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 한국일보·요미우리 한일 공동여론조사]
'현재 관계 좋다' 한국 55.2% 일본 52%
신뢰도·친밀감 한국 조사서 첫 40%대
'60년간 우호 구축 못해' 韓 52% 日 45%
여행객들이 9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일본행 항공편 탑승 수속을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한국·일본 관계가 급속도로 개선되면서 일본을 우호적으로 바라보는 한국인들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일 관계가 좋다'고 답한 한국인은 55.2%로 조사됐다. 한국일보가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한일 공동 여론조사를 시작한 1995년 이래 최고치이자, 처음으로 절반이 넘었다. 일본인들의 양국 관계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0%를 넘었다.

한국일보가 창간 71주년(6월 9일),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요미우리와 지난 13~15일 한국인 1,000명, 일본인 1,0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한일 공동 여론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한일관계가 좋다'고 답한 한국인은 55.2%로 지난해(42.5%)보다 12.7%포인트(p)나 상승했다. 일본인은 지난해(50%)보다 소폭 상승한 52%가 '관계가 좋다'고 답했다. 양국 관계에 대한 긍정 평가가 일본보다 한국에서 높게 나온 건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양국 간 우호적 분위기는 젊은 층이 이끌었다. 연령별로 보면 '관계가 좋다'고 답한 한국인 중 18세 이상~20대가 72.2%로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많은 30대(60.1%)보다 10%p 넘게 앞섰다. 일본 조사에서도 18세 이상~20대가 58%로, 40대(6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일 모두 양국 관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확산한 건 2023년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 복원 후 양국 간 문화 교류가 급격하게 확산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일본 지상파 방송 연말 프로그램에 K팝 그룹이 대거 초청된 것은 물론, 한국 케이블방송에 일본 유명 가수들이 출연하거나 일본 가수의 공연이 매진되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끊겼던 여행길도 복원되면서 지난해 양국 국민의 상대국 방문객 수는 약 1,203만 명에 달했다. 양국 간 왕래가 활성화하면서 문화는 물론 경제와 정치 분야 협력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상대국에 대한 신뢰도와 친밀감이 상승한 점도 이를 보여준다. 한국 조사에선 일본에 대한 신뢰도(41.2%)와 친밀감(41.3%) 모두 40% 넘게 나왔다. 두 항목 모두 40%대가 나온 건 1995년 조사 시작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신뢰도(28.7%)와 친밀감(32.7%)이 각각 12.5%p, 8.6%p 상승했다. 일본은 신뢰도와 친밀감 각각 43%, 47%로, 지난해(신뢰도 42%, 친밀감 48%)와 비슷했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그러나 한일 수교 60년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한일 양국이 60년간 전반적으로 우호 관계를 구축하지 못했다'고 답한 한국인은 52.1%로, '우호 관계를 구축했다'(40.7%)를 크게 앞섰다. 문화 교류가 활성화하면서 '현재 한일 관계가 좋다'라는 평가에는 공감하지만, 일본이 여전히 역사·영토 문제에서 반성하는 모습을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상호 간 충분한 신뢰를 구축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스포츠 분야에선 '60년간 관계를 강화했다'는 응답이 55.8%였지만, 외교·안전보장 분야에선 35.2%에 그쳤다. 일본인은 47%가 '우호 관계를 구축했다'고 답했는데, '구축하지 못했다'는 응답(45%)과 비슷했다.

[편집자 주] 이렇게 조사했다한국일보는 광복 50주년을 맞은 1995년부터 6월 9일 창간 기념일에 맞춰 일본에서 최대 부수를 발행하는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과 함께 '한일 국민의식 공동 여론조사’를 31년째 실시하고 있다. 초창기는 부정기적으로 조사했으나 2013년부터는 매년 진행하고 있다.

한일 양국 국민의 한일관계, 상대국 신뢰도·친밀도, 중국·북한 등 주변국 인식 평가 문항을 매해 빠짐없이 넣고, 여론조사 당시 현안에 대해 양국 국민에게 동일한 문항을 질문한 뒤 비교한 결과는 그 자체로 역사적 자료가 됐다.

한국일보의 올해 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8세 이상 한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휴대폰 면접조사 방식으로 지난 13, 14일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요미우리신문은 사내 여론조사부를 통해 지난 13~15일 18세 이상 일본인 1,014명을 상대로 유무선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한국일보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요미우리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해 수치를 표기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75 "방어 쉽지 않다"...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74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심의촉진구간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173 노상원 수첩에 담긴 '계엄의 전말'‥친필 메모에도 랭크뉴스 2025.07.08
53172 최저임금 공익위원, 노사에 ‘1만210~1만440원’ 수정안 제안 랭크뉴스 2025.07.08
53171 尹 정부 '실세' 김태효, 피의자 신분 소환‥'VIP 격노'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08
53170 김건희 특검, 윤상현 첫 압색‥'尹부부 공천개입 의혹'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8
53169 폭염 식중독 주범은 달걀 ‘살모넬라균’… 식약처, 음식점 3700여곳 위생 점검 랭크뉴스 2025.07.08
53168 ‘국민투표법 개정’ 논의…국정기획위, 선관위와 다음 주 간담회 랭크뉴스 2025.07.08
53167 [단독] '삼부 키맨' 연일 소환‥"원희룡 장관이 치고 나갔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6 7월 초에 닥친 40도 ‘살인 폭염’…일하다 픽, 픽 쓰러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5 대통령 ‘경고’ 먹고, 감사원 ‘주의’ 받고… 속타는 이진숙 랭크뉴스 2025.07.08
53164 7세 딸 주먹질에 발길질까지 무차별 폭행…한강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
53163 [단독] 순수했던 우크라 사업이 삼부토건 끼며 ‘구호’→‘재건’ 변질? 랭크뉴스 2025.07.08
53162 [단독]‘자본잠식’ 김건희 측근 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특검 ‘대가성 여부’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61 “싸게 산다는데 웬 오남용 걱정?”…창고형 약국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8
53160 김건희 특검,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9 ‘블랙핑크 리사 연인’ 프레드릭 아르노 방한… 국내 백화점 4사 대표 만나 랭크뉴스 2025.07.08
53158 특검, 윤 정부 시절 184억 투자 받은 김건희 측근 업체 주목 랭크뉴스 2025.07.08
53157 “정말 크게 후회”…여인형, 내란 혐의 증인신문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56 "대체 뭐길래 3분 만에 마감"…231억 짜리 '이곳'에 사람들 우르르 랭크뉴스 2025.07.0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