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해 3월 2일~4월 1일 '신분 변동' 대상
김삼화 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이 '1위'
김삼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김 원장은 114억8,000만 원(본인 및 가족 명의)의 재산을 신고했다. 여성가족부 제공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올해 3월 2일~4월 1일 신분 변동이 있었던 고위 공직자 44명의 재산 신고 내역을 27일 관보에 공개했다. 이들 중 최다 재산을 보유한 공직자는 김삼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이었다.

이날 공직자윤리위가 공개한 '6월 고위 공직자 수시 재산등록 사항'에 따르면, 김 원장은 총 114억8,000만 원의 재산(가족 소유 포함)을 신고했다. 지난 3월 취임한 그는 본인 및 배우자 명의로 서울 서초구 아파트, 충남 보령시의 논밭 등 46억4,000만 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과 증권의 신고액도 각각 36억 원, 34억 원에 달했다. 채무는 6억6,000만 원으로 기재됐다. 모친과 장남·차남은 '독립 생계'를 이유로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김 원장은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장 △한국여성변호사회 회장 △대한변호사협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해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21·22대 총선에선 각각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소속으로 서울 중랑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모두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밀려 낙선했다.

김 원장의 뒤를 이은 '재산 순위 2위'는 총 79억2,000만 원을 신고한 박건태 한국도로공사 부사장이었다. 박 부사장은 경북 경산시·울릉군의 토지, 대구와 서울 송파구 아파트 등 46억9,000만 원 상당의 부동산을 본인 또는 가족 명의로 소유하고 있다. 3위는 양재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장으로, 총 45억3,000만 원을 신고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58 [속보]윤석열 측 “특검, 공개소환 강요해 망신주기···인권침해” 랭크뉴스 2025.06.28
48457 [속보]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조사 시작‥외환 혐의도 조사" 랭크뉴스 2025.06.28
48456 [속보]尹측 "특검, 법 위반해 폭주" 랭크뉴스 2025.06.28
48455 尹측 “특검이 적법 절차 위반하며 폭주” 랭크뉴스 2025.06.28
48454 “침대에 올려놓고 짐 풀었는데”…여행용 캐리어 변기보다 '58배' 더럽다? 랭크뉴스 2025.06.28
48453 [속보]특검 “윤석열 10시14분부터 조사 시작”···티타임 안 한 듯 랭크뉴스 2025.06.28
48452 [속보] 尹, 결국 내란특검 공개 출석...취재진 질문엔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6.28
48451 김종인 "친윤, 시간 지나면 와해... 국민의힘, 변화 어려울 듯" 랭크뉴스 2025.06.28
48450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특검 출석… 서울고검 지상 현관으로 들어와 랭크뉴스 2025.06.28
48449 정부 "아직 상황엄중…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할지 안심못해" 랭크뉴스 2025.06.28
48448 내란 특검, 尹대면조사 시작… 변호인단 “특검은 법위 존재인가” 랭크뉴스 2025.06.28
48447 결국 특검 검찰청사 포토라인 선 尹…정면 보며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6.28
48446 공개 출석한 尹 "조은석 특검, 공개소환 강요…검찰 악습 답습" 랭크뉴스 2025.06.28
48445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대면조사 시작…‘체포 저지’부터 조사할 듯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6.28
48444 [속보] 윤석열, 내란 특검 조사 위해 서울고검 도착 랭크뉴스 2025.06.28
48443 영재학교 졸업생 어느 대학갔나… 1위 서울대, 2위 카이스트 랭크뉴스 2025.06.28
48442 [속보]윤석열, ‘또 진술 거부할 거냐’ 묻자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6.28
48441 [속보]특검 “윤석열 10시14분터 조사 시작”···티타임 안 한 듯 랭크뉴스 2025.06.28
48440 [속보] 윤석열, 지하 아닌 로비로 첫 출석… 내란 특검 열흘 만 랭크뉴스 2025.06.28
48439 종이 빨대 '안녕'...플라스틱 빨대 '컴백' 랭크뉴스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