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실련 분석…평균임금 노동자, 아파트 사려면 32년 꼬박 모아야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 10억원 돌파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서울 지역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는 10억398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KB국민은행 주택 가격 조사 시작 이래로 역대 최고가이자 사상 첫 10억원 돌파 기록이다.
사진은 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주택단지 모습. 2025.6.6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문재인 정부 당시 서울 아파트 가격이 2배 이상으로 폭등했으며, 강남과 비강남의 격차는 윤석열 정부 때 가장 극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는 부동산뱅크와 KB부동산 시세정보가 활용됐다.

경실련은 1천세대 내외 대단지 아파트를 구별로 3개씩 선정해 총 75개 단지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30평형의 아파트를 가정해 평당 가격에 30을 곱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산출했다.

그 결과 가장 큰 시세 변동을 보인 시기는 문재인 정부 당시로 나타났다. 정권 초 평균 5억8천만원 수준이었던 서울 아파트 가격은 임기 말에는 119% 급등해 12억6천만원까지 치솟았다.

정권별 시세 변동을 보면 노무현 정부(3억원→5억3천만원·80%↑), 박근혜 정부(4억7천만원→5억8천만원·21%↑)가 뒤를 이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5억3천만원에서 4억7천만원으로 되레 10% 떨어졌다.

윤석열 정부 3년간은 12억6천만원에서 12억8천만원으로 1% 늘었다.

다만 윤 정부 말기 강남·서초·송파구 등의 이른바 '강남 아파트' 가격은 32억3천만원으로 비강남 아파트(10억2천만원)의 3.2배에 달했다.

박근혜 정부(강남 12억5천만원, 비강남 4억9천만원)와 노무현 정부(강남 11억5천만원, 비강남 4억5천만원) 말기는 각각 2.6배 차이를 보였다.

이명박 정부(강남 9억1천만원, 비강남 4억2천만원) 때는 2.2배를 기록했다.

액수로 보면 노무현 정부 초기 강남(5억2천만원)과 비강남(2억6천만원)의 격차는 2억6천만원이었는데, 윤석열 정부 말기에는 22억1천만원을 기록해 8.5배가량으로 늘었다.

'점점 더 어려워지는 내 집 마련의 꿈'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최근 급격한 서울 집값 상승으로 서울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비율)은 8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23일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에 붙은 전세 매물 안내문에 인근 아파트 모습이 비치고 있다. 2025.6.23 superdoo82@yna.co.kr


경실련은 통계청의 노동자 평균임금 자료를 활용해 아파트 매입까지 걸리는 기간도 산출했다. 2003년에는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서울 아파트 한 채를 매입하려면 16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했다.

노무현 정부 말기에는 24년이 됐다가 이명박 정부에는 18년으로 줄었으며, 박근혜 정부에는 19년이 됐다. 문재인 정부 동안에는 무려 14년이 늘어 33년을 기록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32년으로 조사됐다.

경실련은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어 정부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무분별한 공급확대 정책을 재검토하고, 종합부동산세 등 세제와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의 방안을 주문했다.

readiness@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75 "지하철 기다리다 쓰러질 뻔"…차라리 밖이 시원하다는 역 내부 어떻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2074 정부, 사상 최대 폴란드 K2 전차 수출에 7조 정책금융 추진 랭크뉴스 2025.07.06
52073 매일 '이것' 쓰다간 불임될 수도…"정액에서 미세플라스틱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06
52072 DMZ보다 긴 255㎞ 철통 경계… '단골 탈북루트' 한강하구 중립수역 [문지방] 랭크뉴스 2025.07.06
52071 소변 보려면 옆구리 '찌릿'…뒤늦게 검사하니 이 암 증상 [Health&] 랭크뉴스 2025.07.06
52070 엔비디아 vs MS… 누가 최초로 시총 4조달러 넘을까 랭크뉴스 2025.07.06
52069 인천 맨홀서 작업자 1명 심정지·1명 실종 랭크뉴스 2025.07.06
52068 "나도 젊었을 땐 민주당 지지했었지, 그러나 지금은"…억만장자의 고백 랭크뉴스 2025.07.06
52067 트럼프 반기 든 머스크의 ‘아메리카당’…미국서도 ‘제3당’은 험난 랭크뉴스 2025.07.06
52066 [단독] 서울 신림동서 배달 중 시비 붙자 흉기 꺼내 위협한 남성 구속 랭크뉴스 2025.07.06
52065 "너도나도 일본·중국 가더니"…국내선 공급 110만석 줄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2064 “건설자재 옮기는 로봇 나왔다” 삼성물산·현대건설 공동개발 ‘첫 시연’ 랭크뉴스 2025.07.06
52063 특별감찰관 9년만에 부활? 文 때도 반대, 李 뒤집은 이유 랭크뉴스 2025.07.06
52062 ‘이스라엘 암살 표적’ 이란 최고지도자, 전쟁 후 첫 공식석상 등장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6
52061 상호관세 유예 종료 임박…여한구 본부장 미국 방문해 연장 협상 랭크뉴스 2025.07.06
52060 “지금 서둘러야” 면허 갱신 미뤘다간 과태료 랭크뉴스 2025.07.06
52059 “장사 안돼서 접었어요”...폐업자 사상 최대 랭크뉴스 2025.07.06
52058 서·연·고 새내기 중 자사고·특목고 출신 비율 ‘뚝’···의대 정원 늘어서? 랭크뉴스 2025.07.06
52057 "마누라 빼고 다 바꿨다"...확 달라진 기아[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6
52056 민주 “법꾸라지 尹의 사법농락…즉각 구속해야”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