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 내부는 조심스러운 분위기
AI 전문가 하정우·배경훈 인선 후
친정 네이버·LG 기대감에 주가 '쑥'
시민단체 "이해 상충 우려" 비판 속
두 기업, 후임자 등 운영 방식 고민
"공직 진출 때 정책 방향 정도 기대
성과 위해 투자·기부금 요청하기도"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과학기술정책 고위 인사로 정보기술(IT) 기업인들을 발표하면서 업계가 술렁
이지만 정작
친정 기업들의 반응은 덤덤한 모습
이다.
전임자가 정부 조직에 합류했으니 각종 이해상충 논란을 신경 써야 하고 국내 몇 안 되는 인공지능(AI) 현장 전문가가 일선에서 빠지다 보니 후임자를 찾는 일도 만만치 않아서
다. 다만
해당 기업들이 새 정책의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가는 연일 고공 행진 중
이다.

24일 네이버 주가는 29만500원에 마감
했다.
15일 네이버 출신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의 인선이 발표된 후 상승세를 타 열흘 만에 40% 이상 껑충 뛰었다
.
LG(주)의 주가 역시 23일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발표된 후 이틀 만에 9% 가까이 올랐다.


기업 내부 분위기는 조심스럽다.
생성형 AI 개발에 천문학적 투자가 필요한 만큼 이를 할 수 있는 국내 기업이 손에 꼽히는 상황에서 자칫 이해 상충 논란에 친정 기업이 역차별받는 거 아니냐는 걱정이 있다
. 당장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16일 성명을 내고 "특정 기업의 이익을 위해 국회와 정부를 상대로 활동해 온 인사가 과연 사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공평무사하게 국가 AI 정책 전반을 총괄하고 입안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업계 관계자는 "하 수석이 임명됐을 때 네이버 내부에서는 역차별받지 않을지 걱정한 게 사실"이라며 "배경훈 후보까지 새 정부 장관 후보로 발표되면서 오히려 안도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국내 대표적 AI 개발 기관의 두 수장이 잇따라 새 정부에 합류
하면서
네이버와 LG AI연구원은 운영 방식을 고민
하고 있다. 하 수석이 수장을 맡았던
네이버 클라우드 AI 혁신센터는 각 임원이 겸직하는 태스크포스(TF) 형태라 조직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
으로 전해졌다. 십여 개 연구팀으로 꾸려진
LG AI연구원은 팀장들이 각자 팀을 이끌면서 대행 체제 또는 후임자 찾기를 고민할 것
으로 알려졌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최근 발표된 당사자들이 인사 검증에 필요한 서류도 홀로 준비해 발표 당일 회사 안팎으로 크게 당황했던 걸로 안다"고 말했다.

기업인 출신 관료 입각 후 친정 기업 주가는?



그래픽 이지원 기자


17일 JP모건은 "
(이재명) 정부의 AI 100조 원 투자 계획의 핵심 실행 인물로 하정우 전 네이버 AI센터장이 임명되면서 (네이버의)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아졌다
"며 네이버의 목표 주가를 25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올렸지만 이전 '기업인 출신 장관' 사례를 볼 때 업계는 달성이 쉽지 않을 거라 보고 있다.

참여정부 이후 국무위원 200여 명 중
기업인 출신은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네 명
. 이들의 재직 기간 '친정 기업'의 주가 추이는 시기와 기업마다 엇갈렸다. 진 전 장관의 경우 정보통신부 재직 기간(2003년 2월 27일~2006년 3월 22일) 삼성전자 주가는 28만3,500원에서 63만5,000원로 두 배 이상 올랐다. 반면 유 전 장관의 재직 기간(2017년 7월 11일~2019년 9월 8일) LG와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각각 7만2,800원→7만1,900원, 30만8,000원→21만5,000원으로 비슷하거나 오히려 내렸다. 2006년까지 LG CNS 부사장을 지낸 유 전 장관은 2011~2013년 포스코경영연구원에서 선임연구위원(사장급)을 지냈다.

한 재계 관계자는
"기업인 출신이 공직에 진출할 때 기업이 기대할 수 있는 건 정책의 방향성 정도"
라며 "과거엔 공직 입문 뒤 '친정 챙긴다'고 의심받을까 봐 몸을 사려 기업들도 큰 기대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도 "예전 한 기업인 출신이 공직에 입문한 뒤 본인도 성과를 내야 하니 친정 기업에 투자나 기부금 요청을 더 많이 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86 "일본은 정말 버릇없어"…관세협상에 날 세우며 '페널티' 경고한 트럼프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5 한성숙, 네이버 스톡옵션 6만주 행사 40억원 차익…4만주는 포기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4 BTS 컴백 예고에도 주가 ‘와르르’...하이브, 초대형 악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3 이언주 "외국인 부동산 소유 급증…규제 피하는 역차별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2 정진우 중앙지검장 취임…“검찰권 행사 되돌아보고, 잘못된 것은 바로 잡아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1 '신지 예비신랑' 문원 입 열었다 "혼전임신 사실, 양다리는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0 호텔 뺨치는 고품격 임대주택, 서울에 짓는다…이 동네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9 "국군이다. 안내하겠다"…MDL수풀 숨어있던 北민간인 1명 신병확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8 이 대통령 7월 첫주 지지율 65%···전주 대비 1%포인트 상승[갤럽]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7 신지 예비신랑 문원 “전처와 혼전임신은 사실”… 사생활 논란에 입 열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6 與 “추경안 여야 합의 처리 불발… 오늘 본회의서 통과시킬 것” 단독 처리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5 [단독] 밤에 편의점 알바생 협박… 돈·담배 뺏은 40대 현행범 체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4 "성대가 빨갛게 멍들었겠죠"…이미자 1만번 불렀던 '18번' [더 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3 임은정 동부지검장 "검찰, 바뀌지 않으면 해체 수준 개혁 당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2 지하철 2호선 30분 지연…출근길 패닉·지각 속출(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1 "국평 시세차익 13억"…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떴다 [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0 한성숙 중기부 장관 내정자, 네이버 스톡옵션 4만주 포기···6만주 행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9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8 임은정 “검찰 바뀐 모습 안보이면 해체 가까운 개혁 당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7 송언석 “민주당, 집권하자 대통령실 특활비 증액? ‘내로남불’ 사과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4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