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실련 분석…평균임금 노동자, 아파트 사려면 32년 꼬박 모아야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 10억원 돌파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서울 지역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는 10억398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KB국민은행 주택 가격 조사 시작 이래로 역대 최고가이자 사상 첫 10억원 돌파 기록이다.
사진은 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주택단지 모습. 2025.6.6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문재인 정부 당시 서울 아파트 가격이 2배 이상으로 폭등했으며, 강남과 비강남의 격차는 윤석열 정부 때 가장 극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는 부동산뱅크와 KB부동산 시세정보가 활용됐다.

경실련은 1천세대 내외 대단지 아파트를 구별로 3개씩 선정해 총 75개 단지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30평형의 아파트를 가정해 평당 가격에 30을 곱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산출했다.

그 결과 가장 큰 시세 변동을 보인 시기는 문재인 정부 당시로 나타났다. 정권 초 평균 5억8천만원 수준이었던 서울 아파트 가격은 임기 말에는 119% 급등해 12억6천만원까지 치솟았다.

정권별 시세 변동을 보면 노무현 정부(3억원→5억3천만원·80%↑), 박근혜 정부(4억7천만원→5억8천만원·21%↑)가 뒤를 이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5억3천만원에서 4억7천만원으로 되레 10% 떨어졌다.

윤석열 정부 3년간은 12억6천만원에서 12억8천만원으로 1% 늘었다.

다만 윤 정부 말기 강남·서초·송파구 등의 이른바 '강남 아파트' 가격은 32억3천만원으로 비강남 아파트(10억2천만원)의 3.2배에 달했다.

박근혜 정부(강남 12억5천만원, 비강남 4억9천만원)와 노무현 정부(강남 11억5천만원, 비강남 4억5천만원) 말기는 각각 2.6배 차이를 보였다.

이명박 정부(강남 9억1천만원, 비강남 4억2천만원) 때는 2.2배를 기록했다.

액수로 보면 노무현 정부 초기 강남(5억2천만원)과 비강남(2억6천만원)의 격차는 2억6천만원이었는데, 윤석열 정부 말기에는 22억1천만원을 기록해 8.5배가량으로 늘었다.

'점점 더 어려워지는 내 집 마련의 꿈'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최근 급격한 서울 집값 상승으로 서울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비율)은 8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23일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에 붙은 전세 매물 안내문에 인근 아파트 모습이 비치고 있다. 2025.6.23 superdoo82@yna.co.kr


경실련은 통계청의 노동자 평균임금 자료를 활용해 아파트 매입까지 걸리는 기간도 산출했다. 2003년에는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서울 아파트 한 채를 매입하려면 16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했다.

노무현 정부 말기에는 24년이 됐다가 이명박 정부에는 18년으로 줄었으며, 박근혜 정부에는 19년이 됐다. 문재인 정부 동안에는 무려 14년이 늘어 33년을 기록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32년으로 조사됐다.

경실련은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어 정부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무분별한 공급확대 정책을 재검토하고, 종합부동산세 등 세제와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의 방안을 주문했다.

readiness@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05 "방학 때 맡길 곳 없는데 어쩌지"…아이랑 같이 출근하고 밥도 먹는다 랭크뉴스 2025.07.07
52704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정부 "유감, 일본 약속 이행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703 “국무위원 일부만 소집” vs “정족수 채운 것”…윤 구속 가를까 랭크뉴스 2025.07.07
52702 金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 등과 회동…"현안 의견 청취"(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701 [단독] 명태균 “윤석열·김건희를 재판 증인으로 신청하겠다” 랭크뉴스 2025.07.07
52700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韓日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99 한·일, 군함도 문제로 국제무대서 충돌···이재명 정부 ‘한·일 관계’ 첫 변수로 랭크뉴스 2025.07.07
52698 [속보]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랭크뉴스 2025.07.07
52697 중국서 유치원생 70명 집단 납중독... 흰머리 나고 치아 까매져 랭크뉴스 2025.07.07
52696 '쌍권 청산' 거부당하자 '당대표 출마'로 선회한 안철수의 승부수 랭크뉴스 2025.07.07
52695 경기 온열질환자 100명 넘어…폭염특보 속 사흘째 열대야 기승 랭크뉴스 2025.07.07
52694 폭염 뚫고 날아오른 'K팝의 여왕들'...블랙핑크 더 강력해졌다 랭크뉴스 2025.07.07
52693 유럽연합 “9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 목표” 랭크뉴스 2025.07.07
52692 인도네시아 화산 분화…발리 오가는 항공기 수십편 취소 랭크뉴스 2025.07.07
52691 영남 내륙 39도 훌쩍…사람도 가축도 지친다 랭크뉴스 2025.07.07
52690 김선교 출금에 국힘 “이제 시작”…특검 수사 전방위 확대될라 ‘술렁’ 랭크뉴스 2025.07.07
52689 "경찰에 총 보여줘라"‥체포영장 집행 저지 그날엔 랭크뉴스 2025.07.07
5268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687 尹과 한뜻 '계엄 정당화'‥메모 왜 남겼나 랭크뉴스 2025.07.07
52686 이진숙 후보자, 지자체장 인수위 ‘양다리’에 정부·지자체 위원 최소 37개 랭크뉴스 2025.07.0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