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늘 저녁 대전협 임시 대의원총회 개최…새 비대위 구성 안건


'전공의 복귀할까'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한 인턴을 대상으로 3월 수련을 시작하는 올해 상반기 인턴 모집이 3일 시작된다.
사진은 4일 오전 서울 한 대형병원 전공의실 앞 복도에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2025.2.4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1년 반가량 이어진 의정 갈등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대표의 사퇴로 분수령을 맞으면서 향후 정부와 갈등을 풀어나갈 대전협의 새 지도부 구성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전협은 이날 오후 9시 온라인으로 임시 대의원총회를 연다. 안건은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다.

대전협은 작년 2월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을 발표한 뒤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고, 박단 회장이 비대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다 이틀 전 박 비대위원장이 "모든 직을 내려놓고자 한다"며 사퇴하면서 리더십에 공백이 생겼다.

이에 따라 이른바 '빅6' 병원 중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고려대의료원 등 4곳의 전공의 대표들은 회칙에 따라 대전협 임시 대의원총회를 소집했다.

이들은 임시 대의원총회 개최를 알리는 글에서 "새로운 정부와의 건설적인 대화와 투쟁 지속을 통해 붕괴한 대한민국 의료를 다시 일으켜 세울 새 비대위 구성이 시급하다"며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협상을 위한 새로운 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날 임시 대의원총회에 이어 오는 28일에는 오프라인 대의원총회를 열고 임시 총회에서 결정한 사안을 추인할 계획이다.

누가 새로 대전협 비대위를 이끌지 윤곽이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새 지도부는 대정부 투쟁에서 지금까지 고수해온 궤도를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늘어난 정원대로 의대생을 뽑고 여러 의료개혁 과제를 실행 중인 상황에서도 종전 지도부가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포함한 기존 7대 대정부 요구안을 유지하면서 의정 갈등이 교착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현실에 맞게 요구안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임시 대의원총회를 소집한 병원 전공의 대표 중 김동건 서울대병원 대표, 한성존 서울아산병원 대표, 김은식 세브란스병원 대표 등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조건부 복귀 의향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새 대전협 비대위도 정부에 요구할 조건을 수정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대의원총회를 소집한 병원 4곳의 전공의 비대위는 24일 ▲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 보건의료 거버넌스의 의사 비율 확대 및 제도화 ▲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등으로 대정부 요구안을 압축한 바 있다.

soho@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89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 또 추락사…결국 아래에 '이것' 단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8 "인라인 못 타서" 일곱살 딸에 주먹 휘두른 40대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7.08
53187 수도권 곳곳 기습 폭우…원인은? 랭크뉴스 2025.07.08
53186 의사 엄마보다 더 잘 벌었다…정은경 장남 직업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8
53185 “아스팔트에서 야구 하는 거 같아요”…고교야구는 폭염에도 강행 중 랭크뉴스 2025.07.08
53184 이 대통령, 이진숙 겨냥 “비공개회의 왜곡해 개인 정치 말라” 질책 랭크뉴스 2025.07.08
53183 퇴근길 ‘기습 폭우’에 서울 곳곳 침수…1호선 운행 차질 랭크뉴스 2025.07.08
53182 "전자담배는 괜찮지 않아?"…12살부터 피운 20대 청년, 폐는 이미 70대였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1 "행복하고 싶냐? 식세기 사라" 서울대 심리학 교수의 비결 랭크뉴스 2025.07.08
53180 박찬대 “내란특별법” 정청래 “국립의대”… 당권주자들 호남 구애 랭크뉴스 2025.07.08
53179 수업 중 스마트폰 ‘법적으로’ 못 쓴다…내년 1학기부터 랭크뉴스 2025.07.08
53178 [단독] "V 말려야 하지 않냐"했다던 노상원‥메모엔 "대통령 최후 수단 밖에" 랭크뉴스 2025.07.08
53177 내년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서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3176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 결정된다 랭크뉴스 2025.07.08
53175 "방어 쉽지 않다"...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74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심의촉진구간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173 노상원 수첩에 담긴 '계엄의 전말'‥친필 메모에도 랭크뉴스 2025.07.08
53172 최저임금 공익위원, 노사에 ‘1만210~1만440원’ 수정안 제안 랭크뉴스 2025.07.08
53171 尹 정부 '실세' 김태효, 피의자 신분 소환‥'VIP 격노'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08
53170 김건희 특검, 윤상현 첫 압색‥'尹부부 공천개입 의혹'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