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AI 인재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바뀐 한국… “기업 구인난 심각”
李 정부, 산업 현장서 ‘AI 인재 부족’ 경험한 민간 출신 AI 전문가 발탁
“투자한 노력에 적합한 보상 있다면 유출 없을 것… 패러다임 전환 필요”


(왼쪽부터)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연합뉴스

“국내 S급 인재는 미국·캐나다로, A급은 네이버·카카오로 간다. 제조업은 대기업조차 인공지능(AI) 인재를 구경도 못하는 실정이다.”

AI 사업을 영위하는 한 기업은 정부가 ‘첨단산업 해외 인재 유치·활용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서 이같이 토로했다. 이 전략은 작년 9월에 나와 올해부터 순차 도입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큰 효과가 없다”라는 평가가 나온다.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국내 AI 인재를 붙잡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IT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AI 내각’을 구성하고 있어 인재 유치 전략에도 전면적인 개편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AI 사업을 하는 상장사 대표는 “AI를 포함한 첨단산업에서 인재 확보 방안이 나왔지만, 사실상 기업 현장에서 극적으로 바뀐 것은 전혀 없다”며 “최근 6개월 동안 해외 인재 유치는 고사하고 국내 AI 인재들이 해외로 나가는 추세가 더 심화해 구인난이 더 심각해졌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 전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을 임명한 데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을 지명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로 한성숙 전 네이버 대표를 낙점하면서 민간 중심의 AI 진흥 전략에 힘이 실릴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IT업계 관계자는 “3명의 인사 모두 기업에서 ‘AI 인력 태부족’을 몸소 겪었던 만큼 인재 유치 정책에도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I 인재 10만명 당 3.6명씩 해외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설 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지난달 발표한 ‘주요국 AI 인재 양성 및 유치 정책’에 따르면 국내에서 AI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2354곳 중 81.9%가 AI 인력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면 2027년에는 AI 분야에서만 1만2800명의 신규 인력 부족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AI 인력이 부족한 배경으로는 ‘인력 유출 문제’가 꼽힌다. 미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HAI) 연구소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에서 AI 인재는 10만명당 3.6명꼴로 해외에 유출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5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이 수치는 2022년 0.4명, 2023년 3.0명에서 작년에 더 악화했다. 2020~2021년까지만 하더라도 AI 인재가 ‘순유입’되던 상황이 최근 ‘순유출’로 바뀐 것이다.

SPRi는 “AI 인력난으로 많은 국내 기업이 해외 인재 확보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우리나라 AI 인재는 순유출되고 있다”며 “특히 중소기업은 연봉·복지·연구 환경 등의 제약으로 해외 인재 유치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래픽=손민균

“비자 완화하고 국책사업 참여 기회 열어야”
전문가들은 이재명 정부가 민간 AI 전문가를 정책 의사결정권자로 발탁한 만큼 ‘산업 현실’을 반영한 AI 인재 육성·유치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상균 경희대 경영대학원 AI비즈니스전공 교수는 “국내에서 성장한 AI 인재가 밖으로 안 나갈 수 있는 환경부터 마련해야 한다”며 “AI 인재 유출 문제는 사실 단순한 구조인데, 개인이 투자한 노력 대비 얻을 수 있는 가치가 적기 때문에 더 큰 보상을 주는 해외로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AI 인재에게 ‘노력한 가치’를 줄 수 있는 정책적 대안으로 ▲대학·대학원 장학금 확대 ▲졸업 후 고용을 보장하는 AI 일자리 마련 ▲기업 AI 전문가의 임금을 높일 수 있는 보조금 지원 ▲병역 혜택 등을 제시했다.

그래픽=손민균

윤보성 SPRi 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선임연구원은 보고서에서 “AI 시대 경쟁력을 위해서는 국내 인재의 대규모 양성과 유출 방지가 필수”라며 “대학·연구기관·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산학협력 및 교육 혁신을 강화하고,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비자 완화와 국책사업 참여 기회를 열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우리나라 출신의 해외 전문 인력이 귀환하면 연구·창업에 필요한 자금·인프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공동 프로젝트나 자문을 통해 국내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365 [속보]채상병 특검,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사저 압수수색 착수 랭크뉴스 2025.07.11
54364 "국산 전통 된장"이라는 백종원 믿었는데…공장 폐업 수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11
54363 [속보] 해병특검, 尹 전 대통령 자택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1
54362 [1보] 해병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자택 압수수색 착수 랭크뉴스 2025.07.11
54361 7분30초만에 불꽃 튀며 화재…에어컨 이렇게 썼다가 목숨 잃었다 랭크뉴스 2025.07.11
54360 트럼프 “지붕 뚫었다”… 비트코인 12만 달러 도전하나 랭크뉴스 2025.07.11
54359 [속보] 해병특검, ‘VIP 격노설’ 회의 조태용 등 10여곳 추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1
54358 해병특검, 'VIP 격노설' 회의 조태용 압수수색…연이틀 강제수사 랭크뉴스 2025.07.11
54357 교통사고로 반려견 사망, 위자료 받을 수 있을까 [개st상식] 랭크뉴스 2025.07.11
54356 17년 만에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 1만320원 확정… 경영계 "통합 출발점 되길" 랭크뉴스 2025.07.11
54355 박근혜·이명박도 거부했던 옥중조사, 윤석열도?···특검, ‘강제구인’ 카드 꺼낼까 랭크뉴스 2025.07.11
54354 두 평 독방 윤석열‥오늘 구속 후 첫 조사 랭크뉴스 2025.07.11
54353 7분30초만에 불꽃 튀며 화재…에어컨 이렇게 썼다가 참변 랭크뉴스 2025.07.11
54352 TK에서도 민주당에 밀렸다···국힘 지지율 19%, 5년 만에 10%대로 추락[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7.11
54351 李대통령 지지율 63%…민주 43%·국민의힘 19%[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7.11
54350 [1보] 해병특검, 조태용 전 국정원장 등 10여곳 추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1
54349 [속보]채 상병 특검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1
54348 [속보] 채 상병 특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자택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1
54347 코스피 어디까지 오를까요…전문가 “최대 OOOO포인트”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7.11
54346 기록적 폭염에 가축 52만 마리 폐사···전년 대비 10배↑ 랭크뉴스 2025.07.11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