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12·3 비상계엄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또 구속됐습니다.

내란 특검팀이 김 전 장관을 증거인멸 혐의 등으로 추가 기소하면서 요청한 구속영장을 법원이 발부했습니다.

김채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증거인멸 교사 등의 혐의로 추가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해, 어젯밤 구속영장을 새로 발부했습니다.

법원은 김 전 장관이 석방되면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추가 구속을 결정했습니다.

지난 18일 김 전 장관을 위계 공무집행방해와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추가 기소하며 추가 구속을 요청한 내란 특검 측 주장을 받아들인 겁니다.

지난해 12월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 전 장관은 당초 오늘(26일) 구속 기간 만료로 풀려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추가 구속으로 김 전 장관은 최장 6개월 동안 수감 상태로 1심 재판과 특검 수사를 받게 됐습니다.

특검은 김 전 장관이 12·3 비상계엄 선포 전날 대통령 경호처를 속여 지급받은 비화폰을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해, 대통령 경호처의 비화폰 관리 업무를 방해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김 전 장관은 또 지난해 12월 5일 비서에게 자신의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망치로 부수는 등 폐기하라고 지시해 자신의 형사사건에 대한 증거 인멸을 교사한 혐의도 받습니다.

법원의 추가 구속영장 발부로 내란 특검이 김 전 장관을 구속 상태로 수사할 수 있게 되면서, 내란·외환 수사에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49 李대통령, 김상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제출 랭크뉴스 2025.07.05
51848 트럼프 ‘핵심 법안’에 서명…“역사상 최대 감세…세계 최고 군대 갖출 것” 랭크뉴스 2025.07.05
51847 '20분 지각' 예고했던 윤석열, 1분 늦게 출석 랭크뉴스 2025.07.05
51846 전국민 15만 원에서 최대 45만 원‥"동네 가게에서 쓰세요" 랭크뉴스 2025.07.05
51845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재산 ‘56억원’ 신고 랭크뉴스 2025.07.05
51844 "국민 삶에 마중물" 토요일 국무회의 소집해 추경안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5
51843 '90세 생일' 맞은 달라이라마… "130세 넘게 살고 싶다" 랭크뉴스 2025.07.05
51842 정은경 후보, 재산 56억 신고…용산아파트에 남편주식 5억 포함 랭크뉴스 2025.07.05
51841 미성년자와 투숙한 30대, 경찰 피해 달아나다 모텔 난간서 추락 랭크뉴스 2025.07.05
51840 전직 대통령의 굳은 표정 VS 현직 대통령의 유쾌한 웃음[신문 1면 사진들] 랭크뉴스 2025.07.05
51839 일론 머스크, 한국어로 "나는 깨어 있다"…SNS에 남긴 한마디 랭크뉴스 2025.07.05
51838 [속보]윤석열 2차 조사 9시간30분 만에 종료···조서 열람 시작 랭크뉴스 2025.07.05
51837 "서구와 달라"…하다 하다 K귀신까지 난리, 전 세계 혼 빼갔다 랭크뉴스 2025.07.05
51836 특검 '계엄 국무회의' 尹조사 종료…정족수 위해 특정 11인 소집 의심 랭크뉴스 2025.07.05
51835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조사 오후 6시34분 종료…조서 열람 중” 랭크뉴스 2025.07.05
51834 [사이언스카페] 네안데르탈인, 뼈 가공 ‘지방 공장’ 운영했다 랭크뉴스 2025.07.05
51833 尹 2차 대면조사 9시간여 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7.05
51832 '법카로 빵 구매' 이진숙 경찰 출석‥"날 손보려 하나" 격앙 랭크뉴스 2025.07.05
51831 [속보]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조사 오후 6시34분 종료…조서 열람 중” 랭크뉴스 2025.07.05
51830 '동학농민혁명 수당' 지급 논란… "세금 낭비" vs "독립운동 모태 기려야" 랭크뉴스 2025.07.0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