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단
1년 4개월째 이어진 의·정 갈등 국면에서 전공의 집단사직 투쟁을 주도해온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리더십 논란 끝에 24일 사퇴했다. 강경파인 그의 퇴진을 계기로 의·정 대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 등을 통해 “모든 직을 내려놓고자 한다. 지난 1년 반 부족하나마 최선을 다했으나 실망만 안겨드렸다”고 밝혔다. 그는 “모든 것이 제 불찰이다. 모쪼록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길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에 돌입했고, 대전협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됐다.

당시 회장이던 박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을 맡아 투쟁을 이끌었다. 그는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2000명 증원 전면 백지화 등이 담긴 ‘7대 요구안’을 복귀 조건으로 내세우며 강경 노선을 고수해왔다. 지난해 4월 윤석열 당시 대통령과 140여분간 독대한 것은 의정 갈등의 상징적인 장면으로 꼽힌다. 박 전 위원장의 기조는 ‘탕핑(드러눕기)’으로,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버티면 이긴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지난 대선 이후 정권 교체에도 입장을 바꾸지 않아 내부 불만이 고조됐다. 결국 24일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전공의 대표들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의정 갈등을 하루빨리 종식해야 한다”며 대전협과의 결별을 선언했다.

이날 박 전 위원장의 사퇴로 의정갈등은 분기점을 맞게 됐다. 빅3 병원과 고려대의료원 전공의 측은 “이제는 반드시 달라져야 한다”는 공동 성명을 내면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등을 요구했다. 정정일 서울아산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 부대표는 “요구안에 (의정갈등 책임은) 윤석열 정부라는 걸 명시해 전 정부의 과오를 함께 재논의해 해결해보자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7대 요구안을 철회한 것이다.

의료계에선 “의정 갈등 해소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이들 병원 대표 4명은 26일과 28일 대전협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한 전공의는 “정권이 바뀌었으니 ‘적극적으로 대화하자’는 내부 의견이 모였다”라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의 사퇴에 전공의·의대생 500여명이 모인 단체 대화방에서는 “아무것도 얻은 게 없다. 시간 날렸다”, “마지막까지 책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등 집행부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박 전 위원장과 갈등을 빚다 지난해 11월 탄핵당한 임현택 전 의협 회장은 “그는 전공의·의대생, 국민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데도 바라만 봤다”라며 “나를 탄핵하고도 반년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자기 정치만 하다가 결국 무책임하게 도망쳤다”라고 비판했다.

환자·시민단체는 전공의들의 조건 없는 복귀를 촉구했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사회정책국장은 “전공의들이 원하는 정책이 있다면 장외가 아니라 사회적 논의 테이블에 앉아서 풀어야 한다. 정부도 더는 수련 특례 등의 양보를 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38 [Why] GD가 왜 스타트업 광고에 나와?...톱스타 모델 기용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3
50637 수감된 두테르테 "나의 연인들, 신용카드 빵빵한 새 남자 찾길" 랭크뉴스 2025.07.03
50636 “미국산 전면 무관세”···트럼프, 베트남과 관세 20%로 인하 무역 합의 랭크뉴스 2025.07.03
50635 실용·일하는 정부…정국 혼돈 수습한 이재명 정부 30일 랭크뉴스 2025.07.03
50634 “부실 털어도 더 쌓이네”… 최악 건설경기에 부동산PF 정상화 난항 랭크뉴스 2025.07.03
50633 한덕수, 14시간 내란 특검 조사 끝 귀가…질문엔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7.03
50632 미국-베트남 무역합의 타결…“상호관세 46→20%”·“시장 개방” 랭크뉴스 2025.07.03
50631 이런 집주인, 어디 또 없다…120채 '강남 아파트왕' 정체 랭크뉴스 2025.07.03
50630 33년간 하늘을 날다… 93세 패러글라이딩 조종사의 마지막 비행 랭크뉴스 2025.07.03
50629 대한민국 ‘5성 장군’ 김홍일… 별 둘은 광복에, 별 셋은 구국에 바치다 [명장] 랭크뉴스 2025.07.03
50628 美 국방부, 주한미군 감축 여부에 말 아껴…“동맹에 충실할 것” 랭크뉴스 2025.07.03
50627 美 공화당 의원 43명 “한국 플랫폼법, 美 기업 차별하고 중국 공산당에 도움” 랭크뉴스 2025.07.03
50626 명예훼손 무죄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에 형사보상 랭크뉴스 2025.07.03
50625 [르포]원유 1억 배럴 담는 지하 동굴...중동 갈등에도 든든한 이유 있다 랭크뉴스 2025.07.03
50624 이 대통령 오늘 취임 30일 기자회견…역대 가장 빨라 랭크뉴스 2025.07.03
50623 부동산으로 돈 번다고? 文은 죄악시했고, 李는 인정했다 랭크뉴스 2025.07.03
50622 한덕수, ‘내란 특검’ 소환 14시간 만에 귀가… 안덕근·유상임 장관도 조사 랭크뉴스 2025.07.03
50621 “美, 내주 중 무역 합의 다수 발표할 것으로 보여” 랭크뉴스 2025.07.03
50620 13시간 조사 받고 귀가‥'거짓 증언' 추궁 랭크뉴스 2025.07.03
50619 [세상만사] 노인 1천만명 시대 '노시니어존' 랭크뉴스 2025.07.0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