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기선 준구축 3.2억… 투자 주도
서울 6억 오를때 경기선 2억 상승

서울 아파트 쏠림 현상이 지난 10년간 가격 상승에서도 드러났다. 시세차익은 ‘서울 신축 국민평형(84㎡)’ 아파트가, 평균 상승률은 ‘서울 준구축 59㎡’ 아파트가 가장 높았다.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약 6억원 상승할 때, 경기 아파트는 2억원이 채 오르지 않았다. 수도권 내에서의 격차도 심화하고 있다.

24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 따르면 서울 신축 전용 84㎡ 아파트의 지난 10년간 시세차익이 7억2478만원(5억182만→12억2660만원)으로 추산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서울과 경기 신축·준신축·준구축 아파트의 2015~2025년(23일 기준) 평균매매가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2015년 매매된 서울의 같은 면적 준구축의 시세차익은 7억2153만원(4억5837만→11억7990만원), 준신축은 5억9903만원(4억1799만→10억1702만원)으로 나타났다. 신축은 2015년 기준으로 10년 이하, 준신축은 11~20년, 준구축은 21~30년으로 나눴다.

전용 59㎡ 기준으로도 서울은 신축 시세차익이 가장 높았다. 신축 시세차익은 6억6122만원(4억3193만→10억9315만원)이었다. 준구축 4억8009만원(2억9811만→7억7820만원), 준신축 4억7520만원(3억2323만→7억9843만원)순이었다.

반면 경기도는 준구축의 시세차익이 컸다. 경기도 84㎡ 준구축 아파트 시세차익은 3억2563만원으로 같은 평수 신축(2억1237만원), 준신축(1억7103만원)보다 시세차익이 1억원 이상 웃돌았다. 59㎡ 역시 준구축의 시세차익(2억2198만원)이 신축(1억8726만원)과 준신축(1억1220만원)을 상회했다. 집토스 관계자는 “1기 신도시 등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 아파트가 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상승률만 보면 서울·경기, 59·84㎡ 가릴 것 없이 구축이 모두 우세했다. 서울 59㎡ 준구축 아파트의 10년간 매매가 상승률은 161%로 같은 평형 신축(153%)보다 8% 포인트 높았다. 84㎡는 준구축 상승률이 157%로 신축(144%)보다 13% 포인트 높았다. 경기 지역도 59·84㎡ 준구축의 매매가 상승률은 각각 116%·113%로, 신축 상승률(70%·65%)을 크게 웃돌았다. 집토스 관계자는 “재건축 기대감이 본격 반영되는 20년차 이상 아파트의 투자 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입지 면에서는 서울 아파트의 수익이 경기 지역을 압도했다. 평형·연식을 모두 포함해 비교하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의 10년 평균 상승률은 143%로 경기(70%)의 배 이상이었다. 서울 아파트가 지난 10년간 6억원 이상(4억2714만→10억3765만원) 상승할 동안, 경기 아파트는 1억8757만원(2억6759만→4억5516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972 [단독] ‘스테로이드’부터 ‘임신중지약’까지…의약품 불법 유통 11만 건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71 李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통화…방산협력 강화(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70 "이제 바가지 안 씌워요"…믿어달라는 제주도, '회심의 카드' 또 내놨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9 李대통령 "24시간이 모자라"…참모진 '체념' 표정 화제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8 분당·평촌 아파트값만 올랐다… 1기신도시 선도지구 지정 후 희비 갈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7 "맨날 이렇게 자는데"…충전기 꽂은 휴대폰, 여기 두면 '큰일' 난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6 “경제위기 극복이 최우선 과제” 김민석 신임 총리 임명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5 도봉구 사거리서 택시 인도로 돌진… 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4 이상민 전 장관 자택서 돈다발 발견?…"에르메스 가방 안에 놀랄 만큼 거액이"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3 김건희 특검, 도이치·명태균 제치고 ‘삼부부터’ 왜?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2 "60% 지지율 높은 숫자 아냐‥'여대야소' 지형은 국민의 선택"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1 교사가 초등학생과 사랑? 논란의 웹툰, 결국 판매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60 이 대통령 "독도는 대한민국의 명확한 영토"‥"관세 협상, 쉽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9 이진숙 장관 후보자, 교수 재직 시절 논문 2편 ‘판박이’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8 취임 30일 기자회견…“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7 [영상] 두 딸 두고 일 나간지 고작 30분…8살, 6살 자매 불길에 '또'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6 "23억 네이버 주식 다 판다"…한성숙, 중기부 장관 위해 결단 내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5 도봉구서 택시가 인도 덮쳐 보행자 1명 사망… 또 '닮은꼴' 사고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4 “비상계엄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던 김용원, “권력 남용이다” 입장 선회 new 랭크뉴스 2025.07.03
50953 ‘오징어 게임’ 이정재가 말하는 “마지막 끝맺지 못한 대사의 의미는…” new 랭크뉴스 2025.07.0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