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무총리 후보자 청문회 첫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첫날인 24일, 여야는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 과정과 학위 관련 의혹 등을 놓고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불투명한 금전 거래 의혹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공격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장은 검사 취조실이 아니다”라며 김 후보자를 전방위적으로 엄호했다. 여야는 증인·참고인 없이 인사청문회가 진행되는 전례 없는 상황에 대해 서로 상대 탓을 하며 날 선 신경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김 후보자의 재산 증식 관련 의혹에 화력을 집중했다. 주진우 의원은 “최근 5년간 5억원을 벌었는데 지출이 13억원 정도 된다. 그 갭(차이)이 일반 국민들로서는 너무 크다”며 “(자녀 유학 비용 2억원을 제외하고) 현금 6억 정도가 빈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2019년부터 최근 5년 동안 김 후보자 소득이 5억원이고 지출이 13억원이라며, 전 배우자가 부담한 아들 유학 자금 약 2억원을 빼더라도 소득 약 6억원의 출처가 해명되지 않는다고 문제 삼아왔다. 이에 김 후보자는 빙부상 조의금(1억6천만원), 두 차례의 출판기념회(2억5천만원) 등 기존 해명에 더해 “결혼 축의금을 (아내) 친정집에 다 드렸고 생활비가 부족해 (아내가 친정에서) 200만원, 300만원씩 도움받은 게 합쳐 보니 한 2억원 이상 된다”며 “인사청문회 직전 증여세 처리를 했다”는 설명을 추가로 내놨다.

불투명한 전세·금전 거래 의혹에 대한 공방도 진행됐다. 2019~2020년 모친 소유의 양천구 목동 소재 빌라와 관련해 김 후보자 지인인 건설업자 이아무개씨와 후보자의 현 배우자, 장모가 차례로 2억~2억8천만원 상당의 전세 거래를 한 데 대해, 곽규택 의원은 “이씨가 (김 후보자) 배우자가 내야 될 전세보증금을 대신 내주고 반환받지 않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또 2008년 불법 정치자금 수수 사건 당시 자금 공여자이자 후원자였던 강아무개씨를 비롯해 11명에게 1억4천여만원을 빌렸지만 7년여가 흐른 뒤에야 돈을 갚았다는 점도 거듭 지적됐다. 이에 김 후보자는 “(전세 거래는) 다 계약 주체가 제가 아니”라며 “(두번째 계약 과정에서) 당시 아내가 길고양이를 많이 거둬 공간이 넓은 집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어 “(추징금과 연계된) 증여세를 일시에 가까운 지인에게 소액으로 나눠 (빌려서 상환)하는 방식 외엔 다른 금융기관을 활용할 방법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국민의힘은 자녀의 ‘아빠 찬스’ 의혹이나 김 후보자의 학위 관련 의혹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김 후보자는 아들이 고교 시절 교내 동아리 활동 중 작성한 법안이 실제 국회에서 발의돼 대학 입시에 활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아빠 찬스와 전혀 (관련이) 없고, 본인의 활동”이라는 주장을 반복했다. 중국 칭화대 석사 학위 허위 의혹에 대해서는 “칭화대라는 대학이 그렇게 허위로 학위를 줄 수 있는 대학이 아니”라고 받아쳤다. 김 후보자는 칭화대 석사 학위 논문과 관련해 “(다른 논문의) 문장을 그대로 복사해 붙이기 한 것만 봤을 때 (표절률이) 41%가 나왔다”는 김희정 의원의 지적에 “엄격한 논문 작성 훈련을 제대로 받지 않았다. 죄송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채무 비율을 묻는 김 의원의 질문에 “20에서 30% 정도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가 “현재 우리나라 채무 비율은 48.4%”라고 지적받았다.

이날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여야 합의 결렬로 증인과 참고인 없이 진행됐다.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증인·참고인 없이 진행된 것은 2000년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뒤 처음이다. 자료 제출과 관련해서도 국민의힘은 “제출받지 못한 자료가 전체의 73.3%”라며 “무자료 총리”라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자녀 성적표, 학교생활기록부 등 무리하고 비상식적인 요구들이 허다하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이 김 후보자의 병역 면제를 문제 삼자, 박선원 민주당 의원이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의 군 면제 사유를 거론하는 과정에서 사과를 요구하고 거절하는 등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21 [속보] 내란 특검 “강의구 前 대통령 부속실장 조사 중“… 계엄 국무회의록 초안 작성 의혹 관련 랭크뉴스 2025.06.30
49320 시청역 역주행 사고 1주기…서울시 "안전대책 차질 없이 이행" 랭크뉴스 2025.06.30
49319 코스피, 기관 ’사자’에 상승세… 3080선 돌파 랭크뉴스 2025.06.30
49318 “비공개 외친 윤석열, 김건희 휠체어 밀 때만 공개…한심한 연출” 랭크뉴스 2025.06.30
49317 순직해병 특검, 임성근 전 사단장에 7월 2일 출석요청…첫 소환 랭크뉴스 2025.06.30
49316 '허가 · 준공 · 착공' 주택 공급 3대 지표 일제 하락…악성 미분양도 연속 증가 랭크뉴스 2025.06.30
49315 정은경, 배우자 주식 의혹 "잘못된 보도 내용 많아… 청문회서 소명" 랭크뉴스 2025.06.30
49314 내일부터 수영장과 헬스장 이용료 최대 300만원 소득공제 받는다 랭크뉴스 2025.06.30
49313 "이란 핵 완전 파괴"했단 트럼프…이란 고위층 도청 내용은 달랐다 랭크뉴스 2025.06.30
49312 2살 베이비 산악회…204m 애기봉에서 오구오구 ‘떡뻥’ 도시락 랭크뉴스 2025.06.30
49311 김병기 “총리 인준·추경 막는 민생방해 세력”…국힘에 전면전 선언 랭크뉴스 2025.06.30
49310 이진숙 부총리 후보자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경쟁 약화 전략” 랭크뉴스 2025.06.30
49309 특검 입에 올린 김건희, 이제 퇴로 없다…사건 5개 ‘줄소환’ 예고 랭크뉴스 2025.06.30
49308 순직해병 특검, 박정훈 항명 재판 넘겨받기로 랭크뉴스 2025.06.30
49307 산업부 장관에 ‘원전맨’… “탈원전 거리두나” 기대감 랭크뉴스 2025.06.30
49306 [단독] 법원, 태양광기업 ‘웅진에너지’ 파산 폐지… “파산 진행할 돈 없어” 랭크뉴스 2025.06.30
49305 전국 낮 최고 35도 ‘찜통더위’…서울은 올해 첫 열대야 랭크뉴스 2025.06.30
49304 대통령실 ‘부동산 규제’ 오락가락 입장에…박수현 “애초에 다듬어지지 않은 메시지” 랭크뉴스 2025.06.30
49303 '강경' 드라이브 김병기 "민생 방해 세력과 전면전... 타협은 없다" 랭크뉴스 2025.06.30
49302 조국 “갑자기 검찰개혁 찬동하며 접근하는 검사 경계해야” 랭크뉴스 2025.06.30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