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학기부터 정식 운영 예정
서울 내 6개 여대 중 마지막
"학생 건강권 보장 위해 도입"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전경. 사진 제공=이화여대

[서울경제]

이화여대가 새 학기부터 생리공결제를 정식 운영할 예정이다. 이로써 이화여대는 서울 소재 6개 여대 중 마지막으로 생리공결제를 도입하게 됐다.

25일 대학가에 따르면 이화여대는 이달 초 열린 정기협의체에서 총학생회 측에 ‘2학기부터 생리공결제를 정식 도입할 수 있다’고 전달했다. 이화여대는 서울 소재 4년제 여대 중 생리공결제를 운영하지 않는 유일한 학교였으나 학생들의 요구가 꾸준히 이어지자 올해 1학기부터 제도를 시범 운영해 왔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학생들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오는 2학기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아직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학생들은 학교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총학생회가 2000년대부터 수차례 공약으로 내세웠을 정도로 수요가 큰 제도이기 때문이다. 경영학과 재학생 정 모(22) 씨는 “학생의 건강권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필수적인 제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생리공결제는 여학생이 심한 생리통으로 수업을 듣기 어려울 때 출석을 인정해주는 제도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06년 교육부에 도입을 권고하면서 중앙대를 시작으로 다수 대학에 도입됐다. 학기당 허용 횟수 및 증빙 방식 등은 학교마다 다르다.

다만 역차별 논란, 악용 우려 등으로 인해 지난 20년간 줄곧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2019년 KAIST 학부 총학생회는 제도가 오남용되고 있다며 생리공결제 현황 통계를 공개했다가 ‘여학생 눈치주기’ 등 비판이 잇따르자 결국 사과했다. 서울예대는 지난해 “생리공결을 사용할 때 ‘소변검사’ 후 발급받은 서류를 제출하라”고 공지했다가 반발이 이어지자 방침을 철회했다.

전문가들은 생리공결제를 여성의 건강권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허민숙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생리공결제는 여성 신체의 특수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상징성과 의미가 큰 제도”라며 “오남용한다 해도 결국 그만큼 수업을 못 듣게 돼 개인 손해인 만큼 제도 자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단독]이화여대, '뜨거운 감자' 생리공결제 정식 도입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520 남편 무정자증인데…18년 만에 임신 성공한 美부부 비결 랭크뉴스 2025.07.05
51519 "치사율 높아, 절대 우습게 보면 안돼"…전동킥보드 타던 30대, 혼자 넘어져 '사망' 랭크뉴스 2025.07.05
51518 [단독] 2호선 ‘선로 고장’ 중단…교통공사 “장애인 시위 탓” 안내 방송 랭크뉴스 2025.07.05
51517 오늘 윤석열 2차 조사…‘자격’ 책잡은 특검팀 총경과 다시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5
51516 문원, 신지 측에 협의이혼서 공개… 이혼 사유는 ‘성격 차이’ 랭크뉴스 2025.07.05
51515 [단독] 주식 사고, 기사 쓰고, 주식 팔고…기자 20여 명 수사 랭크뉴스 2025.07.05
51514 ‘특활비 복원’ 논란 속 국힘 표결 불참…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7.05
51513 김건희 특검, ‘양평 고속도로·삼부토건 의혹’ 원희룡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7.05
51512 고대 이집트인 DNA, '세계 최초' 분석 성공…20%는 뜻밖의 '이 혈통'이었다 랭크뉴스 2025.07.05
51511 서류 조작해 2개월 퍼피를 해외입양 보낸 동물단체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7.05
51510 내일 2차 조사‥'체포저지' 혐의 계속 경찰이 맡는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9 배드뱅크 예산 4000억원 확정… 금융위, 채무자 소득 따진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8 소비쿠폰 1.9조 증액… 與 추경안 단독 처리 랭크뉴스 2025.07.05
51507 "아끼고 지키겠다" "저, 행복해요"…온주완·민아 결혼 소감 랭크뉴스 2025.07.05
51506 농민단체 만난 김민석 “송미령 반대 마음 100% 이해하지만···불신 거둬달라” 랭크뉴스 2025.07.05
51505 “피도 눈물도 없다”… 기상천외 ‘첩보의 신’ 랭크뉴스 2025.07.05
51504 [사설] 2차 추경 통과, 물가 부작용 없이 경제 살리기 마중물 돼야 랭크뉴스 2025.07.05
51503 섬마을 쓰러진 남성…119 영상통화로 살렸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2 교육교부금은 ‘2조 감액’, 지방교부세는 ‘유지’… 같은 의무 지출인데 조치 엇갈린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5
51501 [사설] 집 지키던 아이들 잇단 화마 희생...생색내기 돌봄 대책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7.0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