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사무실 앞 복도를 한 의료진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의정(醫政) 갈등의 출구를 모색하는 등 의료 파행 사태가 새 국면을 맞았다. ‘강경파’인 박단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전격 사퇴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사직 전공의 2명과 의대생 1명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과 교육위원회 김영호 위원장을 만났다. 전공의들과 의대생은 이날 면담에서 의료 사태 해결의 실질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복귀를 위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 동료들의 복귀 의사 표명에도 ‘아직 돌아갈 때가 아니다’라며 무대응으로 일관했던 박 전 위원장이 리더십 논란 끝에 물러나자 병원과 학교로 복귀하려는 전공의·의대생들의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대폭 확대’ 강행이 의료 파행을 촉발한 지 1년 4개월이 지났다. 전공의·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번이 돌아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면서 복귀를 시도하려는 기류가 고조되고 있다.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고려대의료원·서울아산병원 등 ‘빅4’의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무너진 의료를 다시 바로 세우고 싶다”며 “정부와 함께 해답을 찾을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사직 전공의 200여 명도 올 9월 수련병원에 복귀하고 싶다는 의사를 서울시의사회에 전달했다. 명분도 실리도 없이 강경 태도를 고집해온 박 전 위원장이 사퇴한 만큼 전공의들은 새 지도부를 꾸려 전향적으로 새 정부와의 대화에 적극 임해야 한다.

이제는 정부와 의료계가 장기화되는 의정 갈등을 막고 의료 체계 복원과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우선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하루속히 병원과 학교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도 의료 파행의 피해로 고통을 겪는 환자와 국민들이 많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의사들과의 소통 채널을 복구해 조속히 허심탄회한 대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정부와 의사단체, 관련 전문가들은 충분한 협의를 통해 국민과 환자 보호를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 의료 시스템 정상화와 함께 필수·지역 의료 강화, 의대 증원 문제 등 의료 개혁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45 "현대차는 1년 내내 노사협상 할 판"...더 센 노란봉투법에 떤다 랭크뉴스 2025.07.06
51944 ‘16억 과징금’ 공정위에 맞선 최태원 ‘완승’ 쾌거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7.06
51943 "하루 만 원 벌어 월세 80만원 우째 내노"…자갈치아지매 한숨 [르포] 랭크뉴스 2025.07.06
51942 '안철수 혁신위' 통할까…여론 '기대 반 걱정 반'[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7.06
51941 '민주당 집권=집값 상승' 공식 깨질까… "6·27 대책 후속에 달렸다" [인터뷰] 랭크뉴스 2025.07.06
51940 "20대 커플 시신? 쫄지 말자"…집주인 울부짖은 악취의 반전 랭크뉴스 2025.07.06
51939 유채꽃 페인트·폐그물 매트…아이오닉5에 32개 페트병 재활용 [모빌리티클럽] 랭크뉴스 2025.07.06
51938 법원 명령 무시하고 전 여친에게 20여차례 연락…벌금 1천만원 랭크뉴스 2025.07.06
51937 기업, 더 센 노란봉투법에 떤다…"노조, 경영상 해고도 쟁의 가능" 랭크뉴스 2025.07.06
51936 이마트 700원 삼겹살 가능한 이유?… 통합 매입 덕분 랭크뉴스 2025.07.06
51935 '6억원 제한' 초강수에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 '반토막' 났다 랭크뉴스 2025.07.06
51934 대통령 의무인 특별감찰관…'9년 공석' 눈감은 여야, 왜 랭크뉴스 2025.07.06
51933 "또 속았네"…잘나가는 K-푸드, '짝퉁' 불닭·비비고 판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32 국민의힘 '安혁신위' 금주 출범…인적청산·쇄신 메스 가할까 랭크뉴스 2025.07.06
51931 "우리 부부 18년 만에 임신 성공했어요"…AI가 숨은 정자 3개 찾아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30 트럼프, 인종다양성 정책 폐기하자 美장학재단들 지급기준 개편 랭크뉴스 2025.07.06
51929 英, 시리아와 외교관계 복원…외무장관 14년만에 시리아 방문 랭크뉴스 2025.07.06
51928 "서민 위한다더니?"…'이 나라' 극우당 의원들, 알고보니 국회 최고 부자 랭크뉴스 2025.07.06
51927 尹, 내란 특검 2차 조사 약 14시간 55분 만에 귀가 랭크뉴스 2025.07.06
51926 신동주, 일본 법원에 롯데 신동빈 등 상대 손배소…“박근혜 뇌물 ‘유죄’ 받아 회사 신용도 하락”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