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도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 기간 만료 직전 추가 구속됐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재판장 한성진)는 증거인멸교사 등의 혐의로 추가 기소된 김 전 장관에 대해 오늘(25일) 구속영장을 새로 발부했습니다.

재판부는 김 전 장관이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추가 구속을 결정했습니다.

이번 추가 구속영장은 김 전 장관의 1심 구속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발부됐습니다.

지난해 12월 27일 내란 중요 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 전 장관의 구속 기간은 26일 밤 12시 끝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이 추가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김 전 장관은 최장 6개월 동안 수감된 상태로 내란 특검팀 수사와 1심 재판을 받게 됐습니다.

앞서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는 김 전 장관을 위계 공무집행방해와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지난 18일 추가 기소하고,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법원에 김 전 장관에 대한 추가 구속영장 발부를 요청했습니다.

김 전 장관은 12·3 비상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대통령 경호처를 속여 지급받은 비화폰을 민간인인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교부해 대통령 경호처의 비화폰 관리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습니다.

김 전 장관은 또 지난해 12월 5일, 자신의 수행비서 역할을 하던 양 모 씨에게 국방장관 공관 서재에 있던 자신의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망치로 부수는 등 폐기하라고 지시해 자신의 형사사건에 대한 증거 인멸을 교사한 혐의도 받습니다.

법원은 김 전 장관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오늘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2차 심문 기일을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 전 장관 측은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며, 추가 기소와 추가 구속영장 청구가 부당하다고 거세게 항의했습니다.

김 전 장관 측은 "내란죄와 함께 기소하지 않고 보류했다가 구속기간 만료가 임박하자 별도로 공소 제기한 건 전형적인 공소권 남용이다"면서 "구속기간 만료 제도의 회피를 위해 쪼개기 기소를 한 것이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형수 특검보는 "법원에서 피고인의 증거인멸 염려에 대해 수차례 판단된 바 있는데, 이를 뒤집을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서 "(김 전 장관에 대한) 증거인멸 우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맞섰습니다.

김 전 장관 측은 재판부의 진행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심문 도중 네 차례나 구두로 재판부 전원에 대한 기피 신청을 했습니다.

그러나 재판부는 "소송 지연의 목적이 있다"면서 기피 신청을 모두 기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46 [단독] 윤석열 구속영장 청구서 총 60여쪽...‘국회 의결 방해’도 적시 랭크뉴스 2025.07.06
52245 삼척 낮 최고 39도…강릉은 7일째 잠 못 드는 밤 랭크뉴스 2025.07.06
52244 당정 “9월 말까지 추경 85% 집행…가공식품 가격도 잡겠다” 랭크뉴스 2025.07.06
52243 대형 헬기 무용론 속 ‘아파치’ 추가 도입 백지화 랭크뉴스 2025.07.06
52242 일본판 ‘내 남편과 결혼해줘’, K드라마 제작 노하우에 현지화 결합 ‘인기몰이’ 랭크뉴스 2025.07.06
52241 숨막히는 더위···화요일 기온은 더 ‘위’ 랭크뉴스 2025.07.06
52240 “학폭은 변호사들에게 ‘노다지’”…화해로 끝날 일을 키우는 학부모들 랭크뉴스 2025.07.06
52239 [단독] 내란특검, 윤석열 구속 사유 4가지 적시…“재범 위험, 도망 염려” 포함 랭크뉴스 2025.07.06
52238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4대강 사업’ 자문기구 1·2기 모두 참여한 ‘유일’ 민간위원 랭크뉴스 2025.07.06
52237 "안보 포기" vs "거짓 선동"…아파치 등 국방 예산 900억 삭감, 여야 격돌 랭크뉴스 2025.07.06
52236 [단독] 김영훈 노동장관 후보자, 무허가·미신고 건축물 소유... "신고 의무 몰랐다" 랭크뉴스 2025.07.06
52235 '똥물 논란' 센강 변했다…100년만에 수영장 탈바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6
52234 머스크 ‘신당 창당’ 여파… 테슬라 ETF 상장 연기 랭크뉴스 2025.07.06
52233 한미 막바지 관세 협상…“관세 유예 기대, 기술 협력 강조” 랭크뉴스 2025.07.06
52232 국정기획위 “개헌 공약 이미 구체화… 시기·절차가 고민 주제” 랭크뉴스 2025.07.06
52231 자녀 태운 채 168㎞ '만취' 보복운전…경북→충북, 끝까지 쫓았다 랭크뉴스 2025.07.06
52230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수사 18일만 랭크뉴스 2025.07.06
52229 트럼프 최측근이 최대 정적으로‥머스크 "'아메리카당'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2228 천안시 서북구청장, 중국 호텔 객실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7.06
52227 체포 방해·구속 취소로 버티던 ‘법꾸라지’ 윤석열, 다시 수감될까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