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대표적인 여름 휴가지 가운데 강원도의 홍천강이 있죠.

그런데 수심이 얕은 편인 이 홍천강에서 지난 5년간 무려 11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대체 무슨 일들이 벌어졌던 걸까요?

김준겸 기자가 현장취재 했습니다.

◀ 리포트 ▶

강원도 홍천강 중류에 위치한 다리 밑 자갈밭.

정강이 정도 오는 물 깊이인 이곳에 지난주 저녁, 중학생 4명이 놀고 있었습니다.

전날 비가 왔지만 강은 평온해 보였습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1명이 실종돼 숨졌고, 3명은 물에 휩쓸려 목숨을 잃을 뻔했습니다.

[홍천군 북방면 하화계리 주민]
"애들이 돌 자갈밭 근처에서 물놀이하는 것을 많이 봤었어요. 바로 코앞에서 물에 휩쓸렸다고 하니까 너무 놀랐고…"

일주일 지나 장맛비가 온 다음 날을 택해 같은 장소에 들어가 봤습니다.

처음엔 걸을 만했습니다.

기자는 30대, 80kg에 건장한 체격, 하지만 몇 걸음 걷자, 다리부터 휘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곧 강 안쪽으로 빨려 들어갔고, 바닥이 사라졌습니다.

평평한 하천 바닥에서 갑자기 패여있는 웅덩이 '소'.

2m 이상 깊어진 수심에 발버둥 쳐도 빠져나올 수 없었습니다.

[119수난구조대원]
"이리 와요 이제!"

불과 30초 안에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홍천강 평소 유속은 초속 0.6m까지 느려지기도 하지만 비가 오면 최대 초속 5m/s 이상 빨라집니다.

강 밖에서 속도를 가늠하기 힘듭니다.

[김석훈/홍천소방서 119수난구조대원]
"홍천강은 유속이 빠르고 바닥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많습니다. 또한 부유물들로 인해 수심을 확인하기 어렵고…"

최근 5년간 홍천강에서 11명이 숨졌습니다.

대부분 강가에 놀다가 변을 당한 건데, 끊이지 않는 다슬기 채취 사고도 눈에 띕니다.

보통 무릎 정도 수심에서 허릴 굽혀 물속 안을 보며 다슬기를 줍는 방식인데, 왜 물에 빠져 사망하는 걸까?

CCTV나 목격자가 없어 정확한 사망 경위가 밝혀진 게 없지만, 현장에선 '다슬기' 특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제철 큰 다슬기가 강 안쪽 모래층에 많다는 겁니다.

[다슬기 채취꾼 (음성변조)
"(수심이 깊은) 모래 쪽에 가면 (다슬기) 큰 게… 사람들이 많이 잡으러 오고, 큰 게 많다고."

또 다슬기의 먹이가 되는 이끼가 풍부한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다슬기가 많은 곳의 물속 바닥 돌엔 이끼가 많아, 발을 헛디딜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홍천강 바닥에 있는 돌을 꺼내보겠습니다. 이렇게 표면에 부유물과 이끼가 많아 수난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행정당국은 주요 물놀이 지점 54곳에 안전요원을 배치했지만, 안전관리지역 밖이나 근무 시간이 아닌 밤에 발생하는 사고가 많아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해 보입니다.

MBC뉴스 김준겸입니다.

영상취재: 이인환 (춘천) / 영상편집: 나경민

※ 본 취재는 소방서의 협조 아래 안전하게 진행됐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71 “이런 날이 올 줄이야”...동학개미들 난리났다 랭크뉴스 2025.06.28
48570 민주노총 “최저임금 대폭 인상, 경제 살리는 길” 랭크뉴스 2025.06.28
48569 "국민이 바보냐" "배추만 남아" 김민석 낙마 노리는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6.28
48568 현관에 쓰러진 술취한 남편 사망…국민참여재판, 아내 손 들어줬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6.28
48567 "동학운동 유족에 수당" vs "그럼 임진왜란은?"…갑론을박에 전북도의회 해명 들어보니 랭크뉴스 2025.06.28
48566 ‘종이의 집’ 흉내 낸 사기조직 총책…필리핀서 잡혀 국내 송환 랭크뉴스 2025.06.28
48565 전자주총 시대 ‘성큼’… 해결해야 할 난제 수두룩 랭크뉴스 2025.06.28
48564 트럼프, 연준 의장에 “일을 엉망으로… 사퇴했으면” 랭크뉴스 2025.06.28
48563 특검 “尹, 오후에 조사실 입실하지 않아… 변호인이 수사 방해” 랭크뉴스 2025.06.28
48562 [속보]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오후 조사실 입실 거부" 랭크뉴스 2025.06.28
48561 특검 “윤석열 점심 식사 후 조사실 입실 거부…출석 거부 간주할 수도” 랭크뉴스 2025.06.28
48560 은행권, 비대면 주담대·신용대출 접수 일시 중단 랭크뉴스 2025.06.28
48559 ‘장시간 조사→구속영장 청구’…윤석열도 ‘전직 대통령 루트’ 밟을까 랭크뉴스 2025.06.28
48558 특검 "尹 오후조사 사실상 거부중…변호인단 수사 방해 선넘어" 랭크뉴스 2025.06.28
48557 서울 집값 文탓 尹탓 吳탓 李탓?…정치권 '네탓 고질병' 또 도졌다 랭크뉴스 2025.06.28
48556 [속보] 특검 "더이상 조사 안 받으면 출석거부 간주하고 결단할 듯" 랭크뉴스 2025.06.28
48555 "미인대회 참가" 하루 만에 포기한 24세 홍콩 구의원,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28
48554 [속보] 내란특검 “尹, 입실 안 해… 출석 거부 간주하고 결단할 듯” 랭크뉴스 2025.06.28
48553 1년 280명 ‘무작위 추첨 이민’…국민 절반이 신청했다 랭크뉴스 2025.06.28
48552 [속보] 尹, '경찰 신문' 반발해 조사실 입실 거부... 특검 "조사 불응 간주" 랭크뉴스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