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캐나다의 디지털세 강행 의사에 반발
“미국에 대한 노골적인 공격···악랄”
7월 상호관셰 유예 연장도 확답 안해
“각 국에 서한 보내 관세율 밝힐 것”
관세 유예기간엔 "단축 원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 시간) 워싱턴DC백악관에서 열린 기자 회견 중 질의할 언론사를 손가락으로 가르키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모든 뮤역 협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다른 무역 상대국에도 협상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일방적인 관세율을 통보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막판 강경 행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캐나다가 미국 기술기업에 디지털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우리나라에 대한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공격”이라며 “이같은 악랄한 세금 부과를 근거로 우리는 캐나다와의 무역 관련 논의를 즉시 종료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캐나다가 미국과 거래할 경우 부과될 관세를 앞으로 7일 이내에 통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차원에서 추진된 글로벌 최저한세에 대해 세계 주요국이 미국 기업에는 부과하지 않기로 주요 7개국(G7)과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캐나다는 원래 계획대로 강행할 의사를 밝혔다. 캐나다 재무부는 오는 30일이 캐나다 디지털세의 첫 납부 기한이라며 과세 대상 기업들이 2022년까지 소급 적용해 납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과 대상은 메타플랫폼 등 1년 간 2000만 캐나다달러(미화 1460만 달러) 이상 매출을 올린 소셜미디어 기업으로, 해당 매출 초과분에 대해 3%의 세율을 적용한다. 디지털세는 OCED가 조세 형평성을 위해 추진하는 글로벌 최저한세의 일환이다.

그동안 캐나다는 이같은 디지털세를 미국과의 관세협상 지렛대로 활용했다. 프랑수아-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은 지난주 “분명히 이 모든 것은 앞으로 논의될 수 있는 광범위한 협상의 일환으로 고려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음 1주 반(열흘) 내에, 혹은 아마도 그 전에 서한을 보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그들이 지불해야 할 것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단순히 연장하기 보다 그 전에 미국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상호관세율을 통보하는 방식이 포함될 것이란 예고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200개 국가와 협상을 해야 하지만, 그 모든 국가와 협상을 할 수는 없다”며 “이는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 앞서 지난 12일에도 “약 1주 반(열흘)이나 2주 후”에 서한을 보내겠다고 예고한 바 있지만, 이는 실제 이뤄지지 않았다.

이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관세 협상을 미국 노동절인 9월 1일까지 완료하길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사실상 상호관세 유예기한을 연장한다는 뜻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연장 가능성을 확답하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할 수 있다. 우리는 연장할 수 있다. 우리는 더 줄일 수도 있다”면서 “나는 단축하고 싶다. 모든 이에게 ‘축하한다. 당신은 25%를 내게 됐다’라는 서한을 보내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31 尹 첫소환 실제조사 5시간…2차조사 체포방해·국무회의 초점 랭크뉴스 2025.06.29
48930 최고금리 내리자 대부업 시장 28% 축소…취약층, 불법 사금융으로? 랭크뉴스 2025.06.29
48929 배달앱에선 더 비싸다… 외식업계 ‘이중가격제’ 확산 랭크뉴스 2025.06.29
48928 반려동물 치료비 지출 2배 늘었는데…보험가입률은 10%대로 ‘미미’ 랭크뉴스 2025.06.29
48927 李 대통령 ‘경찰국 폐지’ 공약에 경찰청 “적극 동참” 랭크뉴스 2025.06.29
48926 안철수 "상처 덮으면 곪아, 대선 백서로 과오 돌아봐야" 랭크뉴스 2025.06.29
48925 김건희 휠체어 퇴원 ‘쇼’였나…“차 탈 땐 벌떡” “집에선 걸어다녀” 랭크뉴스 2025.06.29
48924 월소득 637만원 넘는 고소득자, 국민연금 보험료 월 1만8000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6.29
48923 올해 고1, 대입 땐 과학·수학이 핵심 변수…“‘문과 침공’ 심해질수도” 랭크뉴스 2025.06.29
48922 월소득 637만원이면 국민연금 보험료 1만8천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6.29
48921 지난해 공무원 육아휴직자 중 절반이 ‘아빠’ 랭크뉴스 2025.06.29
48920 '민주당 돈봉투' 윤관석 전 의원 내일 가석방 랭크뉴스 2025.06.29
48919 송언석 "총리 인준되면 장관 검증 무용지물"‥ 내일 '김민석 국민청문회' 예고 랭크뉴스 2025.06.29
48918 “완전히 미친 짓” 머스크, 트럼프 감세 법안 또 비판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6.29
48917 與 "김민석 인준 본회의 30일 열어야…늦어도 7월 3일 표결" 랭크뉴스 2025.06.29
48916 국힘 송언석 “내일 김민석 ‘국민청문회’ 연다···의혹 해소는커녕 더 커져” 랭크뉴스 2025.06.29
48915 中 ‘무역 희생양 삼으면 반격’… 새 美 관세 협상 경고 랭크뉴스 2025.06.29
48914 민주당 "김민석 총리 인준안, 7월 3일 안에 추경과 함께 처리" 랭크뉴스 2025.06.29
48913 ‘구속 5관왕’, 국힘 대통령 잔혹사…홍준표 “참 부끄럽다” 랭크뉴스 2025.06.29
48912 실무자 “포고령·군 투입, 절차 어겨”…尹 “전쟁 때 계엄 못 해” [피고인 윤석열]⑫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