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총격 사건 뒤 국경 분쟁 악화
캄보디아선 가스 등 수입 중단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는 모양새
23일 패통탄 친나왓 타이 총리가 타이 방콕의 총리 관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타이의 캄보디아 군인 총격 사건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하면서 결국 타이가 캄보디아 국경 육로 출입을 전면 차단했다. 관광객 입출국도 막고 수출입 금지 조처 검토도 하면서 양국 갈등이 경제 보복으로도 이어지는 모양새다.

24일 에이피(AP)와 현지 매체 타이피비에스(PBS) 등에 따르면, 타이와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이 악화하는 가운데 타이는 캄보디아로 향하는 관광객을 차단하는 등 국경에 대한 육상 제한 조치를 시행했다. 패통탄 친나왓(38) 타이 총리는 전날 “타이의 육로 국경 검역을 강화하고 관광객 입출국을 차단할 것”이라며 “학생, 의료 환자 및 필수품을 구매하는 사람들만 타이로 입출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타이와 캄보디아의 5개 주를 잇는 타이 동부의 짠타부리, 사깨오, 뜨랏 지역 등 육로 국경 검문소 16곳이 모두 폐쇄된다고 타이군은 밝혔다.

타이군은 “캄보디아에 의한 주권 위협과 온라인 사기 등 국경 지역 범죄 급증”을 이유로 검문소 폐쇄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패통탄 총리도 “캄보디아 내 사기 범죄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품 수출을 차단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며 “국제사회와 함께 동남아 지역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범죄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포이펫 등 타이와 인접한 캄보디아 국경 지역은 온라인 사기 조직 근거지이기도 하고, 타이 국민이 많이 찾는 카지노 단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도박은 타이에서 불법이다.

23일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주유소에서 사람들이 주유하고 있는 모습. 캄보디아 총리는 23일부터 태국산 연료 및 가스 수입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EPA연합뉴스

하지만 국경 분쟁으로 시작한 양국 갈등이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이러한 조처는 캄보디아가 타이로부터 가스 등 연료 수입을 중단하고 양국 간 국경 검문소 2곳을 영구 폐쇄한다고 밝힌 직후 나온 것이다. 앞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23일 0시부터 타이로부터 모든 연료와 가스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타이 내 군부계 정당 등에서 먼저 캄보디아에 수출하는 석유를 끊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자, 분노한 캄보디아가 수입을 중단하겠다고 ‘선공’을 날린 셈이다.

캄보디아는 타이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로 2022년 기준 캄보디아의 대타이 수입액은 38억달러(약 5조1600억원) 규모이고, 이 중 연료가 27%를 차지한다.

앞서 지난달 28일 타이 북동부 국경 지대인 우본라차타니주 남이은 지역에서 양국 군이 소규모 총격전을 벌이다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사망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5일 패통탄 총리는 아버지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와 가까운 사이인 훈 센(73) 캄보디아 상원의장에게 ‘삼촌’이라고 부르며 캄보디아 국경 지역을 관할하는 자국군 제2사령관을 흉본 통화 내역이 외부에 유출됐다.

이를 계기로 연립정부 내 제2당인 품짜이타이당이 연정에서 탈퇴했고, 야권은 현재 총리 퇴진과 의회 조기 해산을 요구하고 있다.

패통탄 총리는 남은 연정 참여 정당의 이탈을 막고 개각을 준비 중이지만, 법적 위기에도 직면했다. 친군부 세력 등 보수 진영이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상원은 헌법재판소와 국가반부패위원회(NACC)에 총리 탄핵을 청원한 가운데 이를 고려한 헌법재판소가 다음달 8일로 예정된 회의를 1일로 앞당겼다는 보도도 전해졌다.

여러 민족주의 활동가 단체들도 이번 주 패통탄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는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16 김어준 토크콘서트서 "곧 대법관 될 것"…文 "형님이라 해봐" 랭크뉴스 2025.07.01
49615 "마동석인 줄" 64세 정성호 팔뚝 깜짝…뜻밖의 이력 화제 랭크뉴스 2025.07.01
49614 민주당과 상법 개정안 간담회 한 재계 "할 말은 했지만, 큰 기대 않는다" 랭크뉴스 2025.07.01
49613 "재밌네 인생이ㅋㅋ"…한덕수에 고소당한 방송인 오윤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1
49612 특검, 계엄 사후 선포문에 한덕수 서명 의혹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49611 3년 넘게 동급생 집단폭행···청양 고교생 4명 퇴학 처분 랭크뉴스 2025.07.01
49610 "여보, 로또 2억 당첨됐어 이사 가자"…기뻐했는데 직원 실수 '초대형 사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9 “미·이스라엘 공격, 핵 비확산 체제에 위험…한반도 영향 커” 랭크뉴스 2025.07.01
49608 베선트 장관 “관세發 물가상승 일시적…10년물 금리 더 내려갈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7 외국인 2000명 채무 182억 탕감?…김재섭 "이재명식 민생인가" 랭크뉴스 2025.07.01
49606 특검, 윤석열 오늘 불출석 땐 재소환…또 불응하면 ‘최후 조처’ 경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5 미 재무장관 "상호관세 유예 트럼프에 달렸다... 저항하면 다시 부과할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4 FBI 등 美안보기관들 "이란 관련 해커들의 사이버공격 주의" 랭크뉴스 2025.07.01
49603 [사설] 美 “관세 유예 연장 불필요”…기업 피해 최소화 위해 총력전 펴라 랭크뉴스 2025.07.01
49602 [사설]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허한 지방 지원책이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1
49601 보훈부가 지원한 역사 왜곡?‥'이승만 찬양' 스피치 대회 랭크뉴스 2025.07.01
49600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물러나는 김용태 “개혁 점수 0점” 랭크뉴스 2025.07.01
49599 이란 ‘12일의 전쟁’ 피해는 큰데, 책임지는 지도자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1
49598 휴전 논의차 미 백악관 가는 이스라엘 장관... 가자지구선 무차별 폭격 랭크뉴스 2025.07.01
49597 3G 서비스 계속된다…통신사 주파수 재할당 랭크뉴스 2025.07.01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