 70만원' 넣으면 5년 뒤 5000만원 꽂힌다 랭크뉴스 2025.07.01
49707 글로벌 ‘산업 보조금’ 각축 한국 가세…잃어버린 ‘윤석열 3년’ 극복할까 랭크뉴스 2025.07.01
49706 불법계엄 연루 인물 중 가장 늦게···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심판, 오늘 첫 심리 랭크뉴스 2025.07.01
49705 자사주 매입도 무용지물...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난 셀트리온 랭크뉴스 2025.07.01
49704 해바라기 "사랑은 줄 때도 받을 때도 행복, 평생 노래한 이유죠" 랭크뉴스 2025.07.01
49703 진용 갖춘 법무·민정‥'검찰 개혁' 방향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02 대낮에 나체로 돌아다니던 50대 여성, 80대 모친 살해 혐의로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7.01
49701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美, '北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0 [단독] AI·에너지 산업에 보조금…‘한국판 IRA’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7.01
49699 “물들어올때 노 저어야”…상법개정안 오늘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7.01
49698 벌써 취임 한 달?‥'100일' 안 기다리고 첫 회견 랭크뉴스 2025.07.01
49697 "여자도 군 입대해야지"…7월부터 여성도 '징병'한다는 덴마크 랭크뉴스 2025.07.01
49696 “한국 때문에 피해본다”…약값까지 압박하는 미국[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7.01
49695 그물 내리다가 발이···군산 앞바다서 외국인 선원 실종, 해경 함정·항공기 수색 랭크뉴스 2025.07.01
49694 이재명 정부, K방산 이끌 수장…차기 방사청장 후보군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1
49693 윤 사실상 '버티기' 돌입‥체포영장 '만지작' 랭크뉴스 2025.07.01
49692 [2025 하반기 부동산 전망]① “한강벨트 집값 조정될 것, 초양극화·풍선효과 우려도” 랭크뉴스 2025.07.01
49691 무역협상 낙관론 확산…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90 [단독] 러-우 전쟁 이후 첫 러시아 발레단 내한공연에 우크라 대사관 중단 요청 랭크뉴스 2025.07.01
49689 [단독] 경상대 의대, ‘저소득층 지역인재’ 전형 3년 누락…교육부는 방관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