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총격 사건 뒤 국경 분쟁 악화
캄보디아선 가스 등 수입 중단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는 모양새
23일 패통탄 친나왓 타이 총리가 타이 방콕의 총리 관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타이의 캄보디아 군인 총격 사건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하면서 결국 타이가 캄보디아 국경 육로 출입을 전면 차단했다. 관광객 입출국도 막고 수출입 금지 조처 검토도 하면서 양국 갈등이 경제 보복으로도 이어지는 모양새다.

24일 에이피(AP)와 현지 매체 타이피비에스(PBS) 등에 따르면, 타이와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이 악화하는 가운데 타이는 캄보디아로 향하는 관광객을 차단하는 등 국경에 대한 육상 제한 조치를 시행했다. 패통탄 친나왓(38) 타이 총리는 전날 “타이의 육로 국경 검역을 강화하고 관광객 입출국을 차단할 것”이라며 “학생, 의료 환자 및 필수품을 구매하는 사람들만 타이로 입출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타이와 캄보디아의 5개 주를 잇는 타이 동부의 짠타부리, 사깨오, 뜨랏 지역 등 육로 국경 검문소 16곳이 모두 폐쇄된다고 타이군은 밝혔다.

타이군은 “캄보디아에 의한 주권 위협과 온라인 사기 등 국경 지역 범죄 급증”을 이유로 검문소 폐쇄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패통탄 총리도 “캄보디아 내 사기 범죄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품 수출을 차단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며 “국제사회와 함께 동남아 지역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범죄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포이펫 등 타이와 인접한 캄보디아 국경 지역은 온라인 사기 조직 근거지이기도 하고, 타이 국민이 많이 찾는 카지노 단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도박은 타이에서 불법이다.

23일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주유소에서 사람들이 주유하고 있는 모습. 캄보디아 총리는 23일부터 태국산 연료 및 가스 수입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EPA연합뉴스

하지만 국경 분쟁으로 시작한 양국 갈등이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이러한 조처는 캄보디아가 타이로부터 가스 등 연료 수입을 중단하고 양국 간 국경 검문소 2곳을 영구 폐쇄한다고 밝힌 직후 나온 것이다. 앞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23일 0시부터 타이로부터 모든 연료와 가스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타이 내 군부계 정당 등에서 먼저 캄보디아에 수출하는 석유를 끊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자, 분노한 캄보디아가 수입을 중단하겠다고 ‘선공’을 날린 셈이다.

캄보디아는 타이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로 2022년 기준 캄보디아의 대타이 수입액은 38억달러(약 5조1600억원) 규모이고, 이 중 연료가 27%를 차지한다.

앞서 지난달 28일 타이 북동부 국경 지대인 우본라차타니주 남이은 지역에서 양국 군이 소규모 총격전을 벌이다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사망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5일 패통탄 총리는 아버지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와 가까운 사이인 훈 센(73) 캄보디아 상원의장에게 ‘삼촌’이라고 부르며 캄보디아 국경 지역을 관할하는 자국군 제2사령관을 흉본 통화 내역이 외부에 유출됐다.

이를 계기로 연립정부 내 제2당인 품짜이타이당이 연정에서 탈퇴했고, 야권은 현재 총리 퇴진과 의회 조기 해산을 요구하고 있다.

패통탄 총리는 남은 연정 참여 정당의 이탈을 막고 개각을 준비 중이지만, 법적 위기에도 직면했다. 친군부 세력 등 보수 진영이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상원은 헌법재판소와 국가반부패위원회(NACC)에 총리 탄핵을 청원한 가운데 이를 고려한 헌법재판소가 다음달 8일로 예정된 회의를 1일로 앞당겼다는 보도도 전해졌다.

여러 민족주의 활동가 단체들도 이번 주 패통탄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는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506 프로야구 전반기에 700만 관중 돌파… 역대 최초 랭크뉴스 2025.07.02
50505 이 대통령, 16일 참사 유족 만난다···세월호·이태원·오송 지하차도·제주항공 참사 랭크뉴스 2025.07.02
50504 [단독] CCTV 속 한덕수 "윤석열 따로 만난 뒤 문건 여러 장" 랭크뉴스 2025.07.02
50503 '오징어 게임' 핑크 가드 박규영은 왜 끝까지 인간성 지켰을까 랭크뉴스 2025.07.02
50502 이란 'IAEA와 협력 중단' 법률 공포… 핵시설 공습 후속 조치 랭크뉴스 2025.07.02
50501 내란 특검, ‘계엄 해제 국무회의 참석’ 유상임 과기장관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500 누려라, ‘마지막 쇼핑’의 즐거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2
50499 이 대통령, 오는 16일 세월호·이태원 등 대형참사 유가족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2
50498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62개 상승…집밥도 외식도 부담(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97 ‘개문발차’ 우려 불식, 효능감 보인 30일···경제·외교 등은 난제[이 정부 취임 한 달] 랭크뉴스 2025.07.02
50496 민중기 특검, 김건희 출국금지…연관 범죄 16건 수사 개시 랭크뉴스 2025.07.02
50495 한덕수·안덕근·유상임…비상계엄 당시 국무위원 줄줄이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494 '보여주기식' 쇼통은 없다... 소통 즐기는 이 대통령 취임 1달 랭크뉴스 2025.07.02
50493 코요태 신지, 예비신랑 이혼 고백…"딸 있는데 전처가 키운다" 랭크뉴스 2025.07.02
50492 “출산하면 최대 3000만원”… 신한은행의 저출생 지원 랭크뉴스 2025.07.02
50491 “이재명 안 찍은 것 후회”…‘보수텃밭’ 부산 시민들 부글부글,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2
50490 尹 맞붙을 땐 '백발' 고집했다…이재명 갈색머리 대선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489 임성근 사단장, 특검 첫 조사서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대부분 진술 거부 랭크뉴스 2025.07.02
50488 [단독] "박정훈, 정당한 지시에 항명" 특검 이첩 전 의견서 낸 軍 랭크뉴스 2025.07.02
50487 송하윤, 학폭 최초 유포자 고소… 1년 만에 의혹 전면 부인 랭크뉴스 2025.07.02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