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원안위 최종해체계획서 심의, 의결
2017년 6월 영구정지 이후 8년 만
국내 상업용 원전 해체 진행은 처음
건설부터 해체까지 전주기 경쟁력
한수원 "내년 미국 해체 시장 진출"
2024년 5월 7일 부산 기장군 해안가에서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오른쪽)가 보이고 있다. 뉴스1


부산 기장군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 원자력발전소 고리 1호기가 해체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6일 본회의를 열고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안건’을 상정, 의결했다. 2017년 6월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된 이후 8년 만으로, 국내에서 상업용 원전 해체가 실제 진행되는 건 처음이다. 이번 해체 승인으로 향후 국내 원전 해체 산업도 탄력을 받을 거라는 기대가 나온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은 2021년 5월 고리 1호기의 해체 승인을 신청하고, 최종해체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서류적합성 검토를 거쳐 2022년 1월부터 이날까지 3년 넘게 최종해체계획서 심사가 진행됐다.

설계수명 30년 기한으로 1978년 가동을 시작한 고리 1호기는 2007년 설계수명이 만료됐지만, 한 차례 계속운전 허가를 받아 2017년까지 가동됐다. 원안위 관계자는 “이후 계속운전을 또다시 할지를 놓고 논의가 있었다”라면서 “원자력 업계와 학계에서 앞으로 원전 해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산업도 성장시키기 위해선 테스트 베드가 있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아 해체를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선 의결을 연기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제무성 원안위 위원은 “고리 1호기와 많은 시설을 공유하는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 심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1호기와 2호기의 해체를 같이 진행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단 해체를 시작하고 향후 문제점을 점검해나가자는 방향으로 대다수 위원들의 의견이 모였다.

원안위에 따르면 고리 1호기 해체가 완료되는 시기는 12년 후인 2037년이다. 한수원은 해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지난해 5월 고리 1호기의 방사성물질을 화학약품으로 제거하는 제염 작업을 시작했다. 이날 해체 승인을 기점으로 앞으로 6년 동안인 2031년까지 비(非)방사선 구역 철거와 사용후핵연료 반출이 진행되고, 이후 2035년까지 오염구역 제염과 철거, 방사성폐기물 처리 등이, 마지막 2년 동안인 2037년까지 부지 복원이 이뤄질 계획이다.

고리 1호기 해체 비용은 총 1조713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해체 사업 관리와 활동비 8,088억 원,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및 일반 폐기물 처리비 2,625억 원을 합한 금액이다. 이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한수원은 방사성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전체 원전 호기에 대한 해체 비용을 매년 충당 부채 형태로 적립해왔다. 지난해 기준 23조7,843억 원이 쌓였다. 여기에 한수원은 실제 해체에 들어간 뒤 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에 대비해 원전 1개 호기 분의 해체 비용을 현금(지난해 12월 기준 9,647억 원)으로 적립해 보유 중이다. 한수원은 필요하다면 회사채 발행을 통해 해외 자금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원전 건설 분야에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지만, 해체 시장에선 실적이 없다. 고리 1호기 해체를 기반으로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에 성공한다면, 건설부터 해체까지 원전 산업 전 주기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신규 원전 수주 경쟁력이 향상될 거란 전망이 나온다. 한수원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와 협력을 기반으로 내년에 미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에는 영구정지 원전이 41기 있는데 이 중 16기만 해체가 완료돼, 원전 해체 사업의 최대 시장으로 꼽힌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59 28일 대출 규제 시행한다는데 27일 구두계약했다면?[Q&A] 랭크뉴스 2025.06.27
48158 “이젠 현금 있어야 한강변 집 산다”… 연봉 2억 직장인, 대출액 12억→6억 ‘반토막’ 랭크뉴스 2025.06.27
48157 김용태 “李 대통령, ‘젊은 비대위원장 털면 안나올 것 같나’ 말해” 랭크뉴스 2025.06.27
48156 집에서 시신 9구 쏟아졌다…日 뒤집은 '잔혹 살인마' 사형 집행 랭크뉴스 2025.06.27
48155 친딸 40년 성폭행에 손녀까지… 인면수심 70대 2심도 징역 25년 랭크뉴스 2025.06.27
48154 특검 “전국민이 계엄 피해자···피의자 인권보다 국민 알 권리가 우선”[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6.27
48153 [속보] 내일 특검조사 尹, 김여사 퇴원길 휠체어 밀며 동행 랭크뉴스 2025.06.27
48152 '친구 박단에 반기' 새 전공의 대표 "파행 더는 안돼" 총회 소집 랭크뉴스 2025.06.27
48151 [속보] 내란 특검 "전 국민이 계엄 피해자… 수사 알 권리 있어" 랭크뉴스 2025.06.27
48150 與, 본회의 열고 예결위·법사위원장 등 단독 선출… 野 “협치 무너져” 반발 랭크뉴스 2025.06.27
48149 김건희 여사, 휠체어 타고 퇴원…특검 출석 앞둔 尹 동행(종합2보) 랭크뉴스 2025.06.27
48148 특검 “윤석열, 지하주차장 앞에서 기다려도 출석 불응 간주” 랭크뉴스 2025.06.27
48147 “李 잘하고 있다” 64%…文보다 20%P↓, 尹보다 12%P↑[한국갤럽 조사] 랭크뉴스 2025.06.27
48146 "김혜경 여사는 도대체 어떤 인물?"…日언론이 소개한 내용 보니 랭크뉴스 2025.06.27
48145 "가까이 오면 시너 뿌린다"…인사 불만에 충주시장실 난입한 공무원 체포 랭크뉴스 2025.06.27
48144 MZ 유행인 ‘얼굴요가’, 진짜 효과 있을까? 랭크뉴스 2025.06.27
48143 국회, 여당 주도로 법사·예결위원장 등 선출…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6.27
48142 대통령실 "보고 없었다, 우리 대책 아냐"… 고강도 부동산 대책 거리두기 랭크뉴스 2025.06.27
48141 대통령실 “대출 규제, 보고없었다…대통령실 대책 아냐” 랭크뉴스 2025.06.27
48140 [속보] 국회 법사위원장 이춘석…예결위 한병도·운영위 김병기 랭크뉴스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